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기 불교 이해

초기 불교 이해

각묵 (지은이)
초기불전연구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690원
21,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2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초기 불교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기 불교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91743212
· 쪽수 : 535쪽
· 출판일 : 2010-08-15

목차

제1편 초기불교의 기본주제



제1장 들어가는 말

(1) 초기불교냐 원시불교냐 근본불교냐

(2) 무엇이 초기불교인가?

① 부처님 출생에 관한 학설

㉠ 기원전 543년 입멸설

㉡ 기원전 486년 입멸설

㉢ 기원전 386년 혹은 383년 입멸설

㉣ 기원전 483년 입멸설

② 부처님과 직계제자들의 가르침이 초기불교다

③ 초기불교는 삼차결집에서 결집이 완료된 가르침이다

④ 현존하는 빠알리 삼장에 전승되어오는 모든 가르침이 초기불교다

⑤ 초기불교의 역사적인 근거는 『니까야』와 『아함』이다

(3) 왜 초기불교인가?

(4) 초기불교의 핵심 - 해체해서 보기

(5) 본서의 특징 몇 가지



제2장 초기불교의 기본주제

(1) 불교의 목적 : 행복의 실현(이고득락,離苦得樂)

① 금생의 행복

② 내생의 행복

③ 궁극적 행복

(2) 행복을 실현하는 토대

① 부처님에 대한 믿음

② 법에 대한 믿음

③ 승에 대한 믿음

④ 계를 지니는 것



제3장 열반 ― 초기불교의 궁극적 메시지

(1) 초기불교의 궁극적인 메시지, 열반

(2) 어떻게 열반을 실현할 것인가

(3) 불교의 인간관·세계관·진리관·연기관

(4)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 온·처·계·근·제·연과 37보리분법

(5) 『쌍윳따 니까야』와 온·처·계·근·제·연·37보리분법



제4장 어떻게 열반을 실현할 것인가 - 구체적 방법

(1) 들어가는 말

(2) 무상·고·무아의 통찰과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를 통해서

(3) 연기의 이욕-소멸을 통해서


(4) 사성제의 통찰을 통해서

(5) 팔정도의 실현을 통해서

(6) 37보리분법을 닦아서

① 팔정도(八正道)

② 칠각지(七覺支, 깨달음의 구성요소)

③ 오근·오력(五根·五力)

④ 사념처(四念處)

⑤ 사여의족(四如意足)

(7) 심해탈·혜해탈·양면해탈을 통해서

(8) 계·정·혜·해탈·해탈지견의 완성을 통해서



제5장 법(法, dhamma, dharma) - 초기불교의 핵심

(1) 초기경의 도처에서 부처님은 법을 강조하셨다

① 법을 의지하여 머무르리라

② 법의 바퀴를 굴리다

③ 법을 보는 자는 나를 본다

④ 마지막 유훈 - 법과 율이 그대들의 스승이 될 것이다

(2) 법이란 무엇인가?

① 부처님 가르침으로서의 법(Dhamma)

ⓐ 교학으로서의 법

ⓑ 수행으로서의 법

② 고유성질(自性)을 가진 법(dhamma)

(3) 법은 해체해서 보기이다

① 고정관념의 해체와 무상·고·무아의 통찰

② 해체해서 보기는 초기불교의 생명

(4) 담마(法) - 아비담마(對法) / 위나야(律) - 아비위나야(對律)





제2편 초기불교의 교학



제6장 초기불교의 진리 ― 사성제

(1) 들어가는 말

(2) 진리란 무엇인가?

(3) 모든 가르침은 사성제로 총섭된다

(4) 사성제의 개관

(5) 고성제는 사고·팔고(四苦·八苦)와 삼성(三性)으로 정리된다

① 사고·팔고(四苦·八苦)

② 괴로움의 세 가지 성질(三性)

(6) 집성제(集聖諦,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는 갈애다

① 갈애(渴愛, taṇhā)

② 욕애(欲愛), 유애(有愛), 무유애(無有愛)

③ 갈애의 일어남에 대한 연기적 고찰

(7) 멸성제(滅聖諦)는 소멸이요, 소멸은 열반이다

① 멸성제는 열반이다


② 열반은 탐·진·치의 소멸이다

③ 갈애의 소멸에 대한 연기적 고찰

④ 열반은 버려서 실현된다

⑤ 열반은 삶에 대한 의미부여가 끝나야 드러난다

⑥ 스승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8) 도성제는 팔정도다

(9) 사성제 종합



제7장 나는 누구인가 ― 초기불교의 인간관, 오온 I

(1) 들어가는 말

(2) 무더기(蘊)란 무엇인가?

