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아연중국연구총서 15)

한석희 (지은이)
폴리테이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아연중국연구총서 15)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92792141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07-09-17

책 소개

지난 5년 동안 중국의 부상에 부수되는 전 세계적·지역적 영향력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다각적인 학술적 분석을 시도한 책. 지은이는는 중국의 부상과 동시에 제기되어 온 '중국위협론'과 그에 대한 중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중국의 외교 행태 변화를 학문적으로 추적하고 있다.

목차

서문|7

제1부 중국위협론과 한중관계
제1장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시각
1. 서론|13
2. 중국의 부상에 대한 일반적 논의: 중국위협론|17
3.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기존 시각|24
4.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새로운 시각: 중국경제경계론|31
5. 결론|36
제2장 중국 내 한반도 연구: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1. 서론|38
2. 중국 내 한반도 문제 전문가에 대한 이해|40
3. 중국 내 한반도 문제의 연구경향과 내용 분석|44
4. 중국 내 한반도 연구의 특징 및 한계|56
5. 결론|59

제2부 후진타오 시대 중국의 대외관계 변화
제3장 ARF와 중국: 중국의 안보적 구속에 대한 논의
1. 서론|63
2. 제도주의적 접근과 아세안적 방식|66
3. ARF에 대한 중국의 외교적 행태와 구속|72
4. 결론|78
제4장 책임대국론의 중국적 논의: 서구와 중국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1. 서론|80
2. 책임대국에 대한 서구의 논의|82
3. 책임대국에 대한 중국의 논의|86
4. 중국의 책임대국화 가능성|91
5. 결론: 중국의 책임대국론에 대한 평가|95
제5장 중국의 신안보 개념 분석: 다자간 안보에 대한 협력 가능성과 한계
1. 서론|97
2. 신안보 개념의 등장 배경: 국제환경의 변화|100
3. 신안보 개념의 내용: 다자안보의 수용|104
4. 신안보 개념의 제한성: 주권문제의 상존|109
5. 결론|112

제3부 후진타오 외교와 동아시아 신질서 구축
제6장 제4세대 지도부의 등장과 동아시아의 질서변화: 화평발전 전략을 중심으로
1. 서론|117
2. 화평발전론의 분석|120
3. 화평발전론의 외교적 적용|126
4. 결론|129
제7장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
1. 서론|132
2. 중국의 6자회담 참여 이유: 대내외적 요인|136
3. 중국의 ‘이중전략’과 6자회담: 책임대국과 북한의 체제유지|141
4. 북한 핵문제와 중국의 전략적 고민: 완충지대론 대 북한부담론|149
5. 결론|153
제8장 중국의 다극화 전략, 다자주의 외교, 동북아 안보
1. 서론|155
2.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국제질서의 변화|157
3.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다자주의 외교|163
4. 중국의 다자주의와 동아시아/한반도의 안정|165
5. 결론: 다자주의 외교와 중미관계의 미래|171

참고문헌|173

저자소개

한석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플래처스쿨(The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조교수 겸 국제학대학원 지역학 프로그램(Asia Studies Program) 주임교수,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중국연구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대외관계>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Korean Perceptions of China’s Rise in East Asia”, “From Engagement to Hedging: South Korea’s New China Policy”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