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2 : 훙산문화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2 : 훙산문화

이종호 (지은이), 윤명도 (사진)
북카라반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900원 -10% 2,500원
550원
1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3,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700원 -10% 380원 6,550원 >

책 이미지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2 : 훙산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2 : 훙산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91945821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15-10-23

책 소개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2권. 화하족이 중심이 된 중원의 황허문명보다 오래되었으며,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인더스문명보다도 1,000여 년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훙산문화'. 훙산문화의 유적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그곳에서 발견되는 한민족의 흔적을 좇는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훙산문화 유적 답사

제1장 뉴허량 ‘신비의 왕국’
뉴허량 유적: 묻혀 있던 여신이 발견되다
둥산쭈이 유적: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

제2장 동이족 치우 유적

제3장 신석기를 아우르는 훙산문화
츠펑: 훙산문화의 중심지
선훙산문화와 협의의 훙산문화
■ 샤오허시문화
■ 싱룽와문화
■ 차하이문화
■ 푸허문화
■ 자오바오거우문화
■ 샤오허옌문화
■ 샤자뎬 하층문화와 상층문화

제2부 훙산문화란 무엇인가?

제1장 중국의 작위적 역사 다시 쓰기

제2장 치우와 중국의 동북공정

나가는 말

저자소개

이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의 뻬르피냥(Perpignan)대학에서 공학박사(기계공학) 학위와 과학국가박사(물리학)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문부성이 주최하는 우수논문상을 수상하고 해외유치과학자로 귀국하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과학기술교육연구센터(http://sterc.co.kr) 등에서 연구활동을 했다. 과학기술처장관상, 태양에너지학회상, 한국발명교육학회 논문상, 국민훈장 석류장 등을 수상했으며 기초없이 50층 이상 빌딩을 올릴 수 있는 ‘역피라미드 공법’ 등을 20여 개국에 출원하는 등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왕성한 활동으로 과학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현재 한국과학저술인 협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우리 문화유산』, 『한국 7대 불가사의』, 『과학으로 찾은 고조선』, 『황금보검의 비밀』, 『과학으로 증명된 한국인의 뿌리』, 『천재를 이긴 천재들』, 『로봇, 인간을 꿈꾸다』,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신성장동력』, 『유네스코 선정 한국의 세예문화유산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선정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장편소설 『피라미드(전 12권)』, 『레전드클레오파트라(4권)』 등 총 130여권의 과학기술분야 저작을 출간하여 ‘출판 센츄리 클럽(100권 이상 저자)’ 일원이 되었다.
펼치기
윤명도 (사진)    정보 더보기
석하사진문화연구소(www.beautia.co.kr) 1975년 대학미전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사진 전람회(국전), 국제 사진 살롱, 전국사진공모전 입상 및 입선 다수 유로크레온(EuroCreon), 이미지클릭(ImageClick) 역사관련 이미지스톡 작가 네이버 블러그 http://blog.naver.com/2908y 2908y@naver.com 『뉴시스』영상제작국 객원 기자(2008년~2011년) 「윤명도역사스페셜」,「윤기자여행사진」연재 세계닷컴「윤석하 포토에세이」연재(2007년~2012년) 『동아일보』「고구려 이야기」사진 연재(2014년 1월~2014년 6월) KBS <3,000년의 퍼즐> 방송(2009년) 동북아 지역(중국·몽골·연해주·러시아) 한국 고대사 관련 역사 사진 전문가 게티이미지 역사 관련 이미지스톡 작가 현재 석하사진문화연구소(http://blog.naver.com/2908y) 대표
펼치기

