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융합 비즈니스

융합 비즈니스

김덕현 (지은이)
비즈프레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2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50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3,3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융합 비즈니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융합 비즈니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92730969
· 쪽수 : 417쪽
· 출판일 : 2014-11-15

책 소개

세종사이버대학교 경영학부 김덕현 교수의 책. 이 책은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가 아니라 융합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접근이 필요한 대학(원) 학생, 교수, 정책/전략 수립자, 기획자, 컨설턴트 등을 위한 전문서다.

목차

제1장 미래사회와 신경제

제Ⅰ절 미래사회와 기술발전 2
1. 미래와 미래예측 / 2
가. 미래 예측의 의미 / 2
나. 미래 예측의 일반적 동향 / 3
2. 20~30년 후의 미래사회 / 5
가. 글로벌 다극화 시대 / 5
나. 인구증가, 저출산과 고령화, 도시화 / 6
다. 환경오염, 자원 고갈, 신/재생 에너지 개발 / 7
라. 개인/집단의 역량 향상과 연결/소통의 고도화 / 8
마. 기업, 직업, 직장, 고용 등의 형태 변화 / 8
바. 인간의 삶의 질 향상 / 9
사. 안전과 윤리 문제의 중요성 증대 / 10
3. 기술발전과 산업경제의 변화 / 11
가. 테크캐스트社의 기술발전 예측 / 11
나. 산업경제의 메가트렌드 / 14
제Ⅱ절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16
1. 산업경제 발전의 핵심 동인 / 16
가. 인간 욕구와 기술 간의 관계 / 16
나. 소비자 욕구의 고도화 / 17
다. 기술 발전의 가속화 / 18
2. 여러 가지 신경제 패러다임 / 19
가. 지식경제(Knowledge Economy) / 20
나. 창조경제(Creative Economy) / 21
다. 개념시대(Conceptual Age) / 22
라. 융합경제(Convergenomics, 컨버저노믹스) / 23
3.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의 필요성 / 24
가. 디지털 경제를 넘어서는 신경제 / 24
나. 융합시대로의 이전 / 26

제2장 융합에 대한 개념적 정의

제Ⅰ절 융합에 대한 기존의 논의 30
1. 융합에 대한 시대별 논의 / 30
가. 2000년대 이전의 논의 / 31
나. 2000년대 이후의 논의 / 33
2. 융합에 대한 다양한 정의 / 34
가. 융합에 대한 외국의 정의 / 34
나. 융합에 대한 국내의 정의 / 35
제Ⅱ절 융합의 본질과 관련 개념의 정의 37
1. 융합의 본질에 대한 정의 / 37
가. 융합에 대한 명확한 정의의 필요성 / 37
나. 융합에 대한 조작적 정의 / 37
2. 융합의 주변 개념 정의 / 40
가. 혁신: 융합의 목적 / 40
나. 통섭과 창의성: 융합의 토양 / 41
다. 개방-연결-협업: 융합의 원리 / 43
라. 융합과 제 개념간의 관계 / 44
제Ⅲ절 융합의 구성요소와 유형 분류 45
1. 융합의 구성요소 / 45
가. 융합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과 초점 / 45
나. 융합 시스템의 구성요소 / 47
2. 융합의 유형 분류 / 48
가. 융합 유형 분류에 대한 기존 연구 / 48
나. 투입요소에 따른 분류 / 49
다. 공정 즉, 결합방식에 따른 분류 / 49
라. 산출물에 따른 분류 / 50

