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진화의학의 이해

진화의학의 이해

피터 글럭맨, 앨런 비들, 마크 핸슨 (지은이), 김인수, 김종재, 남석현, 문은표, 유은실, 지제근, 최진 (옮긴이)
허원미디어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2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진화의학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진화의학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88992162630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진화의학은 인체의 정상적인 생명현상은 물론 비정상적인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진화과학적 지식을 적용하는 중요한 학문이며, 건강과 질병의 기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필수 학문이다. 진화의학은 개인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공중보건에도 적용된다.

목차

머리글 5

1부 진화 진화생물학진화생물학의 기초


1장 서론 23

1.1 질병이란 무엇인가? 25
1.2 진화란 무엇인가: 진화의 기본 원리 31
1.2.1 선택 32
1.2.2 변이와 유전 35
1.2.3 발달과 생명 과정 35
1.3 시간 37
1.4 제약 40
1.5 우리는 외롭지 않다 42
1.6 진화에 대한 담론과 다른 생물학적 관점과의 적합성 43
1.7 진화와 의학 45

2장 진화론 47

2.1 서론 47
2.2 진화론은 무엇을 설명하는가? 56
2.3 진화는 어떻게 작동하나? 59
2.3.1 변이 60
2.3.1.1 돌연변이 61
2.3.1.2 재조합 62
2.3.1.3 변이에 가해지는 제약 63
2.3.2 선택 65
2.3.2.1 인위선택 65
2.3.2.2 자연선택 66
2.3.2.3 성선택 68
2.3.2.4 선택의 수준 69
2.3.2.5 선택 단위로서의 유전자 71
2.3.2.6 확장된 표현형 72
2.3.3 유전 73
2.4 논쟁적인 영역과 적응주의 논변의 한계 77
2.4.1 진화에 방향이 있을까? 77
2.4.2 선택은 무작위적이지 않다 79
2.4.3 선택은 진화의 유일한 메커니즘인가? 80
2.4.4 생명체의 모든 속성이 적응일까? 81
2.4.5 종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83
2.4.6 진화는 얼마나 빨리 진행되는가? 86
2.4.7 적응도를 감소시킬 것처럼 보이는 형질은 어떻게 설명하나? 87
2.5 결론 88

3장 변이와 유전의 분자 기반 90

3.1 서론 90
3.2 인간 유전변이의 분자적 기반 91
3.2.1 유전자란 무엇인가? 91
3.2.2 지놈의 염기서열 변이 요인으로서의 돌연변이 93
3.2.3 단일염기다형성 95
3.2.4 인델 97
3.2.5 미소부수체 97
3.2.6 전위요소 97
3.2.7 구조적 다형성 99
3.3 개인별 지놈의 차이는 얼마나 될까? 99
3.3.1 재조합: 변이의 근원 100
3.3.2 단상형과 연관성 101
3.4 변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 103
3.4.1 유전적 부동이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 103
3.4.2 선택의 분자적 효과 106
3.4.3 선택의 특징 108
3.5 유전형에서 표현형까지 109
3.6 단일 유전 질병이 선택에 의해 개체군에서 없어지지 않는 이유 111
3.7 흔한 질병을 일으키는 단일 유전자는 없다 116
3.8 비유전적인 대물림 121
3.9 결론 122

4장 진화와 발달 124

4.1 서론 124
4.2 발달 : 타고 나는가 아니면 변하는가? 127
4.3 발생은 중요한가? 129
4.4 발달가소성 132
4.5 환경이 보내는 신호에 대한 발달 과정에서의 반응 134
4.5.1 발달 이상 134
4.5.2 발달 과정에서의 적응반응 135
4.5.2.1 즉각적응반응: 결과에 대한 대처 135
4.5.2.2 예측적응반응 137
4.6 후성적 기전 140
4.7 세대간 효과 143
4.8 학습과 본능 145
4.9 진화를 통한 새로운 표현형의 등장 146
4.10 결론 149

