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9362985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2-06-15
책 소개
목차
Ⅰ. 불교와의 만남
1. 종교란 무엇인가
1)종교라는 말의 유래 2)종교의 의미 3)종교에 대한 두 가지 견해 4)종교의 구성 요소 5)종교의 분류 6)종교의 기능 7)종교와 윤리와의 관계 8)종교란 인간에게 무엇인가? 9)현대사회와 종교
2. 불교는 어떤 종교인가
1)불교란 말의 뜻 2)부처님은 누구인가 3)부처님의 열 가지 이름 여래십호 4)불교는 어떤 종교인가 5)불교, 이래서 좋다 6)행복을 추구하는 불교 7)삶의 고통에 대한 불교의 입장
3. 불교와 새로운 문화의 창조
1)현대 사회와 불교 2)민족문화의 새로운 전개 3)인류의 미래와 불교 4)불교인의 올바른 자세
Ⅱ 부처님의 생애
1. 불교성립의 시대적 배경
1)인도의 지리적 특성, 풍토적 성격, 인종적 복잡성 2)아리야인의 인도 침략 3)기원전 6세기의 인도사회의 변화 4)정통 바라문과 신흥 사문들의 사상 5)당시 사상계의 세계관인 삼종 외도설
2. 거룩한 탄생
1)부처님의 탄생 배경 2)탄생 설화 3)부처님의 탄생 4)부처님의 이름으로 본 깨달음의 과정 5)아시타 선인의 예언 6)마야왕비의 죽음
3. 진리를 찾아서
1)싯다르타 태자의 청소년기 2)사문유관 3)태자의 번민에 따른 정반왕의 회유책 4)위대한 포기, 출가 5)태자의 출가 동기와 의의 6)출가 후 진리를 추구하는 수행자로서의 구도 과정 7)성도 과정 8)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
4. 법륜을 굴리다
1)전법 여행을 떠나다 2)최초의 설법 3)불교의 교단 성립 4)전도 선언 5)교화 활동 6)부처님의 십대제자
5. 경전의 성립
1)최후의 전법여행 2)자등명 법등명 3)경전의 결집
Ⅲ. 불교의 교리
1. 깨달음의 세계
1)깨달음의 의미 2)정법주의적 신앙 3)12처 4)5온 5)3법인 6)인과업보 7)인연화합 8)상의상관법 9)12연기 10)4성제 11)8정도 12)해탈과 열반 13)3세업보와 윤회 14)3학 15)중도
2. 대승의 진리
1)부파불교 2)대승불교 3)공 사상 4)반야바라밀다 5)보살 6)6바라밀다 7)성불의 이념 8)유식학 9)마음 10)선 11)선종 12)정토 13)극락 세계 14)유심정토 15)이행도
3. 불교의 윤리
1)10선계와 5계 2)7불통계 3)동체대비 4)4무량심 5)4섭법 6)6화경 7)4은 8)우란분절과 부모은중경
Ⅳ. 불교의 역사
1. 불교의 발자취
1)불교의 성립 2)인도불교 3)중국불교
2. 삼국불교와 통일신라불교
1)삼국불교 2)통일신라불교 3)한국불교의 특징
3. 고려불교
1)태조 왕건의 호불정책 2)균여의 화엄학과 보현십종원왕가 3)의천의 교관겸수설 4)지눌의 돈오겸수설과 정혜쌍수설 5)대장경 판각 6)일연의 삼국유사 7)태고 보우의 임제선 수입 8)백운 경한의 직지심체요절(직지)
4. 조선불교
1)숭유억불정책 2)세종의 한글 창제와 호불 3)세조의 호불정책 4)문정왕후의 호불정책 5)임진왜란과 의승군 6)서산대사 휴정의 사상 7)병자호란과 벽암의 의승 활동
5. 근대불교와 개화사상
1)개화사상과 불교개혁론 2)3·1운동과 한용운 3)민족대표 33인 중 불교대표 백용성 4)종단 조계종과 조계사 창건
Ⅴ. 불교와 문화
1. 불교문학
1)불교문학의 의미 2)불교문학의 분야 3)불교 경전문학 4)불교 시가문학 5)훈민정음과 불교문학 6)불교 서사문학 7)기타 불교문학 8)우리나라의 불교문화
2. 불교의례
1)불교의례의 의미 2)불교의례의 종류 3)재의 의미와 종류 4)연등회 5)팔관회
3. 불교와 차문화
1)다례와 다도 2)차문화와 생활 3)한국 차문화의 역사 4)차 생활의 효과 5)불교와 차문화
4. 불교와 건강
1)몸과 마음의 조화 2)음식과 건강 3)건강과 수행 4)경전 속의 병과 원인
Ⅵ. 불교와 예술
1. 불교건축
2.불교회화
1)불화의 의미와 종류 2)불화의 재료 3)불화의 주제
3. 불교조각
1)불상의 의미 2)우리나라의 불상 3)불상의 재료 4) 불상의 종류
4. 불교공예
5. 불탑과 승탑
1)불탑 2)우리나라의 불탑 3)탑의 분류 4)탑의 구조 5)승탑
6. 불교음악과 무용
1)불교음악 2)불교무용
Ⅶ. 불교와 신행
1. 불자 예절과 사찰의 하루
1)삼보와 삼귀의 2)불자가 되는 길 3)차수와 합장 4)오체투지와 삼배 5)도량의 의미 6)도량석과 종성 7)예불과 사찰 일과 8)반야심경
2. 불교의 법회와 기념일
1)법회의 의미와 유래 2)정기법회와 찬불가 3)재일과 기념일
3. 불교의 수행법
1)불교 신행의 길 2)수행이란 무엇인가 3)수행의 종류
4. 청소년 불자의 나아갈 길
1)불국토 건설 2)감사하는 생활 3)생활 속의 불교와 전통문화 4)파라미타청소년연합회와 청소년 불자 5)불국토 건설을 위해 청소년 불자가 나아갈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