제3장 융합기술의 이해

제Ⅰ절 융합기술의 개념 56
1. 융합기술의 등장 배경 / 56
가. 영역별 기술의 한계 / 56
나. 신기술에 대한 논의 / 57
2. 융합기술의 의미와 특성 / 58
가. 융합기술의 의미 / 58
나. 융합기술의 특성 / 59
제Ⅱ절 융합기술의 유형 61
1. 융합 기반기술 / 61
가. IT(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 / 61
나. NT(Nano Technology, 나노기술) / 63
다. BT(Bio Technology, 바이오기술) / 66
라. CS(Cognitive Science, 인지과학) / 67
2. 기반기술간 융합 / 70
가. IT-NT 또는 NIT 융합기술 / 71
나. NT-BT 또는 NBT 융합기술 / 72
다. BT-IT 또는 BIT 융합기술 / 72
라. NT, BT, IT 융합기술 / 73
마. CS 기반 융합기술 / 73
바. NBIC 융합기술 / 74
3. 산업/영역별 복합 / 75
가. 환경에너지 기술(ET: Energy or Environment Tech.) / 76
나. 우주항공 기술(ST: Space and Aero Tech.) / 76
다. 문화콘텐트 기술(CT: Culture and Content Tech.) / 77
라. 의료복지 기술(HT: Health and Human Tech.) / 77
마. 로봇 기술(RT: Robot Tech.) / 78

제4장 국가별 융합기술 정책

제Ⅰ절 미국의 융합기술 정책 82
1. 융합 정책 추진 개요 / 82
가. 융합 정책 추진 과정 / 82
나. 융합 정책의 특징 / 84
2. 융합기술 발전 전략 / 85
가. 목표 및 5대 적용 분야 / 85
나. 20대 융합기술 적용 시나리오 / 86
다. 주요 기술개발 과제 / 88
제Ⅱ절 EU의 융합기술 정책 90
1. 융합 정책 추진 개요 / 90
가. 융합 정책 추진 과정 / 90
나. 융합 정책의 특징 / 91
2. 융합기술 발전 전략 / 92
가. 목표 및 5대 적용 분야 / 92
나. 기술개발 및 적용 방침 / 92
다. 주요 기술개발 과제 / 93
제Ⅲ절 우리나라의 융합 정책 94
1. 융합 정책 추진 개요 / 94
가. 융합 정책 추진 과정 / 94
나. 융합 정책의 특징 / 96
2. 융합기술 발전 전략 / 97
가. 국가 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 / 97
나. NBIC 융합기술지도 / 99
3. 융합산업 발전 전략 / 100
가. IT융합 정책 / 100
나. 산업융합 정책 / 102

제5장 디지털 컨버전스와 IT융합

제Ⅰ절 디지털 컨버전스 111
1.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본개념 / 111
가. 디지털 컨버전스의 의미 / 111
나. 디지털 컨버전스의 유형 / 113
2. 디지털 컨버전스 전략 / 114
가. 디지털 컨버전스의 동인(drivers) / 114
나. 디지털 컨버전스의 접근방향 / 115
3. 디지털 컨버전스의 실제 / 117
가. 디바이스 융합 / 118
나. 네트워크 융합 / 119
다. 플랫폼의 통합 / 119
라. 콘텐트의 발전 / 120
마. 디지털 컨버전스 서비스 / 120
제Ⅱ절 IT 융합 122
1. IT융합의 기본개념 / 122
가. IT융합의 의미 / 122
나. IT융합의 동인 / 124
다. IT융합의 유형 / 126
2. 주력산업의 IT융합 / 127
가. 자동차/차량 IT융합 / 127
나. 조선/해양 IT융합 / 129
다. 섬유/패션 IT융합 / 131
라. 국방/항공 IT융합 / 132
마. 에너지/환경 IT융합 / 133
3. 국민생활의 IT융합 / 135
가. 농/축산/식품 / IT융합 / 135
나. 교육 IT융합 / 136
다. 의료 IT융합 / 137
라. 재난/안전 IT융합 / 138
마. 교통 IT융합 / 140
4. 기타, IT융합 / 141
가. 기계/로봇 IT융합 / 141
나. 건설/플랜트 IT융합 / 142
다. 공정/뿌리산업 IT융합 / 143
라. 금융/유통/물류 IT융합 / 144
마. 관광/컨벤션 IT융합 / 145
바. 문화/콘텐트 IT융합 / 146