(3) 오온이란 무엇인가? - 오온 각지(各支)의 설명

① 물질의 무더기(色蘊)란 무엇인가?

② 느낌의 무더기(受蘊)란 무엇인가?

③ 인식의 무더기(想蘊)란 무엇인가?

ⓐ 버려야 할 인식

ⓑ 인식의 전도(想顚倒, saññā-vipallāsa) - 4전도

ⓒ 닦아야 할 인식

④ 심리현상들의 무더기(行蘊)란 무엇인가?

⑤ 알음알이의 무더기(識蘊)란 무엇인가?

ⓐ 마음의 정의 : 대상을 아는 것

ⓑ 심·의·식(心·意·識)은 동의어이다



제8장 나는 누구인가 ― 초기불교의 인간관, 오온 II

(1) 경들의 분류

(2) 각 분류의 개관

① 무상·고·무아를 설하는 가르침

② 무상·고·무아를 통한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

③ 무상·고·무아의 문답

④ 무상만 강조하는 경들

⑤ 괴로움만 강조하는 경들

⑥ 무아만 강조하는 경들

⑦ 오온의 염오-이욕-소멸을 설하는 경들

⑧ 유신견과 이의 극복을 설하는 경들

⑨ ‘내 것’·‘나’·‘나의 자아’와 이의 극복을 설하는 경들

⑩ ‘나’라는 생각 등을 설하는 경들



제9장 나는 누구인가 ― 초기불교의 인간관, 오온 III

(1) 오온에 대한 가르침의 특징

① 오온은 동시발생이다

② 오온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③ 해체해서 보면 무상·고·무아가 보인다

④ 무상·고·무아를 통해 해탈한다

⑤ 진아란 없다


(2) 초기불교와 아비담마는 아공법유를 주장하는가?

(3) 오온과 오취온의 차이와 중요 술어 몇 가지

(4) 마음(心) 혹은 알음알이(識)를 절대화하면 절대로 안된다



제10장 인간이 가진 능력들 ― 22근(기능)

(1) 22가지 기능(根)

(2) 기능(根)이란 무엇인가?

(3) 다섯 가지 기능(五根)



제11장 존재란 무엇인가 ― 12처[六內外處] I

(1) 육처란 무엇인가?

(2) 「육처 상윳따」(S35)의 개관

(3) 248개 경들의 분류

(4) 각 분류의 특징

① 구경해탈지의 정형구

② 무상·고·무아의 정형구

③ 무상·고·무아를 통한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의 정형구

④ 무상·고·무아의 문답을 통한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의 정형구

⑤ 무상·고·무아 없는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의 정형구

⑥ 사량 않음과 취착 않음을 통한 구경해탈지의 정형구

⑦ ‘내 것’·‘나’·‘나의 자아’· 아님을 통한 구경해탈지의 정형구

⑧ 벗어남, 해탈 등으로 나타나는 경들

⑨ 6내처-6외처-6식-6촉-6수로 나타나는 경들

⑩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가 바로 일체다

⑪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가 바로 세상이다



제12장 존재란 무엇인가 ― 12처[六內外處] II

(1) 육처에 대한 가르침의 특징

① 12처는 일체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다

② 12처가 바로 세상이다

③ 세상이든 일체든 모두 조건발생(緣起, 緣已生)이다

④ 해체해서 보면 무상·고·무아가 보인다

⑤ 무상·고·무아와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

⑥ 12처와 18계의 특징 몇 가지



제13장 존재란 무엇인가 ― 18계[界, 요소]

(1) 요소(界, dhātu)란 무엇인가?

(2) 18가지 요소(十八界)

(3) 다양한 부류의 요소들에 대한 개관



제14장 어떻게 해탈·열반을 실현할 것인가

(1) 세 가지 과정

(2) 고유성질(自相)


(3) 해체해서 보기

(4) 무상·고·무아가 드러남

(5) 자상(自相)를 통한 공상(共相)의 확인

(6) 가유(假有)나 실유(實有)라는 방법론으로 법을 봐서는 안된다

(7) 찰나(刹那, khaṇa)란 무엇인가?

(8) 한국불교에 거는 기대

제15장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 ― 12연기 I

(1) 들어가는 말

(2) 왜 인연(nidāna)인가?

