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1 : 고조선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1 : 고조선

이종호 (지은이)
북카라반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8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400원 -10% 420원 7,140원 >

책 이미지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1 : 고조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1 : 고조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91945814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5-10-23

책 소개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1권. 고조선은 건국 연대, 도읍지 위치, 사회, 정치 등 많은 점이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고조선의 중심지가 어디인지에 대한 결론도 도출되지 못한 상태다. 이 책에서는 우선 <삼국유사>에서 전하는 네 곳의 중심지를 찾아, 그곳에 깃든 단군조선의 흔적을 톺아본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고조선 유적 답사
제1장 샤자뎬 하층문화와 상층문화
샤자뎬 유적: 청동기 유물의 보고
청쯔산 산성: 고대의 소도
싼쭤뎬 유적: 석성에서 보이는 조상의 얼
다뎬쯔 유적: 지배자의 탄생
얼다오징쯔 유적: 드러난 고대인의 생활 문화

제2장 인쉬 유적

제3장 고조선의 도읍지
평양성: 신비로 남은 고조선의 첫 수도
백악산 아사달: 한민족의 혼이 서린 명산
장당경: 패수에 감겨 흐르는 낙랑의 고향

제4장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기자조선의 도읍지, 고죽국
위만조선의 수도,험독

제5장 고조선 관련 유적 답사
강상무덤·누상무덤: 계급사회 고조선의 순장 풍습
고인돌: 굳건히 선 고조선의 유산
무씨사당: 돌에 새긴 건국신화
진개묘: 기자조선 흥망의 흔적

제2부 끊임없는 고조선 논쟁
제1장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논쟁

제2장 기자조선을 탈취한 위만

제3장 현대와 다른 랴오둥의 위치

제4장 위축되는 고조선

제5장 기자조선, 위만조선의 증거

나가는 말


들어가는 말

제1부 고조선 유적 답사
제1장 샤자뎬 하층문화와 상층문화
샤자뎬 유적: 청동기 유물의 보고
청쯔산 산성: 고대의 소도
싼쭤뎬 유적: 석성에서 보이는 조상의 얼
다뎬쯔 유적: 지배자의 탄생
얼다오징쯔 유적: 드러난 고대인의 생활 문화

제2장 인쉬 유적

제3장 고조선의 도읍지
평양성: 신비로 남은 고조선의 첫 수도
백악산 아사달: 한민족의 혼이 서린 명산
장당경: 패수에 감겨 흐르는 낙랑의 고향

제4장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기자조선의 도읍지, 고죽국
위만조선의 수도,험독

제5장 고조선 관련 유적 답사
강상무덤·누상무덤: 계급사회 고조선의 순장 풍습
고인돌: 굳건히 선 고조선의 유산
무씨사당: 돌에 새긴 건국신화
진개묘: 기자조선 흥망의 흔적

제2부 끊임없는 고조선 논쟁
제1장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논쟁

제2장 기자조선을 탈취한 위만

제3장 현대와 다른 랴오둥의 위치

제4장 위축되는 고조선

제5장 기자조선, 위만조선의 증거

나가는 말

저자소개

이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의 뻬르피냥(Perpignan)대학에서 공학박사(기계공학) 학위와 과학국가박사(물리학)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문부성이 주최하는 우수논문상을 수상하고 해외유치과학자로 귀국하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과학기술교육연구센터(http://sterc.co.kr) 등에서 연구활동을 했다. 과학기술처장관상, 태양에너지학회상, 한국발명교육학회 논문상, 국민훈장 석류장 등을 수상했으며 기초없이 50층 이상 빌딩을 올릴 수 있는 ‘역피라미드 공법’ 등을 20여 개국에 출원하는 등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왕성한 활동으로 과학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현재 한국과학저술인 협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우리 문화유산』, 『한국 7대 불가사의』, 『과학으로 찾은 고조선』, 『황금보검의 비밀』, 『과학으로 증명된 한국인의 뿌리』, 『천재를 이긴 천재들』, 『로봇, 인간을 꿈꾸다』,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신성장동력』, 『유네스코 선정 한국의 세예문화유산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선정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장편소설 『피라미드(전 12권)』, 『레전드클레오파트라(4권)』 등 총 130여권의 과학기술분야 저작을 출간하여 ‘출판 센츄리 클럽(100권 이상 저자)’ 일원이 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고조선 답사 루트는 두 갈래로 나눠보는 게 효율적이다. 첫 번째 갈래는 단군조선의 탄생과 연대가 유사한 샤자뎬夏家店 하층문화를 찾아보는 것이다. 많은 학자가 샤자뎬 하층문화에 고조선이 존재했음이 분명하다고 이야기하지만, 고조선의 중심지가 어디인지 확정적으로 단정된 곳은 없다는 게 이곳을 답사할 때의 난점이다. 더불어 샤자뎬 하층문화 유적은 네이멍구 아오한기 지역에만도 2,300여 곳 이상이므로 이를 일일이 찾아다니는 것도 간단한 일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학자들이 샤자뎬 하층문화에서 고조선이 성립되었다고 비정하는 중점적인 유적을 찾아본다. 이 일정에는 샤자뎬 상층문화에서 내려간 은나라의 유적지 인쉬殷墟도 포함된다. 두 번째 갈래는 고조선 후대 중 비교적 사료가 남아 있는 지역을 답사하는 것이다. 고조선 후대로 가면 기자조선, 위만조선이 핵심으로 등장하는데,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의 터전은 비교적 상세하게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고인돌, 순장 무덤, 무씨사당 등 고조선을 대표하는 유적지가 포함된다.
「들어가는 말」,