제6장 제품/서비스융합과 산업융합

제Ⅰ절 제품/서비스 융합 154
1. 제품/서비스 융합 기본개념 / 154
가. 제품/서비스 융합의 의미 / 154
나. 제품/서비스 융합의 동인 / 159
다. 제품/서비스 융합의 유형 / 159
2. 제품/서비스 융합의 실제 / 161
가. 국내/외 융합 제품/서비스 사례 / 161
나. 제품융합의 실제 / 163
다. 서비스 융합의 실제 / 164
라. 제품의 서비스화(Servitization or Servitization)의 실제 / 164
마. 서비스의 제품화(Productization)의 실제 / 165
제Ⅱ절 산업융합 166
1. 산업융합의 기본개념 / 166
가. 산업융합의 의미 / 166
나. 산업융합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 169
다. 산업융합의 동인 / 170
라. 산업융합의 유형 / 172
2. 개인생활 대상의 융합산업 / 176
가. 의(衣)류산업 / 176
나. 식(食)품산업 / 177
다. 주거(住居)산업 / 179
라. 건강산업 / 181
마. 여가산업 / 183
바. 교육산업 / 186
사. 재(산)산업 / 187
3. 공동체 대상의 융합산업 / 189
가. 안전산업 / 189
나. 복지산업 / 191
다. 문화산업 / 193
라. 환경산업 / 194
마. 자원산업 / 196
바. 수송산업 / 198

제7장 혁신경영과 융합경영

제Ⅰ절 기업혁신과 혁신경영 206
1. 기업혁신의 기본개념 / 206
가. 기업혁신의 의미 / 206
나. 기업혁신의 발전과정 / 208
2. 영역별 기업혁신 / 210
가. 기술혁신(Technology Innovation) / 211
나. 경영혁신(Management Innovation) / 212
다. 가치혁신(Value Innovation) / 214
3. 전사 차원의 기업혁신 / 215
가. 기업통합(Enterprise Integration) / 216
나. 기업변환(Enterprise Transformation) / 217
4. 혁신경영의 연구과제 / 219
가. 혁신경영의 의미 / 219
나. 혁신경영 관련 논의 / 220
제Ⅱ절 융합과 융합경영 222
1. 기업혁신과 융합 / 222
가. 기업혁신과 융합의 차이점 / 222
나. 기업혁신과 융합의 진화 / 223
2. 융합경영의 기본개념 / 224
가. 융합경영의 필요성 / 224
나. 융합경영의 정의 및 특징 / 226
다. 뉴 패러다임으로서의 요건 / 229
3. 융합경영의 연구과제 / 230
가. 기업 차원의 융합경영 / 230
나. 산업 차원의 융합경영 / 231

제8장 융합 비즈니스의 기본개념

제Ⅰ절 융합 비즈니스의 등장 배경 238
1. 산업환경, 거시환경 변화 / 238
가. 기술의 변화 / 239
나. 소비자/고객의 변화 / 240
다. 시장/산업의 변화 / 240
라. 정부 정책의 변화 / 242
2. 산업구조, 미시 환경 변화 / 243
가. 공급자의 협상력(bargaining power of suppliers) / 244
나. 구매자의 협상력(bargaining power of buyers or customers) / 245
다. 경쟁자의 경쟁정도(intensity of competitive rivalry) / 246
라. 대체재의 위협(threats of substitutes) / 246
마. 후발주자에 대한 진입장벽(barriers to new entries) / 247
3. IT 기반 가치혁신의 발전 / 247
가. 기업정보화의 발전과정과 성과 / 247
나. e-/u-비즈니스에서 융합 비즈니스로 / 250
제Ⅱ절 융합 비즈니스의 특성 252
1. 융합 비즈니스의 의미 / 252
가. 융합 비즈니스의 특징 / 252
나. 융합 비즈니스의 목적 / 253
2. 융합 비즈니스의 구성요소 / 254
가. 고객가치(customer value) / 255
나.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 / 256
다. 시장유통(market delivery) / 257
라. 공급역량(supplier capability) / 257
마. 운영방식(operation) / 258
3. 융합 비즈니스의 가치명제 / 258
가. 고수준의 고객가치 지향 / 258
나. 신개념의 융합상품 개발 / 259
다. 융합기술의 확보와 활용 / 261
라. 핵심역량의 육성과 협업 / 261
마. 시장 재정립과 채널 다원화 / 262
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일상화 / 264
사. 창의적 인재, 조직, 프로세스 구축 / 264
제Ⅲ절 융합 비즈니스의 분류 265
1. 핵심역량에 따른 분류 / 265
가. 생산 중심 융합 비즈니스 / 265
나. 유통 중심 융합 비즈니스 / 266
다. 플랫폼 서비스 비즈니스 / 266
라. 브로커 서비스 비즈니스 / 267
2. 접근방법에 따른 분류 / 267

