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92517126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07-04-30
목차
Ⅰ. 한국 현대시의 흐름
1. 서구적 충격과 근대시의 형성
2. 감상적 낭만주의 시와 이데올로기 시
3. 만해와 소월의 민족시
4. 현대시의 성장과 다양성의 시
5. 식민지 시대 말기, 청록파와 윤동주
6. 해방의 환희와 좌우의 대립
7. 전쟁 체험의 비극성과 모더니즘
8. 참여시와 순수시
9. 산업화 시대의 민중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10. 흐름과 전망
Ⅱ. 소통과 상황의 시학 오장환론
1. 서 론
가. 문제 제기
나. 연구 방향과 범위
2. 인물 특성
가. 퇴폐적 인물과 병적 자아
나. 비애의 심화와 죽음의 미적 체험
다. 부자유 속의 인물과 동물 가면
라. 타락한 인물 군상과 민중 화자
3. 시간 특성
가. 서사적 시간과 서정적 시간
나. ‘밤’의 시간 상황과 의미
다. 미래의 시간과 절망의 심화
4. 공간 특성
가. ‘안’의 폐쇄 공간과 전통 거부
나. ‘바깥’의 개방 공간과 퇴폐성
다. 갇힌 공간과 자유에의 동경
라. ‘고향’ 공간의 이상과 현실
마. 해방기의 열린 공간
5. 종합적 검토
가. 전통거부와 퇴폐의식
나. 비애와 죽음 의식
다. 귀향과 현실 인식
라. 해방과 현실 비판
6. 결 론
Ⅲ. 서술시와 실험 정신 여상현론
1. 전기적 사실과 문단 활동
2. 서술시의 계승과 변화
3. 음악성과 실험 정신
4. 결론
Ⅳ. 전통성 모색과 그 추이 서정주론
1. 서언
2. 전통에의 모색
3. 신라정신의 전통성
4. 무격사상과 전통성의 육화
5. 결론
Ⅴ. 시간과 공간의 의미 김상용론
1. 서론
2. ‘밤’의 시간 상황과 의미
3. 화자의 존재 공간과 의미
4. 결론
Ⅵ. 관용과 화해의 시학 박홍원론
1. 서론
2. 형식과 내용 조화시킨 중용 지향
3. 실어증 시대의 알레고리 언어
4. 관용과 화해의 시세계 구현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