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92792141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07-09-17
책 소개
목차
서문|7
제1부 중국위협론과 한중관계
제1장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시각
1. 서론|13
2. 중국의 부상에 대한 일반적 논의: 중국위협론|17
3.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기존 시각|24
4.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새로운 시각: 중국경제경계론|31
5. 결론|36
제2장 중국 내 한반도 연구: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1. 서론|38
2. 중국 내 한반도 문제 전문가에 대한 이해|40
3. 중국 내 한반도 문제의 연구경향과 내용 분석|44
4. 중국 내 한반도 연구의 특징 및 한계|56
5. 결론|59
제2부 후진타오 시대 중국의 대외관계 변화
제3장 ARF와 중국: 중국의 안보적 구속에 대한 논의
1. 서론|63
2. 제도주의적 접근과 아세안적 방식|66
3. ARF에 대한 중국의 외교적 행태와 구속|72
4. 결론|78
제4장 책임대국론의 중국적 논의: 서구와 중국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1. 서론|80
2. 책임대국에 대한 서구의 논의|82
3. 책임대국에 대한 중국의 논의|86
4. 중국의 책임대국화 가능성|91
5. 결론: 중국의 책임대국론에 대한 평가|95
제5장 중국의 신안보 개념 분석: 다자간 안보에 대한 협력 가능성과 한계
1. 서론|97
2. 신안보 개념의 등장 배경: 국제환경의 변화|100
3. 신안보 개념의 내용: 다자안보의 수용|104
4. 신안보 개념의 제한성: 주권문제의 상존|109
5. 결론|112
제3부 후진타오 외교와 동아시아 신질서 구축
제6장 제4세대 지도부의 등장과 동아시아의 질서변화: 화평발전 전략을 중심으로
1. 서론|117
2. 화평발전론의 분석|120
3. 화평발전론의 외교적 적용|126
4. 결론|129
제7장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
1. 서론|132
2. 중국의 6자회담 참여 이유: 대내외적 요인|136
3. 중국의 ‘이중전략’과 6자회담: 책임대국과 북한의 체제유지|141
4. 북한 핵문제와 중국의 전략적 고민: 완충지대론 대 북한부담론|149
5. 결론|153
제8장 중국의 다극화 전략, 다자주의 외교, 동북아 안보
1. 서론|155
2.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국제질서의 변화|157
3.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다자주의 외교|163
4. 중국의 다자주의와 동아시아/한반도의 안정|165
5. 결론: 다자주의 외교와 중미관계의 미래|171
참고문헌|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