제9장 융합 비즈니스 전략수립

제Ⅰ절 비즈니스 전략과 전략관리 모형 272
1. 비즈니스 전략의 기본개념 / 272
가. 일반적 비즈니스 전략의 의미 / 272
나. 융합 비즈니스 전략의 접근방향 / 275
2. 비즈니스 전략관리 모형 / 276
가. 일반적 전략 수립 모형 / 276
나. 기존의 융합 비즈니스 전략관리 모형 / 278
다. 새로운 전략관리 모형의 필요성 / 282
라. 융합 비즈니스 전략관리 모형 제안 / 284
제Ⅱ절 융합 비즈니스 전략 수립 285
1. 기업의 외부환경 분석 / 285
가. 미래사회 트렌드 분석 / 285
나. 일반환경, 거시환경 분석 / 286
다. 산업구조, 미시환경 분석 / 287
라. 비즈니스 기회 및 위협 분석 / 288
2. 기업의 내부역량 분석 / 289
가. 전사적 전략 분석 / 289
나. 부문별 전술 분석 / 290
다. 실행 능력 분석 / 291
3. 기업의 목표상태 설정 / 291
가. 공유가치, 비전, 목표 설정 / 292
나. 기술-상품-산업-시장 로드매핑 / 293
4. 전환/이행 계획 작성 / 296
가. 전략적 대안 탐색 / 296
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재)설정 / 297
다. 위험분석 및 대응계획 / 300

제10장 융합 비즈니스 실행과 지원

제Ⅰ절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 관리 304
1. 기업생태계 관련 연구와 사례 / 304
가. 기업생태계의 의미 / 304
나. EU의 ECOLEAD 프로젝트 / 306
다. EU의 DBE 프로젝트 / 307
라. 기업생태계의 구축/운영 사례 / 307
2.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의 지배구조 / 308
가. 융합 생태계의 실행조직, VBE와 VO / 308
나. 융합 생태계의 수명주기 단계 / 310
3.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의 운영원리 / 311
가. 융합 비즈니스 기획/계획 / 311
나. 융합 비즈니스 실행 / 312
다. 융합 비즈니스 성과관리 / 313
제Ⅱ절 융합상품 개발 및 사업화 315
1. 제품/서비스 개발관리 모형 / 315
가. 종래의 제품 개발관리 모형 / 315
나. 융합상품의 개발관리 모형 / 316
2. 융합상품의 개발기획, 상품기획 / 317
가. 아이디어 발굴 / 318
나. 상품 컨셉 및 특성 정의 / 319
다. 상품개발 전략 수립 / 320
3. 융합상품의 시장기획 / 320
가. 잠재시장 발굴 / 321
나. 목표 시장/고객 정의 / 322
다. 고객창출 전략 수립 / 323
4. 융합상품의 시험개발 및 사업화 / 324
가. 시험개발(prototyping) / 324
나. 초도생산 및 시험, 승인 / 325
다. 대량생산 준비 / 325
제Ⅲ절 융합 비즈니스 관리와 지원 326
1. 융합시대의 기술관리 / 327
가. 기술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활용 / 327
나. 기술 획득 대안과 개발/도입 관리 / 327
다.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 328
2. 융합시대의 조직관리 / 329
가. 조직의 생성-발전 원리 / 329
나. 융합시대 조직의 특성과 구조, 인프라 / 329
다. 집단지성의 활용 / 330
라. 융합 생태계 차원의 신뢰 구축 / 331
3. 융합시대의 인재관리 / 332
가. 미래 인재상(人材像)에 대한 논의 / 332
나. ‘융합형 인재’ 개발을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 332

