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8899199051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7-05-28
책 소개
목차
제1장 시로 읽는 '한글 맞춤법'
김소월 - 님의 노래-모음조화와 표기 원칙(1)
네루다 - 시-모음조화와 표기 원칙(2)
한용운 - 가갸날-모음조화와 표기 원칙(3)
나태주 - 봄 햇볕 새로이 눈을 트면-사이시옷 표기 원칙(1
안도현 - 3월에서 4월 사이-사이시옷 표기 원칙(2)
신경림 - 파주의 대장장이를 만나고 오며-사이시옷 표기 원칙(3)
박남수 - 마을-언어 화석과 표기(1)
이동순 - 뒤웅박-언어 화석과 표기(2)
도종환 - 억새풀-합성어와 파생어의 /ㄹ/ 탈락과 표기
나태주 - 사랑하는 마음 내게 있어도-용언의 /ㄹ/ 탈락과 표기
정현종 - 어디 들러서-/으/ 탈락과 표기
문태준 - 개미-/ㅎ/ 탈락과 표기3
김용택 - 그 여자네 집-두음법칙과 표기 원칙(1)
최영미 - 선운사에서-두음법칙과 표기 원칙(2)
박목월 - 난-두음법칙과 표기 원칙(3)
김상미 - 질투-두음법칙과 표기 원칙(4)
노향림 - 어떤 개인 날-‘이’ 삽입의 오류
윤동주 - 쉽게 씌어진 시-준말 표기 원칙(1)
김선우 - 단단한 고요-준말 표기 원칙(2)
이재무 - 제부도 준말 표기 원칙(3)
한용운 - <사랑>을 사랑하여요-준말 표기 원칙(4)
정일근 - 부석사 무량수-준말 표기 원칙(5)
문정희 - 밤(栗) 이야기-파생 접사 ‘-이’, ‘-히’의 표기
도종환 - 꽃씨를 거두며-명사형 어미 ‘-(으)ㅁ’의 표기
전기철 - 신당동으로 떡볶이를 먹으러 간다-파생 접사 ‘-이’와 명사형 어미 ‘-기’의 구별
고 은 - 천은사운(泉隱寺韻)-경험의 직접성 여부 구별
최승호 - 조개껍질 1-감각의 유형화와 표기
김동환 - 웃은 죄 문체의 차이와 표기
이준관 여름밤 명령법의 유형과 표기
강은교 - 저물녘의 노래-발음의 영향과 표기(1)
홍해리 - 百草가 百病을 다스리듯-발음의 영향과 표기(2)
서정주 - 니르바나 이야기-기억의부담과 표기의 통합
유안진 - 약속의 별-의미의 정밀화와 단어의 구별
김동선 - 미루나무-길이와 분량에 대한 인식과 표기
김춘수 - 꽃-형용사와 동사의 구별
오세영 - 바다-‘까닭’과 ‘수단’의 구별
허영자 - 목마른 꿈으로서-‘수단’과 ‘자격’의 구별
제2장 시로 읽는 '띄어쓰기'
김형효 - 길 가는 노래(2)-띄어쓰기의 단위와 원칙
목필균 - 낡은 기억 속으로-단어의 정의와 띄어쓰기
장석남 - 멧새 앉았다 날아간 나뭇가지같이-조사의 띄어쓰기
김시천 - 도화지 한 장의존명사의 띄어쓰기
김귀례 - 촛불활용어미의 띄어쓰기
나희덕 - 흰 광목빛합성명사와 명사구의 띄어쓰기
김용화 - 그 겨울의 끝한자어의 띄어쓰기
고정희 - 우리 동네 구자명씨―여성사 연구 5성명과 호칭어, 직함의 띄어쓰기
제3장 시로 읽는 '문장부호'
이대흠 - 마침표를 먼저 찍다-온점의 표기
고재종 - 파안-느낌표의 표기
김광규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가운뎃점의 표기
이향아 - 찻잔을 씻으며-반점과 가운뎃점의 구별
김준태 - 참깨를 털면서-큰따옴표의 표기
이동순 - 아버님의 일기장-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의 구별
정희성 - 민지의 꽃-줄임표의 표기
제4장 시로 읽는 '표준어 규정'
목필균 - 꽃구경-어원에서 멀어진 형태의 수용
박성룡 - 메밀꽃-고어(古語)와 신어(新語)의 구별
김경윤 - 내 마음의 소쩍새-준말의 표준어 수용
윤곤강 - 아지랭이-움라우트와 표준어(1)
도종환 - 담쟁이-움라우트와 표준어(2)
문정희 - 그리운 도깨비-전설모음화와 표준어
강동길 - 하얀 조가비-‘오>우’ 변화와 표준어
정소슬 - 장날-어감의 차이와 표준어
이진엽 - 완강한 옥수수-복수 표준어
김동환 - 산 너머 남촌에는-시적 허용과 표준어
정일근 - 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 이중모음 /의/의 발음과 표준어
제5장 시로 읽는-'외래어 표기법'
이생진 - 바람맞았을 때받침 표기 원칙
이영식 - 짜장 기념일된소리 표기 원칙
김용관 - 계란 후라이꽃일본식 발음 표기 원칙
심재휘 - 그 빵집 우미당이중모음 [ou]와 장모음 표기 원칙
안성길 - 죽음처럼 긴 잠영국식 표준 발음 반영
김동리 - 비 젖는 언덕에서오래된 관용 존중
박형준 - 방주외래어의 순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