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88992873413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9-06-15
책 소개
목차
발간사 (김석동 농협경제연구소 대표)
ㄱ ~ ㄷ
1. 거래 상대방 위험(Counterparty Risk)
2. 거주자 외화예금
3. 경기침체(Recession)와 불황(Depression)
4. 공공-민간 투자 프로그램(PPIP: Public-Private Investment Program)
5. 국제회계기준(IFRS)
6. 글래스-스티걸 법(Glass-Steagall Act)
7.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s)
8. 글로벌 주가지수
9. 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
10. 금리재정거래(Interest Arbitrage Transaction)
11. 금융안정포럼(Financial Stability Forum)
12. 금융안정화계획(FSP: Financial Stability Plan)
13. 기간자산담보부증권 대출창구(TALF: Term ABS Loan Facility)
14. 기업구조조정촉진법
15. 기업어음(CP: Commercial Paper)
16.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
ㄹ ~ ㅂ
17. 랩어카운트(Wrap account)
18. 레버리지(Leverage)와 디레버리지(De-leverage)
19. 리스크 리버설(Risk Reversal)
20. 리츠(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21. 바이 아메리칸 법(BAA: Buy American Act)
22. 배드뱅크(Bad Bank)
23. 변동성 지수(VIX: CBOE Volatility Index)
24. 변액보험(Variable Insurance)
25. 부동산 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26. 부실대출 및 부실증권 프로그램(LLP, LSP)
27. 부실자산구제계획(TARP: Troubled Asset Relief Plan)
28. 부채 디플레이션(Debt-Deflation)
29. 부채담보부증권(CDO: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30. 브레턴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
ㅅ ~ ㅇ
31. 선물환(forward)
32. 소비자신뢰지수(Consumer Confidence Index)
33. 수익률곡선(Yield Curve)
34. 순이자마진(NIM: Net Interest Margin)
35.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
36. 시가평가(Mark-to-Market)
37. 신용부도스왑(CDS: Credit Default Swap)
38. 신용연계채권(CLN: Credit Linked Note)
39. 실질 국민총소득과 교역 조건
40. 양적 완화(QE: Quantitative Easing)
41. 에코플레이션(Ecoflation)
42.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Federal Reserve Board)
43. 예대율(Loan to Deposit Ratio)
44. 외국환평형기금채권
45. 외환건전성 비율
46. 외환보유액(Foreign Exchange Reserves)
47.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48. 유럽중앙은행(ECB: European Central Bank)
49. 유형자기자본(TCE: Tangible Common Equity) 비율
50. 이슬람 금융(Islamic Finance)
ㅈ ~ ㅎ
51. 자금순환표(Flow of Funds Account)
52. 자산효과(Wealth Effect)
53. 잡 쉐어링(Job Sharing)
54. 조세회피지역(Tax Haven)
55. 주식워런트증권(ELW: Equity Linked Warrant)
56. 지급준비율(Reserve Ratio)
57. 차액결제선물환(Non-Deliverable Forward)
58. 채권담보부증권(CBO), 대출담보부증권(CLO)
59. 총수익스왑(TRS: Total Return Swap)
60. 커버드 본드(Covered Bond)
61. 콜금리(Call Rate)
62. 키코(KIKO: Knock-In Knock-Out)
63. 통화스왑(CRS: Currency Swap)
64. 통화스왑계약(Reciprocal Currency Arrangement)
65. 통화지표(Money Stock Measures)
66. 투자은행(IB: Investment Bank)
67. 트리플 위칭 데이(Triple Witching Day)
68.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e)
69. 프리워크아웃(pre-work out)
70. 하이브리드 채권(Hybrid Bond)
71. 환매조건부 채권(RP: Repurchase Agreements)
72. 후순위채(Subordinated Bonds)
A ~ Z
73. BDI(Baltic Dry Index), 선수금환급보증(RG)
74. BIS 자기자본 비율
75. CDS 지수(iTraxx, CDX, ABX)
76. CFNAI(Chicago Fed National Activity Index)
77. CMA(Cash Management Account)
78. CRB 지수
79. ELS, ELD, ELF
80.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지수
81. LIBOR, TED spread, LIBOR OIS spread
82. MMF(Money Market Fund)
83. P-CBO(Primary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s)
84. S&P/Case-Shiller 주택가격지수, FHFA 주택가격지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금융위기와 경기침체로 금융권 부실채권이 증가하면서 부실자산 처리기구인 배드뱅크(Bad Bank)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배드뱅크란 부실금융기관으로부터 부실자산을 인수하여 이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은행으로, 부실자산관리은행 또는 부실자산통합은행(Aggregator Bank)이라고도 한다. (중략)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은행 주도의 민간 배드뱅크 설립을 계획 중이다. 하지만 이를 둘러싸고 '도덕적 해이' 논란이 일고 있다. 선제적 부실차단을 위해 조성된 공적자금이 일부 손실보전을 위한 은행권의 '사금고'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 논란의 핵심이다. 외환위기 당시의 자산 헐값매각의 전례를 답습하지 않겠다는 것이 민간 배드뱅크 설립의 목적인데, 민간 배드뱅크와 경쟁구도에 놓이게 되는 캠코의 역할도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본문 103~105쪽, '배드뱅크' 중에서
드디어 미국 은행들의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가 발표된다. 앞으로 악화될 경제 상황을 가정해서 대형 은행들이 받게 되는 손실이 얼마나 되고, 또 과연 견뎌낼 수 있는지가 관심의 초점이다. 지난달부터 스트레스 테스트는 이미 금융시장의 핫이슈였다. 여전히 불안한 상태에서 추가로 은행에 자금을 지원하게 되면 그만큼 미국 정부와 금융시장에 또 다른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의 지나친 과민반응도 경계해야 한다. 지금까지 정부의 지원이 없었다면 아마 대부분의 미국 금융기관은 도산할 정도의 타격을 받았을 것이다. 미국 정부도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충분한 과잉대응(overkill)을 왔다.
반면 스트레스 테스트 대상 은행 모두가 가이드라인을 통과했다고 해서 은행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지도 않는다. 보유 자산의 시가평가를 유보한 상황에서 이미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들이 추가적인 자본 확충이 필요 없다고 한들 이전과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
(동아일보, 2009.5.6.(홍성국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에서 발췌) - 본문 151~152쪽, '스트레스 테스트' 중에서
트리플 위칭 데이(Triple Witching Day)란 주가지수선물과 주가지수옵션, 개별주식옵션의 세 가지 파생금융상품 만기가 3개월마다 한 번씩 겹치는 날을 일컫는다. 본래 이 표현은 1986년 9월 11일 뉴욕 주식시장에서 주가지수선물?옵션 및 개별주식옵션의 만기가 동시에 돌아오면서 장 종료 전 1시간 동안 거래가 급증하며 가격이 폭락한 현상에서 유래되었다. 마치 세 명의 마녀(witch)에게 혼을 빼앗기듯 주가가 급등락을 거듭하는 현상을 지칭한 것인데, 트리플 위칭(triple witching)은 셰익스피어 원작 「맥베스」의 등장인물에서 유래되었다. - 본문 272쪽, '트리플 위칭 데이'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