제11장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융합

제Ⅰ절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 338
1.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개념 / 338
가. 비즈니스 모델의 의미 / 338
나.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 / 340
2.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 유형 분류 / 341
가. e-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 341
나. u-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 342
3. 비즈니스 모델 혁신 / 344
가.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의미 / 344
나. 비즈니스 모델 혁신 관련 연구 / 344
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예 / 345
제Ⅱ절 융합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348
1. 융합 비즈니스 모델링 프레임워크 / 348
가. 4W1H 프레임워크 / 348
나. 융합 비즈니스 모델 유형 도출 / 350
2. 융합 비즈니스 모델 유형 정의 / 351
가. 가치혁신형(Value Innovation Type) / 351
나. 상품혁신형(Product Innovation Type) / 352
다. 유통혁신형(Delivery Innovation Type) / 352
라. 역량혁신형(Capability Innovation Type) / 353
마. 운영혁신형(Operation Innovation Type) / 354
3. 유형별 융합 비즈니스 모델 설계 예시 / 355
가. 가치혁신형 융합 BM 설계 예: 바이오매스 / 356
나. 상품혁신형 융합 BM 설계 예: 스마트폰 / 357
다. 유통혁신형 융합 BM 설계 예: 스크린골프 / 359
라. 역량혁신형 융합 BM 설계 예: 스마트로봇 / 360
마. 운영혁신형 융합 BM 설계 예: 크루즈선 / 361
제Ⅲ절 융합 비즈니스 모델 혁신 362
1. 융합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접근방법 / 362
가. 융합 비즈니스와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관계 / 362
나. 융합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고려사항 / 364
2. 융합 비즈니스 모델 혁신 절차 / 364
가. 기업전략 분석 / 365
나. 융합 BM 혁신영역 설정 / 366
다. 융합 BM 포트폴리오 정의 / 367
라. 새로운 융합 BM 설계-평가 / 368
마. 융합 BM 프로토타입 실행 및 개선 / 370

제12장 창조경제와 융합

제Ⅰ절 창조경제의 의미와 접근방향 374
1. 창조산업 중심의 창조경제 1.0 / 374
가. 창조경제 1.0의 정의 / 374
나. 창조경제 1.0의 특성 / 376
2. 창조경제 개념의 재검토 배경 / 377
가. 한국형 창조경제 정책 / 377
나. 미국의 3세대 융합 전략, CKTS / 380
3. 융합산업 중심의 창조경제 2.0 / 383
가. 창조경제 2.0의 정의 / 383
나. 창조경제 2.0의 특성 / 385
제Ⅱ절 창조경제 2.0의 아키텍처 388
1.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 388
가.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의 의미 / 388
나. 개념적, 논리적 참조모형 / 389
2. 창조경제 2.0의 업무 아키텍처 / 391
가. 창조경제 2.0의 목표-수단 / 391
나. 창조경제 2.0의 접근방안 / 395
3. 융합 시스템 아키텍처 / 397
가. ICT 플랫폼 / 399
나. ICT 공통서비스 / 399
다. 스마트 도구 / 399
라. 생산플랫폼 / 400
마. 유통플랫폼 / 402
바. 융합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 403
사. 산업 인프라(융합 SOC) / 403