책속에서

훙산문화의 북쪽 경계는 일반적으로 시라무룬강을 넘어 네이멍구 초원에 이르며 동쪽 경계는 이우뤼산을 넘어 시랴오강이 있는 서안 일대까지 다다른다. 남쪽 경계의 동쪽 끝은 보하이 연안, 서쪽 끝은 옌산산맥을 넘어 허베이평원 북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넓은 의미의 훙산문화는 랴오허 일대를 모두 포함하며 연대는 기원전 8000~7000여 년으로 올라간다. 좁은 의미의 훙산문화는 네이멍구와 랴오닝성의 접경 지역인 츠펑, 차오양, 링위안, 카쭤, 젠핑 등을 중심으로 분포된 유적지를 말하며 연대는 기원전 3500년으로 올라간다. 훙산문화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선훙산문화와 협의의 훙산문화로 나뉜다. 선훙산문화에는 샤오허시小河西문화, 싱룽와興隆窪문화, 차하이査海문화가 포함되며 후자에는 푸허富河문화, 자오바오거우趙寶溝문화, 훙산문화가 포함되고, 후 훙산문화로는 샤오허옌小河沿문화를 거론하는데 이들 사이에 계승과 공존·교차 등 다양한 관계가 존재함은 물론이다.
「들어가는 말」,


적석총은 중국과 전혀 다른 묘제다. 적석총은 랴오허 일대에서 한민족의 터전으로 이동하지만 중원 지역으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중국은 땅을 파서 묘실을 만들고 시신과 유물을 안장하는 토광묘土壙墓가 주류를 이루었고, 주나라 때에 들어서야 비로소 나무로 곽을 짜서 묘실을 만드는 목관 묘가 유행했다. 죽은 사람을 매장하는 풍습은 오랜 기간 변하지 않고 완고하게 그 민족 고유의 전통으로 내려온다. 특히 무덤은 지역 집단의 공통된 참여를 통해서 축조되므로 무덤의 성격에 따라 무덤을 만든 민족의 유사성을 구분할 수 있다. 중국과 동이족의 무덤이 원천적으로 다른 것은 이들 문명이 근원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어떤 민족이 타 민족을 정복했을 경우 선주민의 묘를 파괴하는 분묘 파괴 행위가 나타난다. 이것은 분묘가 자신과 선조와의 계승 관계를 확인하는 행위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훙산문화와 동일한 적석총을 채용한 나라는 고조선이다. 그러므로 고조선문화의 전 단계인 훙산문화는 동북아시아의 강대국가를 이룩했던 고조선의 선조들이 이룩한 문화다. 적석총은 한반도와 만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한민족의 전형적인 무덤으로 고구려와 백제 초기까지 이어진다. 동이족의 근거지라고 간주되는 훙산 지역은 물론, 만주와 한반도에서 적석총이 계속 이어져왔다는 것은 민족이 계승되었음을 의미한다. 동이족이 중국과 다른 차별성을 갖고 있다고 부단히 주장하는 이유다.
「톺아보기: 적석총」,


훙산인들은 정신문화 범주에 속하는 옥이야말로 물질문화를 배척하고 정신문화를 중시하는 절대적인 표상으로 생각했다. 옥은 장식으로서 예술적 가치 이외에, 신분과 지위를 상징하는 정치적인 의미와 옥기를 매장해서 영생을 기원하는 종교적 의미도 갖고 있다.……옥 문화는 일찍부터 한반도에도 전파되었다. 강원도 고성군 문암리 선사 유적지에서 ‘국내 최초의 신석기시대 결상이식(한쪽을 뚫은 옥 귀걸이)’이 발견되었다. 문암리 유적은 그동안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으로 알려진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 유적과 비슷하거나 보다 오래된 것으로 훙산문화와 시기가 엇물린다. 이들 유적지에서 초기 신석기문화의 양대 토기로 인식하는 덧띠무늬토기와 빗살무늬토기가 함께 출토되는데,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인 신희권은 차하이와 싱룽와에서 발견된 토기와 문양을 그려 넣은 기법이나 토기의 기형이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안도리 1313번지에서 발견된 6,000여 년 전 신석기 무덤에서도 결상이식이 발견되었다. 신석기시대 패총에서 몸체 정면을 하늘을 향해 나란히 눕힌 동시대 사람 뼈 2구, 불 땐 자리가 발견되었는데, 인골은 손에 조개 팔찌를 차고 있었고 둥근 고리의 결상이식 등을 소지하고 있었다. 뉴허량 지역의 신비의 왕국에서 발견된 결상이식과 같은 형태의 옥 귀걸이가 한반도 중부인 강원도를 비롯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당대의 훙산문화가 한반도 전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단적인 증거라고 볼 수 있다.
「톺아보기: 훙산의 옥 문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0050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