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92326568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09-09-07
책 소개
목차
서 문
1부 || 북한 정치체제의 변화 가능성
북한 변화의 원인과 전망
김연철 (한남대학교)
북한의 최근 식량 및 경제위기와 체제변화 가능성
- 1990년대 중반 식량 및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종렬 (한국수출입은행)
포스트 김정일 시대 북한의 권력구조 전망
류길재 (북한대학원 대학교)
남북한, 미국의 3자관계 전망과 북한 체제 변화
박종철 (통일연구원)
2부 || 북한의 4강 관계 I: 북·미와 북·중 관계
오바마 행정부의 대외정책과 북미관계의 변화를 통해 본 북한체제 전망
조윤영 (중앙대학교)
후진타오 집권기 중국의 대 북한 인식과 정책: 변화와 지속
문흥호 (한양대학교)
3부 || 북한의 4강 관계 II: 북·일과 북·러 관계
북·일 관계와 북한의 변화 전망
신정화 (동서대학교)
러·북 관계의 변화와 전망
연현식 (국가정보대학원)
4부 || 북한의 변화와 통일과정
북한의 변화와 정치적 통일과정
진희관 (인제대학교)
북한의 변화와 경제적 통일과정
박형중 (통일연구원)
5부 || 북한의 변화 전망과 남북한 경제협력의 방향
북한의 경제 체제 변화 전망
양문수 (북한대학원 대학교)
북한 경제재건 비용 조달과 국제협력
장형수 (한양대학교)
남북한 상생을 위한 북한 지역의 개발 전략
- 남북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최용환 (경기개발연구원)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대북경제교류 확대에 관한 연구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상에서와 같이 지금의 북한 필자의 문헌분석방법에 의존할 경우, 김정운으로의 1인 승계방침을 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지난 해 11월부터 강조되고 있는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의 현대화 또는 천리마대고조에 대한 언급은 김정운 시대를 열어나가는 상징적 표현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