찾아보기 / 407

저자소개

김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에서 산업공학, 석/박사 과정에서 경영과학을 전공하고 정부투자 연구소, 벤처기업 등을 거쳐 대학에서 16년 동안 주로 ‘IT를 활용한 기업혁신’에 대한 강의와 연구를 수행한 전문가이다. 2018년 8월에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한 후, 지인들과 2019년 4월에 혁신과 융합 협동조합을 설립해서 현재 이사장을 맡고 있다. 교수로서는 경영학과, IT학과 등에서 e-비즈니스,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융합 비즈니스, 경영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분석/설계 등 20여 개 교과목을 강의한 바 있으며, 2018년 봄학기부터 4차 산업혁명의 이해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2018년까지 10년 동안 융합경영연구회라는 산학연 스터디 모임을 통해 융합기술의 기업 적용 방안 확산에 기여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머 리 말

저자는 대학에서는 산업공학을,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는 경영과학을 전공했고, 첫 직장인 국방과학연구소에 근무한 25년간 MIS를 포함한 여러 가지 정보시스템의 개발-운영, CALS 기술개발 등에 종사했다. 2009년 초, 저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사이버대학원 설립을 준비하면서 ‘융합’에 접한 후 지금까지 꼬박 6년간 대부분의 시간을 마치 화두처럼 이를 붙들고 지내 왔다. 융합이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 건가? 융합을 추진하기 위해 대학은, 특히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대학에서는 어떤 인재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 융합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정부는, 기업은, 학계/연구계는 각각 무엇을 해야 하는가? 등의 질문을 거듭하면서. 2010년 3월부터 4년 동안, 학부 과정으로 융합경영학과를 설립, 운영하면서 융합경영개론, 융합기술응용 등의 교과목을 강의했고, 2010년 2월부터 지금까지 한국전자거래학회의 전문연구회 형태로 ‘융합경영연구회’를 구성, 운영하면서 산학연의 현장 전문가들과 소통해 왔다. 2011년 2월에는 10인 공저로 ‘융합경영’이란 제목의 입문서를 출간한 바 있다.
융합은 그 초점이 기술에서 시작되어 제품/서비스와 산업을 거쳐 인간가치로 이전해 가고 있다. 2002년과 2004년, 미국과 EU는 각각 정부 주도의 융합기술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집중적인 R&D 투자를 시작하였다. 한편, 민간 기업들은 새로운 고객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를 개발-판매하고 새로운 기업생태계를 구축해 가고 있다. 아이팟-아이튠즈-아이폰-아이패드-아이워치로 이어지는 애플이나 문자전송 서비스를 시작으로 모바일 커뮤니티, 콘텐트, 거래지원 등의 서비스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는 카카오톡이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미래사회를 준비하고 있는 글로벌 선도기업들은 시장/고객의 요구를 넘어서 인간가치(예: 건강, 안전, 인류공영) 향상을 위한 재화(예: 유전자치료, 인공장기, 무인자동차, 스마트로봇)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융합에 대한 정부/공공 차원의 논의와 R&D, 시범사업 추진 등이 미국이나 EU보다 더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① 융합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과 기술-제품/서비스-산업을 포괄하는 국가 차원의 로드맵이 약하고 ② 요소기술 중심의 R&D에 치중하다 보니 미래 원천기술의 확보와 신기술의 사업화가 모두 미흡하며 ③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의 능동적 투자와 참여가 부족하고 ④ 개인이나 개별기업을 넘어서는 기업생태계의 조성이 지연되고 있으며 ⑤ 신정부 출범 이후에는 융합과 창조경제의 연계가 명확하지 못해서 가용 자원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식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융합이든 창조경제든 이해관계자가 이해, 공감, 소통, 협업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신기술은 시장에서 고객/소비자들에게 수용될 때 비로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융합은 전통적인 혁신의 연장선에 있지만, 그 초점과 접근방법이 다른 새로운 개념의 혁신이라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융합은 지식이나 기술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확대하는 노력(즉, 통섭 또는 퓨전)과 고객가치 향상을 위한 구체적 제품/서비스와 산업을 창출하는 노력(즉, 컨버전스)의 반복적 순환과정이기에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함께 하는 생태계 차원의 혁신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기적, 집중적 노력과 장기적, 지속적 노력의 안배가 필요하다.