(3) 경들의 분류

(4) 12지 연기 등 각 연기의 개관

① 12지 연기

② 11지 연기

③ 10지 연기

④ 9지 연기

⑤ 8지 연기

⑥ 7지 연기

⑦ 6지 연기

⑧ 5지 연기

⑨ 4지 연기

⑩ 3지 연기

⑪ 2지 연기

(5) 12가지 연기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정의

① 무명(無明, avijjā)

② 의도적 행위들(行, saṅkhārā)

③ 알음알이(識, viññāṇa)

④ 정신·물질(名色, nāma-rūpa)

⑤ 여섯 감각장소(六入, saḷ-āyatana)

⑥ 감각접촉(觸, phassa)

⑦ 느낌(受, vedanā)

⑧ 갈애(愛, taṇhā)

⑨ 취착(取, upādāna)

⑩ 존재(有, bhava)

⑪ 태어남(生, jāti)

⑫ 늙음·죽음(老死, jarā-maraṇa)



제16장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 ― 12연기 II

(1) 연기의 가르침의 특징

①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

② 괴로움이란 윤회의 괴로움이다

③ 알음알이와 정신·물질의 출현

④ 내생에 다시 태어남을 일으키는 것

⑤ 12연기는 삼세를 말한다

⑥ 원인과 결과의 반복적 지속


⑦ 이세인과(二世因果)

⑧ 연기에 대한 네 가지 해석

⑨ 이시적(異時的, 通時的)인가, 동시적(同時的, 共時的)인가?

⑩ 연기는 무아를 드러내는 강력한 수단이다

(2) 12연기와 상호의존(緣)은 구분되어야 한다

(3) 연기의 소멸구조는 온·처의 염오-이욕-소멸과 같은 가르침





제3편 초기불교의 수행



제17장 초기불교의 수행법 개관 ― 37보리분법

(1) 37보리분법(bodhipakkhiyā dhammā)



제18장 네 가지 마음챙기는 공부[四念處]

(1)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2) 수행삼경(修行三經)

(3) 마음챙김의 주석서적 의미

(4) 왜 마음챙김으로 옮겼나?

(5) 마음챙김은 대상을 챙기는 것이다

(6)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몇 가지

(7) 「마음챙김의 확립 상윳따」(S47)의 개관

① 제1장부터 제5장까지

② 제6장부터 제10장까지



제19장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공부[出入息念]

(1)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공부란 무엇인가?

① 개요

②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공부의 중요성

③ 16단계의 정형구

(2) 「들숨날숨 상윳따」(S54)의 개관



제20장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과 선법·불선법

(1) 바른 노력(正勤)이란 무엇인가?

① 네 가지 바른 노력의 정의

② 바른 노력은 선법과 불선법의 판단으로부터

(2) 극복해야 될 해로운 법(不善法)들의 모둠

① 번뇌(āsava)

② 폭류(ogha)

③ 속박(yoga)

④ 매듭(gantha)

⑤ 취착(upādāna)

⑥ 장애(nīvaraṇa)

⑦ 잠재성향(anusaya)


⑧ 족쇄(saṁyojana, 경의 방법에 따라)

⑨ 족쇄(아비담마의 방법에 따라)

⑩ 오염원(kilesa)



제21장 네 가지 성취 수단[四如意足]

(1) 성취수단(四如意足)이란 무엇인가?

① 신통변화(iddhi-vidha)

② 성취수단(如意足, iddhi-pāda)

(2) 「성취수단 상윳따」(S51)의 개관

① 제1장부터 제3장까지

② 제4장부터 제8장까지



제22장 다섯 가지 기능[五根]

(1) 기능(根)이란 무엇인가?

① 개요

② 설명

③ 다섯 가지 기능(五根)

④ 다섯 가지 기능을 조화롭게 닦음

(2) 「기능 상윳따」(S48)의 개관

① 제1장부터 제7장까지

② 제8장부터 제17장까지



제23장 다섯 가지 힘[五力]

(1) 들어가는 말

(2) 다섯 가지 기능(五根)과 다섯 가지 힘(五力)의 차이

(3) 간화선과 오근·오력-오근·오력(信·精進·念·定·慧)과 대신근·대분지·대의정



제24장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1) 깨달음의 구성요소란 무엇인가?

(2)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āhāra)

①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

②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

③ 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

④ 희열의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

⑤ 고요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

⑥ 삼매의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

⑦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의 자양분

(3) 「깨달음의 구성요소 상윳따」(S46)의 개관

① 제1장부터 제8장까지

② 제9장부터 제18장까지



제25장 도란 무엇인가 ― 팔정도

(1) 팔정도란 무엇인가?


