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라 노, 열정을 디자인하다

노라 노, 열정을 디자인하다

(최초의 알파걸, 최고의 패션 패셔니스타)

노라 노 (지은이)
황금나침반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1개 1,4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라 노, 열정을 디자인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라 노, 열정을 디자인하다 (최초의 알파걸, 최고의 패션 패셔니스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야기/디자이너/디자인 실기
· ISBN : 9788992483230
· 쪽수 : 315쪽
· 출판일 : 2007-08-10

책 소개

1956년 서울 반도호텔에서 한국 최초의 패션쇼를 연 디자이너 '노라 노'의 자서전. 자신의 꿈을 버리고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것이 여성의 미덕이라 여겨지던 시절, 열정과 특유의 긍정적인 마인드로 '패션'이라는 꿈을 향해 도전하고 성공을 거두기까지의 이야기를 담았다. 함께 실린 사진 자료들도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목차

프롤로그 : 세상을 열정으로 디자인하라

1부 '노명자'에서 '노라 노'로 1928~1947
멋내기 디엔에이 / 어머니의 로맨스 / 오남이 색시와 용호 / 오간디 원피스 / 여우 목도리 / 최승희의 춤사위 / 아버지의 회초리 / 꿈꾸는 여고생 / 하이힐을 신고 / 아랫집 아저씨 여운형 / 학도병과 정신대 / 신랑 / 출정 명령 / 면회 / 현해탄의 스파이 / 오키나와에서 온 엽서 / 생인손 / 원자폭탄 / 해방 / 밀전병 도시락 / 신랑 돌아오다 / 미용실 / 이혼 / 미스터 스미스 / 빛바랜 사진 한 장 / 파티 드레스 / 미국 유학

2부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1947~1953
철창 안에서 / 할리우드 / 사교계 / 패션 공부 / 고물차 시보레 / 영화배우 필립 안 / 캘리포니아 유전 / 이혼은 연애 경력 / 자존심 / 잠 못 드는 밤에 / 다시 한국으로 / 문학소녀는 가고 / 의상실 개업 / 사리 드레스 / 말동무 / 무대 의상 / 곗날 다음날 / 육군병원 / 짐 휜클 소령 / 별을 달고 / 키스 오브 파이어 / 퇴계로 부티크 / 아버지의 충고 / 쇼, 쇼, 쇼 / 연극 '햄릿' 의상 / 팬클럽의 원조 / 가장 역할

3부 도전으로 세상을 디자인하다 1954~1971
첫 파리 여행 / 윤이상 선생 / 패션의 도시 / '잠수함' 수트를 입고 / 롱샹 경마장 / 스페인으로 / 빠에야와 투우 / 프랭크 시나트라 / 마요르카 섬 / 교향과 마피아 / 가이드에 반하다 / 우리 옷감 / 무에서 유를 / 최초의 패션쇼 / 엄앵란과 오드리 햅번 / 전속 계약 / 샤프론 / 미스 유니버스 대회 / 최종 심사 / 스크린 테스트 / 영 패션 / 아시아태평양 영화제 / 하와이 패션쇼 / 핸들슨 부부 / 기성복 시대 / 윤복희와 펄 시스터즈 / 목화 아가씨

4부 열정 창조자, 패션 패셔니스타 1971~2007
코코 샤넬 / 미국 시장을 뚫다 / 패션 야화 / 기성복 코너 / 운명의 실크 / 와인과 벗하여 / 여배우 최은희 / 뉴욕 7번가 / 새 물류 시스템 / 반월 공장 / 히트작 / 노바 파크 / 「보그」와 「바자」 / 선의 미학 / 유일한 사치 / 중국으로 노라노 재팬 / 청담동 사옥 / 이북 친구 여연구 / 굿바이, 뉴욕 / 인연의 끝 / 마지막 용기 / 김수임과 그녀의 아들 / 영부인들 / 영세 / MBA 출신과 결혼을 / 브라운 대학 강연 / 세계패션그룹 대상 / 우먼 파워 / 패션 반세기

에필로그 : 나는 최고의 행운아였다

저자소개

노라 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기여고를 졸업하고, 미국 '프랭크 왜곤 테크니컬 컬리지'를 졸업하고, 1950년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때 명동에 '노라 노의 집'을 열었다. 이후 패션의 중심지 파리로 건너가 '아카데미 줄리앙 아트 스쿨'에서 수학한 뒤, '패션'이란 개념조차 성립되지 않은 1956년 서울 반도호텔에서 한국 최초의 패션쇼를 열었다. 이 '최초의 패션쇼'는 국내에서 생산된 모직 원단을 사용한 것으로도 큰 의미를 갖는다. 1966년 맞춤옷이 전부였던 해 한국 최초의 기성복 패션쇼를 열었고, 1970년부터 1973년까지 파리 프레타포르테 패션쇼에 참가했다. 1974년 미국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패션쇼를 열었고, 1977년 (주)예림양행을 설립해 1978년 뉴욕법인, 1990년 홍콩, 일본에 법인을 설립했다. 2000년 세계 패션그룹 '패션 대상'을 수상했고, 여든이 가까운 나이에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성복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캐치프레이즈로 「한국일보」 장명수 기자(훗날 한국일보사 사장을 지냄)의 도움을 받아 '마음대로 입어보고 골라 입는 옷'으로 정했다. 맞춤복의 단점은 눈으로 보고 예상했던 느낌과 실제 입었을 경우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옷을 구입하기 전에 입어볼 수 있다는 것은 당시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매력이 아닐 수 없었다.