본서는 저자가 가진 위와 같은 학문적 배경, 실무 경험, 그리고 융합에 대한 문제 인식 위에서 2년여의 구상과 1년 10개월 동안의 집필 작업을 거쳐 완성된 것이다. 본서는 ①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가 아니라 융합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접근이 필요한 대학(원) 학생, 교수, 정책/전략 수립자, 기획자, 컨설턴트 등을 위한 전문서이며 ② 융합을 공학/자연과학이나 인문학, 문화예술이 아닌 비즈니스 측면에서 접근한 것이고 ③ 기업 입장에서 다루어야 할 다양한 이슈들을 한 권에 담은 총론 성격의 서적이다. 총론 수준의 책이기에 보다 심도 있는 지식을 탐구해야 할 독자들은 각 장 끝에 포함한 참고문헌을 살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것이다.
본서는 기업이 융합기술이나 융합의 원리를 활용해서 기존 비즈니스를 전환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자 할 때 필요한 아래의 12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제1장 미래사회와 신경제. 미래학자나 연구기관들이 예측하는 미래사회의 모습을 조망하고, 기술 발전과 인간 욕구의 고도화에 따라 변천해 온 지식경제, 창조경제, 융합경제 등 신경제 패러다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융합이 등장, 발전하게 된 배경을 이해한다.
제2장 융합에 대한 개념적 정의. 융합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논의들을 소개한 후, 융합을 상식이 아닌 의도적 정책/전략으로 삼기 위한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주변 개념 즉, 혁신, 통섭, 창의성, 그리고 저자가 융합의 원리로 제시하는 개방-연결-협업의 의미와 상관관계를 정의한다.
제3장 융합기술의 이해. 융합기술의 정의와 특성을 검토한 후, 기반기술이라 할 수 있는 IT(정보기술), BT(바이오기술), NT(나노기술), CS(Cognitive Science, 인지과학) 등과 이들이 융/복합된 NBIC 융합기술, 그리고 ET(환경에너지기술), ST(우주항공기술), CT(문화콘텐트기술), HT(의료복지기술), RT(로봇기술) 등의 기본적 특성과 대표적 응용 분야를 소개한다.
제4장 국가별 융합기술 정책. 2000년대 초, 융합기술에 대한 국가전략을 수립한 미국과 EU의 정책 목표와 접근방향을 소개한 후, 2007년 이후 본격화 된 우리나라의 융합기술 관련 정책 발전과정과 주요 문서의 내용을 소개한다.
제5장 디지털 컨버전스와 IT융합. 기업/산업에서 진행되고 있는 융합 비즈니스 중에서 기술 내지 공급자 측면의 혁신에 초점을 둔 디지털 컨버전스와 IT융합의 의미, 유형, 접근방향, 대표적 실행사례 등을 소개한다. IT융합은 아직 객관화, 공식화 된 분류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시점이어서 주관적 분류에 따라 서술한다.
제6장 제품/서비스융합과 산업융합. 기업/산업에서 진행되고 있는 융합 비즈니스 중에서 시장 내지 수요자 요구/욕구를 고려한 혁신에 초점을 둔 제품/서비스융합과 산업융합의 의미, 유형, 접근방향, 대표적 실행사례 등을 소개한다. 융합산업 또한, 아직 객관화, 공식화 된 분류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시점이어서 주관적 분류에 따라 서술한다.
제7장 혁신경영과 융합경영. 오랜 동안 계속되어 온 전통적 혁신(예: 기술혁신, 경영혁신, 가치혁신)과 혁신경영의 주제들을 살펴보고 종래의 혁신과 융합의 차이점을 구명한 후, 융합이라는 새로운 혁신을 효과적, 체계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경영원리인 ‘융합경영’의 필요성과 기본개념, 연구과제 등을 제안한다.
제8장 융합 비즈니스의 기본개념. 산업경제의 일반환경(예: 기술, 소비자/고객, 시장, 정책)과 구조적 변화, 그리고 IT 기반 가치혁신의 변천에 따라 등장한 융합 비즈니스의 의미, 구성요소, 가치명제 등의 특성을 정의하고 개념적 분류체계를 제시한다.
제9장 융합 비즈니스 전략 수립. 일반적 비즈니스의 전략 수립과 실행을 위한 기존 모형들을 검토하고 융합 비즈니스 전략관리 모형을 제안한 후, 그에 따른 전략 수립 절차 즉, 외부환경 분석, 내부역량 분석, 목표(상태) 설정, 전환/이행 계획 작성 단계별 활동을 제시한다.
제10장 융합 비즈니스 실행과 지원. 9장에서 정의한 전략관리 모형에 따라 전략의 실행 부분 즉,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 관리와 융합상품 개발 및 사업화, 그리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활동들을 제시한다.
제11장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융합. 글로벌 선도기업의 성공사례와 더불어 학계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의미를 검토한 후, 융합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을 가치혁신형, 상품혁신형, 유통혁신형, 역량혁신형, 운영혁신형 등으로 설정하고 이를 설계, 구현하기 위한 수순을 몇 가지 적용 예와 함께 제시한다.
제12장 창조경제와 융합. 영국, 미국, UN 등에서 정의한 창조경제와는 차별화 된 특징을 갖는 우리나라의 접근방식을 ‘창조경제 2.0’으로 규정한 후, 융합과의 연계를 위한 창조경제 2.0의 아키텍처를 업무 측면과 기술/시스템 측면에서 정의, 제시한다.

