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88991847552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08-05-31
책 소개
목차
강남원림 지도/ 책을 내며/ 중국원림건축의 특징
1. 졸정원 拙政園
2. 사자림 獅子林
3. 우원 ?園
4. 망사원 網師園
5. 창랑정 滄浪亭
6. 환수산장 環秀山莊
7. 예포 藝圃
8. 유원 留園
9. 퇴사원 退思園
10. 첨원 瞻園
11. 후원 煦園
12. 편석산방 片石山房
13. 기소산장 寄嘯山莊
14. 개원 個園
15. 평산당서원 平山堂西園
16. 기창원 寄暢園
17. 추하포 秋霞圃
18. 고의원 高?園
19. 예원 豫園
20. 곡수원 曲水園
21. 취백지 醉白池
22. 소련장 小蓮莊
23. 기원 綺園
24. 곽장 郭莊
25. 서령인사 西?印社
26. 난정 蘭亭
정원을 나서며
부록
건축공간유기론 개설
한.중.일 원림 비교
인명 해설/ 용어 해설
참고문헌/ 인명 색인/ 사항 색인
중국역사 연대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매는 물이 없는 땅에 묶여 고요하나, 물에 접했어도 어차피 출항할 수 없었을 배는 이상향으로 달려간다. 대조적인 두 공간은 수향사를 연결체로 하여 교류한다. 대칭적이고 정적인 기세는 수향사에서 한꺼번에 흐트러지며 역동적인 리듬을 타기 시작한다. 토사초당은 안정된 기단 우에서 전체 흐름의 기조를 지키는 역할을 하고, 회랑이라는 사를로 묶인 건축들은 질서의 중심을 향해서 서로 짝이 되어 마주한다. 제각각 정면으로 마주치지 않은 건축들의 조합은 연속된 하나의 외부공간에서 섞여 기 흐름을 조율한다. - 본문 143쪽에서
원의 남쪽으로는 대규모 연못과 그에 면한 몇 개의 청당과 호수를 굴곡지면서 가로지르는 다리 및 호심정이 있는데, 근대 이후의 것이다. 연못의 남쪽은 제법 울창한 숲으로 역시 대나무가 수종이다. 또 이 새로운 연못의 동북쪽에는 흑백색으로 구성된 기이한 풍모의 정자가 있는데, 작고 예쁜 연못에 면해 있고, 연못에 연꽃이 한창일 때는 한 폭의 그림이 된다. - 본문 22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