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예술은 사기다 2

현대예술은 사기다 2

(예술의 종말 이후 참예술의 부활을 위한 구상)

홍가이 (지은이)
소피아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예술은 사기다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예술은 사기다 2 (예술의 종말 이후 참예술의 부활을 위한 구상)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8908028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7-08-23

책 소개

저자는 컬럼비아대학 예술철학 교수로서 뉴욕의 영향력 있는 <네이션(The Nation)>지의 미술평론가로 활동했던 아서 단토의 컨템퍼러리 아트의 이론의 허구성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현대아트에 대한 존재론적 입장에서 모던아트의 대안적 담론을 제시한다.

목차

21세기 시대정신이 요구하는 신예술

01 현대미술의 몰이해와 단토의 ‘미술 사후의 미술’ 013

02 21세기 예술 : New Spiritual in Art from Korea 033

•담의 정신, 담백의 미학 033
•담의 조건 043
•동양적 수행문화와 담 정신의 예술 048

03 담화: 담의 정신을 구현하는 윤형근의 회화 055
•도입부 : 윤형근 회화를 단색화로 분류하는 오류 055
•윤형근 예술세계를 여는 두 개의 key 아이디어 066
•담화의 미학과 서화일체 075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 서화일체의 표본이며 추상화로 보기 083
•윤형근을 추상표현주의나 단색화로 보는 문제점 095
•윤형근 작품에서 담 정신의 실체 113

04 정치・도덕적 선언으로서의 동양 산수화 작업 121
•도입부 : 생태환경주의자로서의 동양 산수화가들 121
•박능생의 신산수화의 개념 128
•김천일의 신산수화를 들뢰즈의 세잔 읽기로 읽다 136
•무성시를 넘어서 무성음악으로서의 김천일 산수화 165

05 무화 : Mu-Spiritual in Art from Korea 169
•도입부 : 전혁림을 무화 작가로 169
•칸딘스키의 도전에 응답하는 한국 發 무 정신의 예술 179
•巫 스피리추얼 예술에 대한 새로운 담론 개척의 필요성 196
•결론 202

06 흙, 사랑, 생명과 예술의 新談論을 위해서 209
•공예와 순수예술의 경계 : 변승훈 도예를 중심으로 209
•예술과 테크놀로지 217
•서구 허무주의 현대예술 담론의 대안을 위해서 224

07 한국 문인화의 세계화와 현대화
: 장우성의 문인화를 보면서 239

•도입부 : 문인화를 그리고 읊고 쓰는 선비 239
•한국 선비정신과 르네상스 휴머니즘 정신의 비교 243
•시서화일체의 총체적 통합예술 246
•첨단의 멀티미디어 예술로 문인화를 부활시키는 방법 253
•세계 예술계는 지금 동양고유의 예술 정신성의 아트를 찾는다 257

08 20세기 연금술 :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기술 261
•20세기 말에 불어오는 셰익스피어의 폭풍우 《템페스트》 263
•경계를 넘어선 그리너웨이의 매체 혁명 <프로스페로의 책들> 275

09 설치작업을 동양화의 정신으로 재해석하다 293
•머리카락을 이용한 두 개의 설치작업 <여인의 사군자> 293
•祭儀式으로서의 설치미술 : 동양적 접근 298
•이순종 설치작업 <一劃으로 부터> 305
•이영애가 이순종 작품의 액자에서 나오다 314

10 넓은 의미의 예술 실천 : 손상기 작품을 보다 317
•결론 : 넓은 의미의 예술행위를 실천한 손상기 330

11 한국적 회화란 무엇인가 339
•‘한국적’이란 수식어를 붙이는 이유 339
•신화의 세계에 접근하려는 의지 341
•원초적 민족문화의 원형 탐구 344
•역사의 유물을 극사실 묘사로 347
•역사적 알레고리스트로서의 화가 352
•원시안적 시각에서의 민족미술의 추구 356

