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91909342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9-05-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뉴미디어의 역사를 기록하며
대담#1 뉴미디어란 무엇인가
chapter 1 트렌드를 이끄는 글로벌 뉴미디어
버즈피드 : 세대차이
뉴욕타임스 : m&a 시장의 부재
538 : 데이터 차이
바이스 : 기술보다 정체성
쿼츠 : 혁신은 외부에서
하이프비스트 : 소재부터 달라야 한다
브레이트바트 : 뉴미디어와 정치
알렉스 존스 : 음모론이라는 괴물
링크드인 : 수익의 비결은 콘텐츠가 아닌 연결
텍스쳐 : 올드 미디어가 안되는 이유
쉽스테드 : 180년 된 뉴미디어 기업
훌루 : 방송사가 새 시대에 적응하는 법
로튼 토마토 : 네 말보다는 다수의 말
트위치 : 누구나 방송사가 된다
알렉사 : 새 시대의 플랫폼 음성 비서
구글 : 성공한 뉴미디어는 이미 우리 눈 앞에
대담#2 글로벌 뉴미디어와 국내 뉴미디어
chapter 2 규모는 작아도 다양한 도전을 하는 한국 뉴미디어
메디아티
아웃스탠딩
마이피아니스트
인생공부
체인지그라운드
뉴스래빗
딩고
IT 유튜버 ‘Dmonk’
리뷰왕 김리뷰
쥐픽쳐스
음악 뉴미디어, 윤종신
음악 전문 소셜미디어 스타 ‘JAYM’
대담#3 한국 뉴미디어 시장의 미래
chapter 3 뉴미디어 현장백서
1만 좋아요 대박 콘텐츠 제작기
떠 먹여주는 콘텐츠가 대박을 친다
김 기자의 유튜브 도전기
영어 유튜브, 1년간 해보니
뉴미디어와 정치
방탄소년단의 미국 정복, 그 비결은 유튜브?
평범한 주부의 유튜브 성공기 ‘미수리 스타 퀼트’
시대가 바꾼 영화배우의 모습, 말런 웨이언스
브랜드 저널리즘, 언론의 위기
뉴미디어 인플루언서, 메인 스트림을 넘보다
에필로그 다양성과 무한경쟁의 바다를 항해하는 선장들을 위하여
책속에서
정치권의 뉴미디어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전문가들이 꾸준히 목소리를 내며 댓글 부대 창설과 같은 부작용을 걸러내야 한다. 또한 뉴미디어 비서관실을 갖춘 청와대를 비롯해 보좌 인력 풀이 넓은 광역지자체에서 먼저 다양한 시도를 통해 문화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취임 이후에도 지속해서 새로운 방식의 뉴미디어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는 편이다. 후보 시절에는 치매 국가책임제 등 굵직한 대선 공약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뉴미디어 채널을 통해 배포했다. 소셜 커머스 형식을 차용한 ‘정책 1번가’도 색다른 뉴미디어적 시도였다.
정치인의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홍보하는 여타의 홈페이지와 달리 정책 1번가에서는 마치 커머스에서 물건을 사듯 정책에 투표할 수 있었고, 이는 인터렉티브interactive(사용자와의 상호작용)라는 뉴미디어의 원칙을 반영한 것이다. 뉴미디어 플랫폼만 차용한다고 해서 모두 뉴미디어적 시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 뉴미디어의 주요한 특징이다. 결국 정책 1번가는 다른 정치인의 뉴미디어 페이지와 차별화 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대통령 당선 후에도 ‘광화문 1번가’로 이어지게 됐다.
(본문 <뉴미디어와 정치> 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