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9332446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3-04-03
책 소개
목차
1부 소년, 자유를 훔치다
1장 갈림길 16
2장 소년 시절 38
1. 유년의 기억 39
2. 계모의 존재를 알다 49
3. 주워 먹기와 얻어먹기, 그리고 훔쳐 먹기 60
4. 아버지의 선택 74
3장 나는 꽃제비다 90
1. 아이야, 너는 누구니? 91
2. 꽃제비로 사는 법 103
3. 다시 볼 수 없는 형, 그와 함께한 날들 129
4장 인간은 없다 142
1. 비법월경죄 143
2. 죄수도 인간이다 151
3. 함경북도 회령 전거리 제12교화소 156
4. 다시는 되돌아올 수 없는 강 171
5장 퍼플맨 180
2부 북한의 꽃제비 연구
1장 왜 꽃제비인가 192
1. 꽃제비 연구의 목적 192
1) 꽃제비를 연구한 목적 192
2) 꽃제비에 관한 기존 연구 196
2. 꽃제비의 연구 범위 200
2장 꽃제비란 무엇인가 204
1. 꽃제비의 개념 204
1) 꽃제비 발생과 관련한 기존의 이론들 204
2) 꽃제비의 요건 208
3) 꽃제비의 대상 214
4) 꽃제비와 관련한 용어 219
2. 꽃제비의 발생 배경 224
1) 1950~1980년대
정치적 계층 구분에 의한 발생 224
2) 1990~2000년대
경제위기에 따른 꽃제비의 확산 241
3장 꽃제비의 유형과 특징 259
1. 꽃제비의 행위별 유형과 명칭별 구분 259
1) 꽃제비의 행위별 유형 259
2) 꽃제비의 명칭별 분류 269
3) 꽃제비의 지역 내 유형과 주거별 유형 274
2. 꽃제비의 특징 277
1) 꽃제비의 네 가지 특징 277
2) 정보 유통과 지역 이동 279
3) 꽃제비의 조직화 283
4) 꽃제비와 상인 간의 협력과 갈등 292
5) 꽃제비생활의 자율성 295
4장 통제 속의 변화 302
1. 꽃제비에 대한 시각 302
1) 비사회주의적 행위자 302
2) 꽃제비의 양면성 306
2. 통제의 확대 및 한계 309
1) 전통적 관리 309
2) 관리의 변화 317
3) 관리의 약화와 한계 327
5장 꽃제비 연구를 마치며 335
저자소개
책속에서
1부
“너는 이름이 뭐니?”
“저는 제비입니다.”
“제비? 이름이 참 예쁘구나.”
“제비는 제비인데, 꽃제비입니다.”
여행객이 민망해하며 다른 질문을 했다.
“그러면 너는 뭘 먹고 사니?”
“올이요.”
“오리? 오, 정말 좋은 걸 먹고 사네?”
”오리는 오린데 국수 올이를 먹고 삽니다.”
여행객이 다시 물었다.
“그럼, 살기는 어디에서 사니?”
“저는 수도에서 삽니다.”
“어? 정말? 좋은 데서 사는구나.”
“수도는 수도인데 하수도에서 삽니다.”
오늘 밤은 정말 죽을까 하는 생각밖에는 아무 생각도 들지 않았다. 나는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무언가 남기고 싶었다. 나는 간신히 몸을 들고 땅바닥에 엎디어 숯구이로 ‘살고 싶다’라는 자그마한 네 글자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