5장 생활사의 진화 151

5.1 서론 151
5.2 생활사 이론의 개요 152
5.2.1 생활사의 핵심 거래 154
5.2.1.1 자손의 수와 질의 관계 154
5.2.1.2 현재의 생식과 미래의 생식의 관계 155
5.2.1.3 성숙기의 연령과 신체 크기 157
5.2.1.4 생식력과 수명 157
5.2.2 외적 사망 요인과 내적 사망 요인 157
5.2.3 외인성 사망과 초경 연령 161
5.2.4 수명과 가령 161
5.2.5 노화에 대한 진화 이론 163
5.3 몸의 크기와 형태 168
5.3.1 상대성장 169
5.3.2 성장과 발달에서의 변이 172
5.4 사람의 성장 173
5.4.1 성장의 단계 173
5.4.2 사춘기 177
5.5 인간 성장의 명확한 특징에 대한 진화적 분석 179
5.5.1 소아기 180
5.5.2 사춘기의 급격한 성장 182
5.5.3 생식 쇠퇴와 폐경 184
5.6 결론: 인간 생활사의 해석 185

6장 인류의 진화와 인간 다양성의 기원 186

6.1 서론 186
6.2 인원류 분기군 186
6.3 초기인류(호미닌)의 진화 188
6.3.1 연대표와 종 188
6.3.2 두발보행 193
6.3.3 신체크기 194
6.3.4 얼굴, 턱, 그리고 치열 195
6.3.5 소화관 195
6.3.6 털 없는 유인원 196
6.3.7 호미닌의 두뇌 196
6.3.8 도구제작 204
6.3.9 언어 204
6.3.10 문화와 사회 207
6.3.11 문화적 진화 210
6.4 국지적 선택압력에 대한 인간의 적응 213
6.4.1 호미닌의 기원과 이주: 아프리카에서의 재탈출 213
6.4.2 이주로 인해 생긴 변이 217
6.4.3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한 변이 218
6.5 인류는 아직도 진화하고 있는가? 218
6.6 인간 다양성의 사회적 함의 221
6.7 결론 222



2부 진화진화적 관점에서 본 인간의 질병


7장 생식 226

7.1 서론 226
7.2 유성생식 227
7.3 왜 성은 진화하였는가? 228
7.4 성의 결정 231
7.5 생식 전략 233
7.6 배우자 선택 234
7.7 남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 239
7.8 남녀에 따른 유병율과 사망률의 차이 240
7.9 인간의 생식주기 242
7.9.1 사춘기 242
7.9.2 사춘기의 시점 243
7.9.3 왜 월경을 하는가? 247
7.9.4 임신 247
7.9.5 태반 248
7.9.6 모체와 태아의 상호 작용 250
7.9.7 태아 성장의 조절 252
7.9.8 발생 과정에서 이해의 충돌 255
7.9.9 수유와 산후 조리 255
7.9.10 폐경 257
7.10 결론: 생식과 진화 259

8장 영양과 대사 적응 262

8.1 서론 262
8.2 에너지 저장 전략 263
8.3 인류의 식생활: 진화의 역사 267
8.3.1 농경 이전의 호미닌 267
8.3.1.1 초기 인류의 음식의 질에 관한 해부학적 근거 267
8.3.1.2 현대의 수렵채집 집단이 전해주는 교훈 269
8.3.2 신석기 혁명 272
8.3.3 현대의 영양 이행 274
8.3.4 잘 먹지만 영양상태가 나쁜 사람들 275
8.4 환경변화가 어떻게 질병 위험도를 높이는가? 280
8.4.1 절약유전자 280
8.4.1.1 절약유전자에 대한 연구 282
8.4.1.2 기근과 풍요가 있었나? 283
8.4.1.3 후기 농경사회의 기근으로 인해 절약유전자가 선택되었을까? 284
8.5 진화 신기성이 현대의 대사질환과 비만을 설명할 수 있을까? 287
8.6 발달적 관점: 잃어버린 고리? 289
8.6.1 부적응을 초래하는 적응 과정 291
8.6.2 진화 신기성 상황에서의 발달가소성 295
8.6.3 기타 발생 경로들 299
8.7 결론 299

