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91847682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09-10-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중국와당의 변천
1. 서주의 와당
2. 춘추전국시대의 와당
1) 동주의 와당
2) 통일 전 진의 와당
3) 제의 와당
4) 연의 와당
3. 진·한의 와당
기문 대형 반원형와당 | 사신도와당 | 문자와당 | 동물문와당 | 운문와당 | 기타
4. 위진남북조시대의 와당
1) 오진남조의 와당
운문와당 | 인면문와당 | 귀면문와당 | 연화문와당 | 연목와
2) 위진북조의 와당
운문와당 | 문자와당 | 연화문와당 | 귀면문와당 | 인면문와당 | 인동문와당 | 기타
5. 수·당의 와당
양주 출토 와당 | 낙양·서안 출토 와당
6. 오대·송·유목민족 국가의 와당
1) 오대와 송의 와당
2) 요·금·원의 와당
7. 명·청의 와당
2부 한국과 일본와당의 원류
8. 고구려의 와당
운문와당 | 연화문와당 | 귀면문와당 | 인동문와당 | 차륜문·초화문·기하문와당 | 반원형와당
9. 백제의 와당
연화문와당 | 초화문·동그라미문와당 | 연목와·무문와당·파문와당 | 인면문와당
10. 고신라의 와당
연화문와당 | 인면문와당 | 귀면문와당 | 충주 탑평리 출토 와당
11. 통일신라의 와당
복판·중판 연화문과 보상화문 | 주연부 장식 | 새로운 형태와 문양의 와당 | 암막새 | 귀면문와당과 귀면와
12. 발해·고려·조선의 와당
1) 발해의 와당
2) 고려의 와당
3) 조선의 와당
13. 일본의 와당
연화문와당 | 복판 연화문·연주문·거치문와당 | 인동문와당 | 보상화문·당초문·포도당초문·중호문와당 | 귀면문와당과 귀와 | 연목와·암막새 | 와당의 턱 문양 | 문양의 일본화와 가문
후기 | 미주 | 참고문헌 | 도판목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1978년 8월 5일,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국보 6호 중앙탑 주변의 밭에서 기와 파편을 처음 줍던 순간을 잊을 수가 없다. 이 와편은 내 와당 수집의 시초가 되었다. 당시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의 검사로 근무하고 있었고, 이렇게 시작된 와당 수집은 벌써 30년을 넘어 계속되고 있다.
그날 탑평리에서 발견한 연화문와당은 단숨에 나를 유혹했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연꽃잎이 6개인 것은 고신라와당의 특색이고, 회백색의 태토는 백제와당의 맛이다. 연꽃잎의 웅건한 모습은 고구려의 개성을 지녔다. 어떻게 해서 하나의 와당이 세 나라 와당의 기질을 모두 지니게 되었나. 이 와당이 나를 와당 수집에 빠져들게 한 장본인이다.
한국과 일본의 와당은 그 뿌리가 중국와당에 있기 때문에 중국와당을 알지 못하면 한·일 와당의 발전과정을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또 중국과 한국의 와당을 알지 못하면 일본와당의 변모과정을 완전히 해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대로 한·일 와당을 연구하여야 그 원류가 되는 중국와당의 실체와 변화과정을 정확히 소화할 수 있다. 세 나라의 와당을 상호 비교하면서 함께 연구해야 하는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고대인들은 왜 잘 보이지도 않는 처마 끝에 이처럼 아름다운 와당을 매달고 살았는가. 그 이유는 고대인들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 종교와 철학적 자세 때문일 것이다. 현재의 품위 없는 고층의 주거환경과 비교하면서 그들처럼 문화와 예술을 즐기며 품격 있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오랫동안 수집한 와당을 2002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것은 와당이 준 깨우침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한 것이었다. 2008년 유금와당박물관을 개관한 것도, 이 책을 출간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다. 이 책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인생과 역사에 대한 이해,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