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시간관리/정보관리 > 정보관리
· ISBN : 978899309445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1-04-10
책 소개
목차
서문 목적의식을 갖고 순서에 맞게 생각을 정리하면 성공할 수 있다!
step 0. 최선의 결정을 이끌어내는 생각 정리법
1. 습관화된 생각 정리법이 필요한 이유
2. 비즈니스에서 생각의 순서가 꼭 필요한 이유
3. 뛰어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지닌 생각 정리의 5단계
4. 5단계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자
5. 의사결정 트레이닝① 우리 가족이 탈 자동차를 사자
6. 의사결정 트레이닝② 사원들의 맞선을 성공시켜라
7. 의사결정 트레이닝③ 도움이 되는 자격증을 골라서 따라
8. 생각 정리의 5단계를 의식적으로 정착시켜라
step 1. ‘목적’을 명확하게 하는 방법
1. 제대로 목적을 인식하는 습관이 있는가
2. 실제로는 어려운 목적 설정
3. 정보가 없으면 목적의 방향을 잡을 수 없다
4. 자신의 정책 축을 설정하라
5. 상황을 주체적으로 파악하자
6. 결정 사항을 명확하게 하는 방법
7. 사람은 모두‘인생’의 경영자이다
step 2. ‘목표’를 정하는 방법
1.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목표가 필요하다
2. 상품 개발을 할 때 목표를 세우는 법
3. 목표를 명확하게 할 수 없는 원인
4. 목표는 상황 분석에 기초해서 구체적으로 정하라
5. 목표는 달성 가능하고 목적에 맞아야 한다
6. 의견이 달라도 출구는 반드시 있다
7. 목표를 수정할 때의 체크 포인트
8. 더 좋은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
step 3. ‘최적안’을 선택하는 방법
1.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안을 생각해라
2. 히트 상품보다 더 좋은 상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해라
3. 과거의 성공 체험은 전부 잊어라
4. 실현 가능성을 따지지 말고 일단 가설을 세워보자
5. 더 좋은 안을 설정하기 위한 체크 포인트
step 4. 최적안의 리스크를 걷어내고 대책을 강구하는 방법
1.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리스크를 예측하자
2. 더 좋은 안이 나왔을 때 최악의 사태를 생각해두어라
3. 경험이 없는 분야의 리스크 대책의 3원칙
4. 항상 미래를 읽고 최악의 사태를 준비한다
5. 일상적인 위기관리의 차이가 기업 능력의 차이로 나타난다
step 5. 실행 계획을 세우고 정확하게 ‘매니지먼트’하는 방법
1. 리스크 매니지먼트는 실행 계획의 완결에 꼭 필요하다
2. 실효성 있게 리스크 매니지먼트하는 법
3. 결정하면 확실하게 실행해라
4. 성공의 기초가 되는 실패와 쓸데없는 실패의 차이
5.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리스크
6. 힘든 상황을 돌파하는 도전적인 리스크 매니지먼트
step Plus. 타인과의 ‘의사결정’을 잘 조정하는 방법
1. 다양한 타입의 사람들과 의견 조정하는 법
2. 주체성 없는 사람이 가장 큰 문제이다
3. 자신의 의사결정을 상대에게 설명하는 기술
4. 배제해야 할 가치관과 환영해야 할 가치관의 차이
5. 이해 대립을 넘어서 사람을 모을 수 있는 인간의 조건
에필로그 무한한 에너지를 낳는 생각의 힘을 기르자
책속에서
인간은 자신이 선호하는 안을 고집하는 경향이 있다. 과거 잘했던 일을 잊지 않고 있다가 어떤 문제가 생기면 신중하게 생각하기도 전에 과거의 그 방법밖에 없다고 마음대로 생각을 굳히는 것이다.
과거의 성공 체험에 이끌려서 경영에 나쁜 수를 두는 경영자가 의외로 많이 있다. 성공 체험이 오히려 기업을 망하게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성공자들은 무조건 과거 경험에 기초한 안을 고집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절대화하는 인간의 습성 때문인데, 그것이 최선의 선택이 아니라 그냥 자신의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이란 것을 깨닫게 해서 객관적인 판단을 하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자신의 의견을 궤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 <비즈니스에서 생각의 순서가 꼭 필요한 이유> 중에서
‘목적’은 목표로 하는 표적이고 ‘목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식이나 표시이다. 목표는 길 안내에 해당하는데, 그 안내에 따라서 행동을 하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 만일 에베레스트에 올라갈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면 에베레스트 등정이라는 목적은 설정 가능하다. 그러나 루트와 캠프를 선택하는 목표 설정이 틀리면 성공할 수 없다.
목적과 목표는 역전마라톤을 예로 생각하면 쉽다. 각 주자의 평균 기록이 최고 수준이면 우승이라는 목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말이다.
-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목표가 필요하다> 중에서
안을 생각할 때에는 적극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안을 다 만든 단계에서는 반대로 선택한 최적안의 약점을 철저하게 검토해야 한다. 리스크란 안을 채용해서 실행했을 때 예상할 수 있는 곤란한 사건이다. 안의 리스크는 ‘최적안을 선택했을 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했다면 그렇게 잘 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리스크’, ‘상황이 변했기 때문에 목표 자체가 변할지도 모른다는 리스크’, ‘안 자체를 예정대로 만들지 못할 수 있다는 리스크’, ‘안의 실행이 주변에 영향을 줄지도 모르는 리스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리스크를 예측하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