9장 방어 303

9.1 서론 303
9.2 포식과 동종 폭력 303
9.2.1 스트레스 304
9.2.2 스트레스 반응에서의 발달 변화: 적응 예측 307
9.3 감염에 대한 대처 310
9.3.1 공생 310
9.3.2 병원체의 출현 312
9.3.3. 병원성 314
9.3.4 항생제 저항성 316
9.3.5 미생물총과 사람 유전체 318
9.3.6 선천성 면역 319
9.3.7 적응면역 321
9.3.8 예방접종 324
9.3.9 면역체계의 이상 326
9.3.9.1 자가면역질환 326
9.3.9.2 면역 조절의 발달 326
9.3.9.3 알레르기와 만성적 염증 질환 327
9.4 다른 위협 328
9.5 부상 329
9.6 수면과 복구 330
9.7 결론 331

10장 사회 조직과 행동 333

10.1 서론 333
10.2 문화와 행동을 결정하는 생물학적 인자 333
10.3 인간의 뇌와 행동의 진화 335
10.4 사회 행동의 진화 338
10.4.1 이타주의 340
10.4.2 이기주의와 이기적 유전자 343
10.4.3 정서: 마음의 다윈주의적 알고리즘 343
10.4.4 사랑, 질투, 결혼, 그리고 상속 346
10.4.5 집단행동과 도덕성 347
10.4.6 신앙과 종교 349
10.4.7 학습 351
10.5 심리학에 대한 진화적 관점 351
10.6 진화정신의학 355
10.6.1 성격의 특성과 성격장애 355
10.6.2 기분장애 356
10.6.2.1 불안 357
10.6.2.2 공포증 357
10.6.2.3 우울증과 양극성장애 357
10.6.3 정신병 360
10.7 결론 360


3부 진화 진화생물학건강과 질병의 이해를 위한 진화의 틀



11장 의료에 적용되는 진화의 원칙 364

11.1 서론 364
11.2 진화의학의 기본 원리 366
11.3 왜 인체는 진화에 의해 질병에 취약해졌는가? 368
11.4 질병 발생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궁극 기전의 진화적 분류 370
11.4.1 경로 1: 진화적으로 부조화스럽거나 새로운 환경 370
11.4.2 경로 2: 생활사 관련 요인들 373
11.4.3 경로 3: 통제되지 않는 과잉 방어기전 375
11.4.4 경로 4: 진화의 군비경쟁 실패 375
11.4.5 경로 5: 진화의 제약으로 인한 결과 376
11.4.6 경로 6: 균형선택에 의해 유지되는 해롭게 보이는 대립형질 378
11.4.7 경로 7: 성선택과 경쟁 그리고 그 결과 379
11.4.8 경로 8: 인구학적 변천의 결과 379
11.5 문화적 진화와 질병 381
11.6 진화적 관점과 암 381
11.6.1 진화적으로 새로운 환경과 암 383
11.6.2 생활사 형질과의 관계 384
11.6.3 암과 진화적 군비경쟁 386
11.6.4 인구통계학적 역사 386
11.7 진화적 관점에서의 질병 이해 387
11.7.1 병력 387
11.7.2 임상 징후와 증상의 진화적 평가 388
11.8 예방과 치료를 위해 중요한 점 389
11.9 의학에서 진화적 관점이 당면한 과제 391
11.10 결론 392

12장 마무리: 진화, 의학 그리고 사회 394

12.1 사회와 진화 395
12.2 종교와 진화 396
12.3 사회적 다윈주의, 우생학 그리고 정치적 고려 397
12.4 연구 방향 400
12.5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 400


색인 402
참고문헌 416

저자소개

피터 글럭맨 (지은이)    정보 더보기
Centre for Human Evolution, Adaptation and Disease, Liggins Institute,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펼치기
앨런 비들 (지은이)    정보 더보기
Centre for Human Evolution, Adaptation and Disease, Liggins Institute,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펼치기
김인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청주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펼치기
김종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교수
펼치기
남석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 생명과학과 교수
펼치기
문은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 생명과학과 교수
펼치기
유은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교수
펼치기
지제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전임강사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제정 실무위원회 위원장 - 대한의학회장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용어위원회 위원장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장 -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초대회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펼치기
최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부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