본서는 기업 입장에서 이해, 접근해야 할 융합, 즉 융합 비즈니스 관련 주제들을 포괄적으로 다룬 것이어서 일부 주제에 대해서는 이미 출판 또는 발표된 문헌들의 핵심 부분을 요약,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가급적 객관적, 중립적 입장에서 해석하고자 했으나 역량의 한계로 인해 주관적, 편향적으로 작성된 부분도 있다. 특히, 융합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구성요소 및 분류(2장), 융합 비즈니스와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분류(5장, 6장, 11장), 융합 비즈니스의 특성 정의와 분류(8장) 등은 주관적 견해가 많은 편임을 밝혀 둔다. 융합경영이라는 새로운 연구영역(7장), 융합 비즈니스 모델 혁신 절차(11장), 창조경제 2.0의 특성과 아키텍처 정의(12장) 등은 추후 발전시켜야 할 부분이다.
본서에서 다뤄 진 주제와 내용은 각 분야별 전문가들과 공동 작업을 통해 정리해야 할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여건 상 저자의 단독 저술로 출간되었다. 따라서, 본서에 포함된 오류나 문제점은 전적으로 저자의 책임이기에 독자들의 질정을 부탁드린다.
본서는 저자 개인의 지식뿐만 아니라 정부/공공기관, 학계/연구계, 기업체 등에 계신 많은 전문가들의 지식에 힘입은 것이다. 특히, 2010년 이후 융합경영학과에서 만난 제자이면서 스승들, 융합경영연구회를 통해 만난 현장의 고수들로부터 얻은 통찰력이 큰 힘이 되었다. 일일이 거명하지 못한 많은 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올린다.
본서를 집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신 세종사이버대학교 총장님과 동료 교수들, 수요가 많지 않을 전문서적임에도 불구하고 출판을 맡아 주신 비즈프레스 추일재 사장님, 수년 동안 융합경영연구회의 활동을 간접 지원해 주신 한국생산기술연구원(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의 이낙규 박사, 손웅희 박사 등에게 감사드린다. 끝으로, 2년 가까운 집필 기간 동안 주말이나 저녁시간에도 일에 파묻혀 있는 것을 용인하고 격려해 준 가족들, 친구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2014. 11
세종사이버대 연구실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