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9206549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7-08-08
목차
01 신의 이름에 대해 | ‘신’에게 이름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12
02 이름에 대해 | ‘창조주’는 피조물과 유사한 존재인가? 18
03 삼위일체론에 대해 | 셋이 하나요 하나가 셋이란 무엇일까? 24
04 신의 현현에 대해 | 신은 인간의 공덕에 좌우되는 피동적 존재인가? 30
05 창조론에 대해 | 원인 없는 실체가 있을 수 있을까? 35
06 섭리론에 대해 | 개인의 악행은 누구의 책임인가? 43
07 인간론에 대해 | ‘나’라는 존재의 실체는 무엇인가? 49
08 원죄론에 대해 | 원죄는 신의 자기모순이며 폭정인가? 57
09 죄의 원인에 대해 | 각 개인의 죄악은 어디에서 오나? 63
10 형벌론에 대해 | 하나님은 무자비하고 가혹한 형벌집행자인가? 71
11 악마의 존재에 대해 | 악마와 죄는 상관관계가 있을까? 80
12 악마에 대한 신의 심판에 대해 | 형 집행이 미뤄질 때 악마는 어떤 기회를 갖는가? 86
13 귀신론에 대해 | 귀신의 정체는 무엇일까? 92
14 우상론에 대해 | 참된 교리를 어떻게 붙들 수 있는가? 98
15 내세론에 대해 | 지금 어떻게 ‘다음 생’을 논할 수 있을까? 104
16 선택론에 대해 | 절대자는 절대적 독재자인가? 110
17 율법론에 대해 | 하나님의 명령은 준엄할 뿐인가? 116
18 지배론에 대해 | 신의 인격은 불완전하여 믿을 수 없는가? 123
19 심성론에 대해 | 신의 마음과 인간의 마음은 비슷한 것일까? 128
20 성서론에 대해 | 경전은 사람이 만들어내는 것인가? 134
21 명칭론에 대해 | 인간은 스스로 구원을 성취할 수 있을까? 141
22 성령론에 대해 | 신성이 하나이든 셋이든 상관이 없을까? 147
23 신분론에 대해 | 죄성에 물든 몸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153
24 잉태론에 대해 | 구세주는 누구의 어떤 공력으로 태어나야할까? 159
25 탄생론에 대해 | 구세주는 어떤 모습과 현상으로 세상에 왔어야할까? 165
26 성장론에 대해 | 참된 구세주라면 세상에서 배우고 깨달을 필요가 있을까? 171
27 구원론에 대해 | 스스로 전능자가 되어야 할까? 전능자의 도움을 받아야 할까? 177
28 구원방법론에 대해 | 번뇌가 없어지는 것이 구원일까? 183
29 중생론에 대해 | ‘중생’ 즉, ‘다시 태어난다’는 것은 무엇일까? 189
30 회개론에 대해 | 회개는 어떻게 구원의 길이 되는가? 195
31 운명론에 대해 | 복된 운명에 어떻게 도달하는가? 200
32 기복론에 대해 | 복락을 구하는 것은 욕망의 소치일까? 208
33 사랑론에 대해 | 어떤 사랑이 참 사랑인가? 216
34 제자론에 대해 | 스승을 버린 제자들은 어떤 운명을 맞이해야 하나? 222
35 임종론에 대해 | 죽음을 죽이는 죽음이란 어떤 것일까? 226
36 부활론에 대해 | 부활은 옛 생명의 연장인가? 231
37 이적론에 대해 | 이적을 갈구하는 것은 부질없는 욕망인가? 237
38 소생론에 대해 | 삶을 슬픔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242
39 산상설교론에 대해 | 완전한 자유를 누리는 삶은 어떻게 오는가? 247
40 재림론에 대해 | 구세주는 왜 세상에 다시 오실까? 252
41 신앙체험론에 대해 | 신비체험은 과연 덧없는 것일까? 257
42 선교론에 대해 | 하나님의 나라와 사람의 나라는 충돌하는 것인가? 262
43 역사완성론에 대해 | 역사란 목적도 주관자도 없이 굴러가는 것일까?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