『삼국유사』는 단군이 아사달(평양성)→백악산 아사달→장당경을 거쳐 최초의 수도였던 아사달로 다시 돌아가 산신령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2,000여 년에 걸친 장구한 시기 동안 고조선에 네 번의 수도 이전이 있었다는 것이다. 일연은 고조선의 수도가 한반도 북부에 있었다고 하며, 아사달의 위치를 무엽산, 백악 등 산으로 이해했다. 그 결과 아사달을 백주 또는 개성 동쪽의 백악궁으로 비정했다. 한편 이승휴는『제왕운기』에서 황해도 구월산을 아사달로, 『고려사』에서는 지금의 평양을 아사달로 비정했다. 반면 고조선의 수도가 한반도에 있지 않다는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따르자면, 고조선의 수도는 한반도가 아니라 중국에서 찾아야 한다.
「제3장 고조선의 도읍지」,


단군과 관련된 내용은 비단 고구려 벽화에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단군 탄생 설화에 대한 증거는 한국이 아니라 중국에서 발견된다. 기원후 17년부터 168년까지 4대를 모신 후한 시대 무씨 집안의 무씨사당은 산둥성 자샹현에서 동남쪽으로 11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는 우자이산 아래 우자인샨촌 북쪽에 있다. 언젠가 하수가 범람해 토사가 밀리는 바람에 한때 흙속에 묻혀 있다가, 청나라 건륭 51년(1766)에 황역黃易이라는 사람이 발굴해 벽돌로 사당을 세우고 내부 벽에 화상석?像石을 끼워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이 중에서 한국인의 주목을 끄는 것은 후석실後石室의 제2석과 제3석이다.……후석실 제2석에서, 구름 위에서 지상을 내려다보고 있는 두 사람 중 수염 있는 남자가 환인이고, 환인의 오른쪽에서 세 번째 천사가 들고 있는 3개의 구슬은 환웅이 받아온 3개의 천부인을 의미한다. 그림 아래쪽 우측의 세 봉우리는 삼위태백이다.……제3석 3층의 이인기수異人奇獸그림은 단군 탄생 설화를 그린 것으로 알려진다. 이 그림은 천상에 있는 것도 아니고 날개를 달고 있는 것도 아닌 것으로 보아 지상의 일을 담고 있다. 그림의 중심은 우측에 있는 두 괴인인데 화면의 모든 인물이 그곳을 향해 있다. 두 괴인 중 오른쪽이 호랑이고 왼쪽이 곰이다.……제3석 4층은『삼국유사』의 기록 그대로, 단군 탄생 후의 고조선 건국과 국가 경영을 유추할 수 있는 대목으로 추정한다. 마상에 앉아 민생을 살피는 귀인은 단군으로 볼 수 있고, 곡물의 이삭을 상징적으로 한쪽 어깨에 메고 있는 사람, 짐승을 잡거나 메고 가는 사람 등이 농업과 수렵과 목축업에 종사하는 백성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환웅이 아버지 환인에게서 물려받아 내려온 홍익인간의 이념을 이 땅에 구현하고 있는 장면이라는 설명이다.
「무씨사당: 돌에 새긴 건국신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0050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