(2) 도(magga)와 도닦음(patipadā)

(3) 팔정도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관

(4) 부처님 최초의 설법은 팔정도다

(5) 팔정도의 중요성-팔정도는 최초설법이요 최후설법이다

(6) 팔정도가 중도다

(7) 중도의 중요성

(8) 「도 상윳따」(S45)의 개관

① 제1장 「무명품」부터 제4장 「도닦음 품」까지

② 제5장 「외도의 반복」부터 제8장까지

③ 제9장 「첫 번째 강가강의 반복」부터 제16장 「폭류품」까지





제4편 초기불교의 주요 술어



제26장 사마타와 위빳사나[止觀]

(1) 사마타와 위빳사나는 부처님의 직설이다

(2) 대상 - 개념과 법

(3) 집중과 통찰

(4) 닮은 표상과 삼특상

(5) 본삼매와 찰나삼매

(6) 일시적인 해탈과 해탈

(7) 지관겸수(止觀兼修)

(8) 무엇을 먼저 닦을 것인가?



제27장 해탈이란 무엇인가

(1) 들어가는 말

(2) vimutti(위뭇띠)

①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의 정형구로 나타난다

② 오법온(五法蘊, 계·정·혜·해탈,해탈지견)의 정형구로 나타난다

③ 심해탈·혜해탈·양면해탈로 나타난다

㉠ 심해탈(마음의 해탈)과 혜해탈(통찰지를 통한 해탈)

㉡ 양면해탈

④ 표상 없는 마음의 해탈(animittā cetovimutti)

⑤ 자애를 통한 마음의 해탈(慈心解脫, mettā cetovimutti) 등

⑥ 일시적인 마음의 해탈(sāmāyika cetovimutti) 혹은 일시적인 해탈

⑦ 확고부동한 해탈(akuppā vimutti) - 부동해탈지견

⑧ 명지와 해탈(vijjā-vimutti)

⑨ 해탈의 맛(vimutti-rasa)

⑩ 해탈은 열반의 체험이다

(3) vimokkha(위목카)

① 여덟 가지 해탈(八解脫, vimokkha)

② 세 가지 해탈의 관문(vimokkha-mukha)



제28장 삼학과 오법온


(1) 삼학과 오법온이란 무엇인가?

① 삼학이란 무엇인가?

② 오법온이란 무엇인가?

(2) 『디가 니까야』제1권에 나타나는 삼학

(3) 계학(戒學)이란 무엇인가? - 단속이 계이다

(4) 정학(定學)이란 무엇인가? - 마음이 대상에 집중됨이다

(5) 혜학(慧學)이란 무엇인가? - 통찰지(般若, paññā)이다

① 왜 통찰지로 옮겼나?

② 통찰지(paññā)와 지혜(ñāṇa)

③ 삼학의 혜학으로서의 통찰지

④ 그 외 통찰지가 포함된 정형구

ⓐ 통찰지의 기능

ⓑ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본다

ⓒ 혜해탈의 정형구

ⓓ 문·사·수(聞·思·修)의 통찰지

ⓔ 「대념처경」등에서 동사 pajānāti(꿰뚫어 알다)가 강조됨

ⓕ 기타

(6) 해탈이란 무엇인가? - 열반의 체험이다

(7) 해탈지견이란 무엇인가? - 반조의 지혜이다



제29장 일곱 가지 청정[七淸淨]

(1) 칠청정(七淸淨, satta visuddhi)이란 무엇인가?

(2) 「역마차 교대 경」(M24)과 칠청정

(3) 칠청정의 설명

① 계 청정(sīla-visuddhi)

② 마음 청정(citta-visuddhi)

③ 견 청정(diṭṭhi-visuddhi)

④ 의심을 극복함에 의한 청정(kaṅkhā-vitaraṇa-visuddhi)

⑤ 도와 도 아님에 대한 지와 견에 의한 청정(maggāmagga-ñāṇa-dassana-visuddhi)

⑥ 도닦음에 대한 지와 견에 의한 청정(paṭipadā-ñāṇa-dassana-visuddhi)

⑦ 지와 견에 의한 청정(ñāṇa-dassana-visuddhi)



제30장 불교와 윤회

(1) 불교와 윤회

(2) 자아의 윤회와 무아의 윤회

(3) 육도 윤회와 오도 윤회

(4) 윤회의 원인



제31장 족쇄를 푼 성자들(10가지 족쇄와 네 부류 성자)

(1) 열 가지 족쇄

(2) 족쇄와 성자

(3) 다른 분류에 의한 성자들의 경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