저자 후기 358

저자소개

홍가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청소년기 한국을 떠나 1960년대의 반월남전 운동, 히피운동, Youth Culture운동 등의 미국사회의 격변기를 온몸으로 부딪치며 대학과 대학원을 다녔다. 물리학에서 철학으로 인지과학에서 융·복합 인문학으로의 학문적 여정도 그런 자신의 정체성 찾기의 고뇌와 무관하지 않다. 서구문명이 내재적으로 안고 있는 허무주의에 대한 논문을 20대에 박사논문으로 쓰고 나서도, 자신의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여정은 환갑이 넘어서도 계속되어, 북미와 유럽을 오가면서 미국의 프린스튼, MIT, 와그너, 멜릴란드대학 유럽분교, 영국의 캠브리지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한국에서는 이화여대, 연대정보통신전문대학원, 서울대 미학과, 서울예술대학, 부산의 경성대학과 동서대학 등지에서 교환, 객원교수 또는 해외초빙교수로 강의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외국어대학에서 재직했다. 한국에서는 공간잡지와 객석에 칼럼양식의 예술, 문화, 연극, 영화, 무용, 미술에 관련된 비평을 연재한 것이 책으로 묶어져서 나왔다. 정치적 행위의 일환으로서의 희곡쓰기도 하여, 여러 편의 희곡작품이 한국, 영국, 미국, 헝가리, 독일 등지에서 공연되었다. [희곡집] <I AM A HIBAKUSHA> (원작.영어 대본, 동경국제연극센터 출판, 1984년, 1985년 국립극장에서 당시 허 규 극장장의 배려로 당시 연우무대 연출가 김석만 교수에 의해 한글로 번역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이윤택, 홍유진, 제씨에 의해 연출·제작되었고, 수많은 대학에서 학생극으로 제작되었다. KBS에서는 1989년 “영주의 증명”이란 제목으로 8.15특집 2부작으로 당시 이유황 PD에 의해 제작되었다. 국제적 프레미어는 1984년 에딘버러 연극축제에서 캠브리지의 멈머서 극단에 의해서 제작·공연. (1984년1월 한 달 동안 영국 캠브리지대학 영문학부에서 워크숍으로 진행 되었던 공연으로 그해 여름 에딘버러 축제에 참가하였다.) <The Unappeaseds: Plight of Korean Comfort Women during Japanese Occupation> (영어 원작으로 역시 김석만 연출가에 의해 국립극장에서 의뢰하여 한글로 번역된바 있다. 1986년2월 영국의 캠브리지대학 영문학부의 학생들에 의해 무대에 올려졌다. 연출은 당시 캠브리지대학 처칠칼레지의 팀 크립 교수가 맡았다. 한국에서는 이화여대 영문학과 영어원어 연극제작으로 1990년 공연되었고, 계원예대의 공간연출학과에서도 이 강 교수의 연출로 1997년과 2000년에 공연된 바 있다.) <Nostoi: Children of Prometheus 4부작> (회귀: 불의 아해들) 공간사에서 1988년 출간 [평론집] <현대미술비평과 세계문화> 미진사 (절판되었음) <세계문화비평>, 예음사 출판 (절판되었음) [출판 준비되고 있는 책들] ● 소설 <운명: 히바쿠샤 소설> (브레히트가 희곡 “Three Penny Opera”를 <3페니 소설>로 재해석·번역·창작했듯이, 먼저 희곡으로 썼던 “히바쿠샤”를 소설화 시킨 것이다. 영화대본으로 각색한 것도 신종 문학 장르로 간주하여 따로 발간할 것이다. 1997년 예음사에서 출판예정이었으나, 1997년말 IMF때 회사가 부도나면서, 중단되었던 것. ● <한 동양 청년의 긴 내면을 향한 정체성 탐구의 여정> ● <니진스키 소설> 세계정신문화사로서의 장편소설; 니진스키 영화 대본의 소설적 새 해석 ● 테크놀로지의 정치경제철학; ● 정치경제학의 신학: 우상 숭배교로서의 신자유주의 시장경제 자본주의 (Carl Schmitt의 Political Theology와 Walter Benjamin의 Capitalism as Religion의 21세기적 맥락에서의 재해석) ● 카테콘적 역사학적 접근으로서의 현대허무주의(Katechontic Historiography of Contemporary Nihilism)<Pacific Jerusalem> (태평양변의 예루살렘: 인류의 집단적 운명이 LA에서 결정나다) ● <Pacific Jerusalem> (태평양변의 예루살렘: 인류의 집단적 운명이 LA에서 결정나다) ● <Vaslav Nijinsky: A Philosophical Portrait of an Artist> (1973년 이태리 우르비노의 국제언어학과 기호학 연구소에 유학할 때 우르비노 출신인 Pier Paolo Pasolini의 St. Paul: A Screenplay을 영향을 받아 시작하여 몇 년 후 뉴욕에서 완성한 작품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