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92448796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9-04-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Ⅰ. 셰에라자드를 아십니까?
1. 서사와 디에게시스
2. 스토리와 플롯
1) 연대기적 이야기, 스토리
2) 구성된 이야기, 플롯
3) 영화의 스토리와 플롯
3. 3막 구조가 별건가? 시작-중간-결말
4. 영웅의 여행 모델 12단계
Ⅱ. 영화 스토리텔링의 요소들
1. 인물(character)
1) 인물의 구축
2) 평면적 인물/입체적 인물
3) 원형적 캐릭터
4) 배우와 연기
2. 사건(event)
1) 사건과 인과관계
2) 마스터플롯, 장르
(1) 플롯의 유형 (2) 영화의 장르
3. 서술(narration)
1) 시간의 구성
(1) 서사 시간/스크린 시간
(2) 순서, 지속, 빈도
2) 서스펜스와 서프라이즈
3) 종결(ending)
4) 목소리(Voice)
(1) 목소리의 주인, 화자(내레이터)
(2) 전지적 내레이션과 제한적 내레이션
(3) 보이스 오버(voice-over)
(4) 내포 저자
(5) 서술자의 신뢰도
5) 시점(point of view)
(1) 시선의 릴레이
(2) 의도된 카메라의 시점
(3) 영화의 초점화
4. 배경
(1) 공간
1) 내러티브 공간, 스크린 공간
2) 열린 공간, 닫힌 공간
3) 공간 속의 공간, 겹친 공간, 연결된 공간
(2) 세계관
1) 세계관의 구축
2) 스펙터클
Ⅲ.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영화 스토리텔링
1. 공룡 스토리텔링의 특성
2. 공룡 스토리텔링 전략과 거대 미디어 그룹
3. 이야기의 매체 적합성
4. 개미 스토리텔링의 대두
나오는 글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외에도 많은 학자들이 플롯의 유형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패턴을 발견하는 것은 연구자들에게는 늘 흥미로운 일이거든요. 그런데 그 패턴이 유효한가, 유형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 이러한 구분에 적용되는 플롯이 어느 정도 되는가 하는 문제들이 남습니다. 변신형 플롯, 모험형 플롯, 여정형 플롯, 추적형 플롯, 도피형 플롯, 복수형 플롯, 구출형 플롯, 탈출형 플롯 등 유형을 나누자면 한도 끝도 없는 지경에 이릅니다. 그래서 또 많은 학자들이 의문을 품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플롯의 유형을 찾는 일을 포기할 수는 없어요. 왜냐하면 잘 찾기만 하면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있어 그야말로 대박이 될 테니까요. 그래서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은 영화가 가진 서사의 관습을 마스터 플롯으로 삼았습니다. 그것이 영화의 장르입니다.
영화 스토리텔링은 두 갈래의 방향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첫 번째 방향은 대규모 블록버스터 킬러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스토리텔링 전략이고, 두 번째 방향은 다품종 소량생산의 취향 중심 스토리텔링입니다. 즉, 거대 예산을 들이면서 이미지 스펙터클을 중시하는 영화와 폭넓은 주제들을 다양한 취향으로 만들어내는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의 영화들로 확연하게 나뉩니다. 이는 영화산업의 지형과 깊이 관련됩니다.
50분짜리 드라마 1회의 제작비가 2시간이 넘는 영화 한 편당 평균 제작비를 상회하는 수준이 되면서 수많은 이야기들이 제작비가 높은 곳으로 블랙홀처럼 빨려 들어가는 형국입니다. 특히 넷플릭스는 자신들의 장기인 빅데이터 전략과 매체를 가리지 않는 멀티플랫폼 전략을 취하며 유례없는 공격적인 콘텐츠 투자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제작이 결정되고 투자가 시작되면 콘텐츠의 내용을 문제 삼지 않고 오직 납기일만을 중시한다고 합니다. 그런 공격적인 투자는 넷플릭스를 다양한 콘텐츠들을 길러내는 시스템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콘텐츠들은 매체를 넘나들 뿐 아니라 그들이 유통되는 여러 종류의 플랫폼의 형태도 가리지 않습니다. 모바일, 영화관뿐 아니라 IP TV와 PC로도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사장되고 잊혀졌던 콘텐츠들이나 오타쿠적 드라마나 영화들, 비상업적 다큐멘터리, 실험성이 강한 콘텐츠들도 다양한 관객들의 취향과 만날 가능성이 높아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