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91826045
· 쪽수 : 503쪽
· 출판일 : 2008-02-20
목차
1권
종교에 대하여
1.종교란?
2.종교의 목표
3.종교개혁의 필요성과 그 방법
4.진리란?
인생에 대하여
1.인생이 구하는 바는?
2.나는 누구인가?
3.우리는 왜 살아야 하는가?
4.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5.인류 공멸의 위기
6.인류 평등이란?
팔만대장경
해제
1.불교란?
2.팔만대장경의 뜻
3.팔만대장경의 결집
4.팔만대장경의 조직
5.한국의 판만대장경
6.사문유관(四門遊觀)
불교의 기본교리 개요
1.삼보
2.삼학
3.삼법인
4.중도사상
5.사성제,8정도
6.12인연
7.연기와 실상
8.공(空)에 대하여
9.윤회와 열반에 대하여
10.반야사상
11.6바라밀
12.소승과 대승
13.업사상
14.회향사상
15.선
팔만대장경 경장
경장
화엄시
화엄경
1.화엄경 이름과 출현
2.화엄경 구성과 내용
화엄경(신역80,6회 26품)
10지품
1.10지품(十地品) 서분
2.정설분
3.유통분
화엄경(신역80,9회 39품)
입법계품
1.개요
2.53선지식
한글 법성게
아함시
장아함경
중아함경
증일아함경
1.10념품
2.5계품
3.안반품
4.6중품
5.8난품
6.대애도 반열반품
잡아함경
1.고에 대하여:고경
2.공에 대하여:대공법경
3.무상(無常)에 대하여:무상경
4.무아(無我)에 대하여
5.8정도에 대하여:광설팔성도경
초발심자경문
1.계초심학인문
2.발심수행장
3.자경문
법구경
1.계초심학인문
2.발심수행장
3.자경문
부모은중경
이 경이 생긴 동기(序論)
1.증신서(證信序)
2.발기서(發起序)
이 경의 본론(本論)
1.보은 인연
2.불효의 업을 말씀함
3.과보가 분명함을 보임
이 경이 결론(結論)
1.대중과 신장들의 서원
2권
방등시
유마경
1.뛰어난 방편
2.제자들
3.보살들
4.중생에 관한 관찰
5.부처의 깨달음
6.평등한 경지
7.보살이 수행
8.아촉불을 친견
승만경
금광명경
1.수량품
2.공품
3.사천왕품
4.촉루품
능가경
1.불심품
2.불성품
3.법신품
4.불법품
5.차식육품
무량수경
1.서문(序文)
2.설법의 인연
3.정토 건설
4.미타성불
5.방일(放逸)을 경계(警戒)
6.나투신 증명
7.부촉(付囑)
쉼터
반야시
반야경
1.경명(經名)
2.반야경의 성립과 내용
반야심경
서문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원문
반야심경 번역
반야심경 이름 해설
1.제명은 경(經)의 내용이다.
2.반야심경의 넓은 의미
반야심경 강의
반야바라밀다와 6바라밀
법화열반시
법화경
1.방편품
2.비유품
3.신해품
4.여래수량품
5.상불경보살품
6.관세음보살보문품
7.보현보살권발품
열반경
1.순타 이야기
2.오래 사는 이야기
3.금강 같은 몸
4.여래의 성품
5.비유로 말씀하심
3권
팔만대장경 율장
율장
1.계율을 찬탄함
2.계율을 마련하신 까닭
3.율장의 계율
4.계(戒)에 대하여
5.율(聿)에 대하여
범망경
1.상권 말
2.하권 본
3.하권 말
4.10중금계
5.48경계와 지계
팔만대장경 논장
논장
화엄경탐현기
1.세간정안품
2.여래광명각품
3.10지품
중론
1.관인연품
2.관오음품
3.관고품
4.관업품
5.관법품
6.관인과품
7.관여래품
8.관열반품
대지도론
1.연기
2.여시아문일시
3.부처님의 광명은?
4.반야바라밀
5.37도품
6.초품중 9상
7.6신통
8.모든 부처님 세계를 보다
9.마하연품
10.평등품
11.촉루품
12문론
1.관인연문
2.관연문
3.관상문
4.관유상무상문
5.관인과문
6.관생문
법화경 종요
1.법화경 대의
2.법화경 종지
3.경문의 묘용(妙用)
4.법화경은 어떤 교(敎)에 속하는가?
열반경 종요
1.열반경 대의
2.세분하여 설명
조사,선사들 이야기
1.서천(西天) 제1조~제28조
2.중국 선종(禪宗)
중도
1.중도사상의 개요
2.유형,무형의 세계와 중도
3.중도사상의 명(名)과 실(實)
4.중도의 세계
윤회
1.윤회란?
2.불교의 세계관
3.윤회와 업
4.윤회의 주체
5.영가 윤회의 원리
6.사망 전후(前後)
7.중음신(中陰身)의 실상(實相)
8.윤회 속 영혼의 출생
9.영가의 부모 선택
10.인연과의 법칙과 인종
11.불교의 시간관
12.우주의 성립관
13.태초 인간과 흥망
14.인간의 멸망과 우주의 소멸
삼계
1.욕계(欲界)
2.색계(色界)
3.무색계(無色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