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계간지/무크
· ISBN : 977159886940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3-05-31
책 소개
목차
기획 논문
일본 국어사전과 규범_이자호
현대 중국어 언어 규범과『現代漢語詞典』의 변천_장선우
『표준국어대사전』의 규범성과 해석_정희창
일반 논문
국어사전에서 용언의 논항 정보와 관련된 쟁점 연구_김선혜
『한국외래어사전』(1970)의 구조 및 의의_김아영
『한국어기초사전』의 구 단위 표제어 선정 방안 연구_손연정·강현화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부가 정보 ‘어원의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_정은진·허인영
‘아니’의 의미·화용적 기능 고찰 및 사전 기술 방안_조민정
서평 논문
한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_이윤미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고는 일본의 국어 시책이 일본 국어사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에 관해 서술한 것이다. 특히, 현대 일본의 대표적인 사전이며 본고에서 언급하는 일본의 국어 시책 발표 중에 출판된 『日本語大典(제1판, 1972∼1976)과 『日本語大典』출판 이전의 사전인『広辞苑』(1955), 그리고 가장 최신 소형 일본 국어사전인『新国語辞典』(2022)을 중심으로 일본 국어 시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본 국어 시책이 제정되기 전과 후의 사전을 비교함으로써 일본 국어사전에 규범의 반영 정도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 “일본 국어사전과 규범” 중에서
중국에서는 1900년대 초부터 현대 중국어 언어 규범을 제정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고, 1949년 ‘보통화’라는 이름으로 표준어를 대중에 보급하게 되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언어 규범을 담은 사전인『現漢』의 편찬이 기획되었다.
본고는 지금까지 출간된 총 7개의 판본에 실린 ‘일러두기’를 통해, 사전 구조에 영향을 미친 항목을 위주로 수정 보완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특히, 발음 정보, 어휘 사용역 정보, 어법 정보 방면에서 판본별로『現漢』의 처리 현황과 변화 과정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시대를 거듭하며 개정된『現漢』은 언어 규범을 따르면서도 언어 실제를 반영해야 하는 두 가지 임무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규범성을 갖춘 사전은 언어 규범을 반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용 목적에 따라 구성 체계와 원칙이 강화되어야 사전의 권위성, 상용성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현대 중국어 언어 규범과『現代漢語詞典』의 변천” 중에서
『표준국어대사전』의 규범 체계는 사전의 구체적인 형식인 ‘표제어, 발음, 활용, 뜻풀이’부터 ‘문법 정보, 용례’가 모두 규범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해석은 기존의 사전보다 규범성이 확장된 것으로 언어생활의 준거로 표준이 지닌 위상은 절대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지만『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어문 규범을 사전의 체계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한글 맞춤법이나 문법서와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규범이 공시적으로 적용된다면 사전은 통시와 공시의 복합적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표준국어대사전』은 종이 사전에서 인터넷 사전으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우리말샘』과의 공존을 통해 역할을 재정립하고 있다. 국어사전을 통한 언어 정책의 실현과『표준국어대사전』과 『우리말샘』의 공존은 향후의 사전 정책과 방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규범 체계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설정될 필요가 있다.
- “『표준국어대사전』의 규범성과 해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