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독일철학
· ISBN : 9788993799026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09-06-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론 : 삶에 관한 해석학적 숙고의 필요성
1. 삶의 현사실성과 해석학
2. 문제제기 및 내용 개괄
제1장 : 현사실적 삶Dasfaktische Leben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제1절 현사실적 삶의 세계
1. 초기 하이데거에서 삶(Leben)과 세계(Welt)
2. 삶의 연관의미로서의 염려함(Bezugssinn des Lebens: Sorgen)
제2절 현사실적 삶의 세계에서 만남의 성격
1. 눈앞에 있음(Vorhandenheit)과 공동세계의 앞서 나타남(Dermit weltliche Vorschein)에서 만남의 성격
2. 배려와 염려 그리고 현사실적 삶
제3절 현사실적 삶
1. 현사실적 삶의 운동성과 시간성
2. 현사실적 삶의 ‘거기(Da)’에 ‘있는’ 자, 현존재(Dasein)는 누구인가
제2장 : 현존재와 염려 그리고 현사실성의 해석학
제4절 전통적 ‘인간’ 개념과 현존재(세계-내-존재)
1. 성서 전통에서 ‘인간’ 개념
2. 인간에 대한 신학적 개념과 ‘이성적 동물’ 개념
3.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현존재 이해
4. 인간(주체)-세계(객체)의 이분법적 이해 극복
5. 현존재와 세계 그리고 존재이해
제5절 현존재와 염려 그리고 시간
1. 현존재와 염려
2. 염려의 존재론적 의미로서 현존재의 시간성(Zeitlichkeit)
3. 현존재와 시간 그리고 시간의식
4. 염려와 가능성 그리고 시간
제6절 현사실성의 자기해석으로서 해석학
1. 전통적인 개념에서의 해석학
2. 근원적인 의미에서의 ‘해석학’
제3장 : 일상성, 결단성, 본래성
제7절 더불어 있음과 자기 자신으로 있음으로서의 세계-내-존재
1. 타인들의 공동현존재와 일상적인 더불어 있음
2.현존재의 현사실성(‘일상’의 드러남)
제8절 현존재의 일상성과 결단성, 그 지속과 순간의 반복
1. 일상적인 열어 밝혀져 있음과 ‘사람들’(das Man)
2. 현존재의 삶
제9절 일상과 본래성 회복 문제
1. 하이데거에서 불안(Angst)과 죽음의 철학
2. 양심의 부름에 응답하려는 삶
3. 현존재의 죽음이해와 죽음을 향한 본래적 존재의 실존론적 기획투사
제10절 결론: 하이데거의 눈으로 삶을 읽다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삶의 그때그때마다 자신의 결단에 의해 자기의 본래적 존재가능으로 기획투사해야 함을 강조하는 하이데거는 초기부터 자신의 철학에서 '현사실성'이란 개념을 중요시하였다. 이 개념은 '논리성'에 상반되는 개념으로 현사실성은 일회적, 우연적, 상대적, 시간적, 개인적, 반복할 수 없는 것인 반면, 논리적인 것은 영구적, 필연적, 보편적, 초시간적인 성격을 뜻한다. 하이데게는 전통적으로 철학에서 논리적인 것을 찾고 추구해온 바에 대해 비판하며 논리적인 것에 대해 근본적으로 물음을 제기한다. 그리고 인간의 삶은 이러한 논리적인 것으로 분석하거나 비추어서는 알 수 없다고 보고 우리의 삶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자 노력한다. 그래서 하이데거는 자신의 이러한 작업을 '현사실성의 해석학'이라고 명명했다 - 21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