신문에 "기성복이 과연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기사도 심심찮게 등장했다. 요즘 패션 기자들은 이 기사를 보고 "웃기는 기사"라며 재미있어 한다. 하지만 그땐 그랬다. 드디어 백화점 매장을 오픈하는 날이 되었다. 백화점 문이 열리자 사람들이 2층 기성복 코너로 몰려들었다. 고객들을 위한 간단한 쇼가 끝나자 기성복을 입어보느라 한바탕 난리가 났다. 모델들이 입었던 옷을 당장 자신이 입어볼 수 있다는 사실에 신이 났던 것이다. 준비했던 기성복들이 당일 모두 팔렸다.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에 제품을 충분히 준비하지 않은 것이 후회되었다.

1966년, 이렇게 해서 대한민국 여성복에 기성복 시대가 열렸다. 기성복이 짧은 시간에 자리를 잡게 된 데는 1956년에 첫 전파를 탄 텔레비전 방송이 한몫 거들었다고 생각한다. ... 사람들의 관심은 영화에서 텔레비전으로 옮겨가고 있었다. 나는 이 점에 주목하고 인기 프로그램에 의상을 협찬한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영화와 달리 텔레비전 의상은 하루 정도만 빌려주면 되기 때문에 부담도 적었다. 텔런트들은 의상비가 절약되었고 나는 나대로 빠르게 컬렉션을 홍보할 수 있었다. 그러기 위해 프로그램 말미에 '의상 노라 노'라는 자막을 반드시 올릴 것을 주문했다. - 본문 217~218쪽, '도전으로 세상을 디자인하다 1954~1971' 중에서


하루는 미국에서 오래 살았다는 재무국장의 부인 배 여사가 나를 불렀다. 미국에서도 할리우드에 살았다는 배 여사는 멋쟁이로 소문난 분이었다.
"미스 노, 당신이 입는 옷들은 어디서 구하는 거지?"
나는 약간 주춤거리며 대답했다.
"거의 제가 만들어 입습니다."
그러자 배 여사는 내 손목을 잡고 미스터 스미스에게 다가갔다.
"스매리(미스터 스미스의 애칭), 당신은 정말 보는 눈이 없군요. 이 아이를 보세요. 항상 이렇게 멋진 드레스를 입고 파티에 나타나는데, 지금 물어보니 자기가 직접 만들어 입는다고 하잖아요."
배 여사는 주위 사람들을 향해 이렇게 물었다.
"여러분, 이 아이가 패션 디자이너로 소질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그러자 모든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미스 노를 디자이너로 만들자고 했다. 사람의 운명은 순간에 결정된다. 배 여사의 이 한마디는 패션 디자이너로서 내 길을 열어주었고 나의 반세기를 결정지었다. - 본문 76쪽, '노 명자에서 노라 노로 1928~1947' 중에서


그런데 '간디'의 막이 오르던 날 날벼락이 떨어졌다. 이른 새벽, 극단장이 우리 집 문을 두들겼다.
"노 선생, 큰일 났소! 시나리오가 검열에 걸려 반 토막이나버렸지 뭐요. 쇼라도 해서 30분을 때워야겠으니 긴급히 무용복을 만들어 주셔야겠소!"
무용수는 열 명쯤 되고 공연 시간은 정오였다. 다섯 시간 안에 무용복 열 벌이라니, 마법사가 아니고서야 불가능한 일이었다.
"무슨 무용을 하는데요?"
"룸바춤이요."
... 드디어 막이 올랐다. 신나는 룸바 리듬이 흐르면서 무용수들이 춤을 추었다. 조명을 받은 새틴 옷감이 번쩍거리며 갖가지 색깔이 물결쳤다. 무용수가 움직일 때마다 타이트한 치마 옆으로 다리의 곡선이 슬쩍슬쩍 엿보였다. 이때가 1950년이었다. 모든 관중이 이 섹시한 장면에 흥분해서 환호하며 박수를 쳤다.
이렇게 연극 '간디' 공연은 위기를 모면하고 뜻밖의 흥행 성과까지 올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 흥행은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중단되고 말았다. - 본문 120~121쪽,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1947~1954'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