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동화/명작/고전 > 국내창작동화
· ISBN : 9788992010207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07-03-02
책 소개
목차
스토리
선화와 신밧드의 운명적인 만남
해상왕국 신라와 이슬람 제국 아라비아
더 넓은 세계를 향해 나아가자
잃어버린 아버지를 찾아서
해적 토벌대 결성
승리의 북소리 울리다
정보 페이지
_ 김유성 단주 일행이 인도로 떠나는 일정
_ 신라 선박은 어떻게 생겼을까?
학습 팁
상업이 발달한 신라 | 신라의 관직 제도 | 이슬람 세계의 축제 | 사자 탈을 쓰고 추는 사자춤 |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이슬람 사람들 | 무슬림이란? | 무슬림들이 머리에 쓰는 터번 | 아라비아인이 본 신라 | 젓가락을 사용하는 나라 | 아라비아인들의 감탄사 ‘인샬라’ | 아라비아 상인이 파는 물건들 | 음식 맛을 살려 주는 향신료 | 천일야화, 《아라비안나이트》 | 이슬람교에 대한 오해 | 신라의 대표적인 절, 황룡사 | 마호메트 | 신라의 특산품 인삼 | 이슬람교의 중심지, 메카 | 메카의 카바신전 | 이슬람 신도의 5대 의무 | 인도를 방문했던 옛 사람들 | 나침반의 원료인 신라의 자석 | 장보고가 세운 적산 법화원 | 신라인들의 집단 거주지, 적산 신라방 | 아라비아어란? | 중국의 베니스, 양주 | 중국 적산현에 있던 신라방의 위치 | 천문 항법을 이용한 항해 | 신라의 항구, 당성 | 동아시아의 해적 | 지하드란? | 해적의 공격 방법 | 해상왕 장보고 | 청해진의 위치 | 값비싼 보석, 진주 | 아라비아인이 세운 나라 | 이슬람 역법과 금요일 | 일본에서 인기 높았던 신라 물건들 | 저우산군도 | 중국에 전해진 이슬람교 | 유향과 계피 | 우리 나라에 온 이슬람인에 대한 기록
리뷰
책속에서
"저는 당나라 양주에 있는 모하메드 상단의 신밧드라고 합니다. 상단의 단주이신 저희 아버님과 선화 아버님이 함께 해적에게 잡혀가신 것 같습니다. 그 외에도 모하메드 상단과 금성 상단의 많은 사람들이 함께 잡혀 있는 게 분명합니다."
"그래, 최근에 해적들이 노예로 파는 사람들 가운데 너와 같은 무슬림들이 있어서 나도 이상하게 여기고 있었단다. 네 생각이 맞을지도 모르겠다. 신밧드, 네가 바로 모하메드 단주님의 아들이구나. 나는 네 아버지 역시 잘 안단다. 아라비아 상인들 중에서 그만큼 신라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도 드물지."
장보고 대사는 신밧드에게 이것저것 자세히 물었습니다. 신밧드는 해골다넹 붙잡혔다가 하산과 함께 가까스로 탈출했으며, 해골단은 그들의 소굴을 아는 신밧드를 붙잡기 위해 계속 쫓아다닌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선화는 해골단이 쳐들어왔을 때 부두목이 신밧드를 붙잡지 못해 아쉬워했던 것을 떠올렸습니다. 그제야 신밧드가 왜 해골단에게 쫓기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본문 82~83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