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199860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문
제1장 상대강도의 개념
상대강도란 무엇인가
상대강도선이란
왜 상대강도가 중요할까
제2장 상대강도의 해석법
상승형과 하락형 상대강도 다이버전스
추세 반전신호
- 이동평균 교차
- 추세선 이탈
- 주가 패턴
제3장 시장을 통해 본 상대강도의 예
S&P 석유와 컴퓨터업종
개별 종목과 상대강도 분석
휩소 찾기
열린 마음을 유지하라
상대강도와 단기 모멘텀
제4장 평활 장기 모멘텀
시장 사이클 모델
주추세가 투자자와 단기 트레이더 모두에게 중요한 이유
장기 모멘텀
- 스토캐스틱
- 추세 편차(주가 오실레이터)
업종에서 종목으로
제5장 새로운 오실레이터 KST
개요
KST와 평활 장기 모멘텀 비교
제6장 금융시장과 비즈니스 사이클
사이클은 규칙적인 사건의 순서에 따른다
비즈니스 사이클의 순서
금융시장과 비즈니스 사이클
제7장 채권, 주식, 상품 변곡점의 연대기
개요
이자율이 최고점에 이르다
- 신용수요가 감소하다
- 통화공급이 증가하다
주식이 바닥을 치다
상품이 바닥을 치다
상품가격의 고점
더블 사이클
비즈니스 사이클의 6단계
주요 강세장과 약세장의 특징
제8장 비즈니스 사이클을 둘러싼 업종 순환
사이클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으로 분할된다
인플레이션 민감업종과 디플레이션 민감업종 비교
주식시장은 어떻게 채권수익률과 상품가격의 추세를 예고하는가
선행업종과 후행업종의 관계
제9장 주요 변곡점에서 업종 및 종목 선정하기
종목 선정에 효과적인 하향식 접근법
다선보험업종
손해보험업종
증권주
제10장 전략적 관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순환적 주도주의 변화를 밝히다
손해보험업종과 알루미늄업종의 상대강도비율
후행업종 분석
1986년 후반 후행업종 신호-반도체주
제11장 장기전망과 단기신호를 결합해 유망 종목 발굴하기 Ⅰ
제12장 장기전망과 단기신호를 결합해 유망 종목 발굴하기 Ⅱ
단기 매수신호 생성
단기 과매수, 과매도 환경
- 평활 상대강도지수
유망한 장기추세 찾기
52주 신고점 돌파 찾기
되돌림을 기다려라
[부록] 초장기 관점에서 종목 발굴하기
일반적인 원칙
주요 주가 패턴(장기 바닥)
리뷰
책속에서
상대강도선이 약세를 보이면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한다. 첫째, 주가가 신고점을 기록해도 상대강도선이 하락하면 더 나은 투자 대상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상대강도선이 하락하면 종종 주가의 기술적 지표가 그다지 좋지 않다는 경고다. 주가가 시장보다 느린 속도로 상승한다면 시장이 하락세로 전환되었을 때 이 종목은 하락할 확률이 높지 않겠는가?
매도신호 뒤에는 대체로 공매도기회가 이어지지만, 매수신호 뒤에는 매매 기회 대신 밀집이나 휩소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 점을 이해하는 것이 지극히 중요한데, 만약 휩소가 발생한다면 반드시 역추세 방향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단기 매수할 종목을 찾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살펴보고 있다면, 주요 강세장에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공매도할 종목을 찾는다면 살펴보고 있는 종목이 주요 약세장에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모멘텀을 적용하는 유용한 방법은 주가 추세신호의 종류로 오실레이터신호를 확인하는 것이다. (중략) 과매수 상태에서 형성된 신호 뒤에 주가 상승이 이어지지 않는다고 말하는 책은 없다. 그러나 0 수준 아래 혹은 0 수준 근처에서 형성된 교차야말로 적중할 확률이 훨씬 높다. 이 때문에 나는 트레이딩과 투자에 있어서 게릴라 접근법을 선호한다. 달리 말하면, 신호가 나올 때마다 아무 의심 없이 매수 혹은 매도하기보다는, 몇 가지 추세 역전의 증거가 분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행동에 옮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