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존 케이지 (지은이), 나현영 (옮긴이)
오픈하우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7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600원 -10% 980원 16,660원 >

책 이미지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야기
· ISBN : 9788993824841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4-07-04

책 소개

존 케이지의 본격적인 첫 저작물로, 1940년대 이래 '무정형성의 음악' 등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던 그의 철학적, 예술적 토대를 접할 수 있는 글을 모은 책이다. 1937년과 1961년 사이에 쓰인 기고문, 에세이, 강연문 23편을 담았다.

목차

출간 50주년 기념판 서문 / ix
서문 / xxxiii
선언 / xxxvii
음악의 미래: 크레도 / 3
실험 음악 / 7
실험 음악: 법요 / 14
프로세스로서의 작곡 / 20
I. 변화 / 20
II. 불확정성 / 42
III. 소통 / 49
작곡법 / 67
「주역 음악」과 「상상의 풍경 4번」에 사용된 작곡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 67
「피아노를 위한 음악 21~52」에 사용된 작곡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 71
현대 음악의 전조 / 74
미국 실험 음악의 역사 / 81
에릭 사티 / 92
에드가 바레즈 / 101
무용에 관한 네 편의 소고 / 105
목표: 새로운 음악, 새로운 무용 / 106
우아함과 명료함 / 108
오늘날…… / 114
음악과 무용에 관한 2장의 지면과 122개의 단어 / 117
로버트 라우셴버그, 예술가와 그의 작품에 관해 / 119
무에 관한 강연 / 133
유에 관한 강연 / 158
한 명의 화자를 위한 45분 / 181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또 무엇을 하고 있는가? / 231
불확정성 / 316
음악 애호가들을 위한 현장 안내서 / 333
해설 / xxxix 옮긴이의 글 / xliii 각주 / xlvii 찾아보기 / liii

저자소개

존 케이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모든 사건들이 결정적이었고, 모든 사람들이 나를 만들었으며, 일어난 모든 일과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들이 나를 만들고 있다.”_ 존 케이지 존 케이지는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짐으로써 시대를 초월한 가장 ‘현대적’인 작곡가이자 예술가, 사상가가 된 인물이다. 그는 191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발명가 아버지와 언론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퍼모나 대학에 다니다가 일률적인 교육 제도에 충격을 받은 그는, 새로운 경험을 찾아 떠난 유럽에서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수많은 사건들이 동시에 한 인간의 경험 속에 얽혀 즐거움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알게 된다. 현대 건축, 미술, 음악 등등에 두루 관심을 가졌지만, 프랑스 파리에서 한 유명 건축가에게 “건축가가 되려면 건축에 일생을 바쳐야” 한다는 말을 듣고 건축 공부를 그만둔다. 그러나 미국으로 돌아와 현대 음악의 선구자 아널드 쇤베르크에게 같은 질문을 받고는 기꺼이 그의 제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화성학에 전혀 소질이 없었던 케이지에게 쇤베르크는 그가 넘을 수 없는 벽에 부딪혀 평생 음악을 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케이지의 대답은 다음과 같았다. “그렇다면 그 벽에 머리를 박는 데 일생을 바치겠습니다.” 타악기에서 미래의 음악의 가능성을 엿본 케이지는 작곡가 생활 초기 주로 무용에 사용할 타악기 음악을 작곡하며 생계를 잇는다. 1940년대 초 그는 무용가이자 안무가 머스 커닝햄을 만나 인생의 동반자가 된다. 이 시기 케이지의 혁신적인 발명품 중에는 그랜드 피아노 현 위에 나사나 볼트, 틈막이 등의 이물질을 부착해 타악기처럼 만든 ‘프리페어드 피아노’가 있었다. 이미 일찍이 선(禪)에 관심을 갖고 있던 케이지는 서구 세계에 불교를 전파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한 스즈키 다이세쓰와 함께 공부하며 소리를 작곡가의 기억 및 호불호로부터 해방시키는 비의도적 작곡 방식을 연구하기에 이른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주역》으로 점을 쳐 음높이, 음길이, 강약을 비롯한 소리의 모든 측면을 결정한 〈주역 음악〉이다. 1952년에 발표한 〈4분 33초〉는 그의 실험이 절정에 이른 곡이다. 《주역》으로 곡의 길이만을 결정하고 나머지를 모두 배제한 이 곡에서 연주자가 피아노 뚜껑을 열고 닫는 동작만을 취하는 동안, 청중은 공연장에 가득한 기침 소리, 바람 소리, 먼 소음 등을 듣게 된다. 케이지는 침묵을 통해 우리가 세계를 다시 듣게 만들었다. 케이지는 일상의 우연, 예기치 못한 만남, 버섯 채집 같은 자연의 경험을 예술적 사유와 연결한다. 이 책에는 음악만큼이나 버섯 얘기가 유달리 많이 나오는데, 케이지는 “버섯은 짧은 시간에 자라기 때문에 우연히 그것이 신선할 때 마주친다면 그것은 마치 짧은 시간 생명이 있는 소리와 마주치는 것과 같다”고 말하며 숲속을 거닐면서도 자신의 침묵의 작품을 연주한다. 예술은 곧 삶이며 발견의 과정임을 주장한 그는 수많은 예술 운동에 영향을 끼쳤으며, 오노 요코, 백남준 등 플럭서스 운동을 이끈 예술가들의 사상적 기반이 되어 주었다. 1961년 출간된 《침묵》은 이전까지 케이지가 했던 그 어떤 활동보다 케이지를 유명하게 만든 책이다. 그가 1937년부터 1961년 사이에 쓴 기고문과 에세이, 강연문 등을 엮은 이 책은 음악뿐 아니라 시와 철학, 무용과 회화, 예술 그 자체의 본질에 질문을 던진 현대의 가장 독창적인 예술론 중 하나로 평가된다. 변혁에 목말랐던 새로운 세대에게 그의 책은 신성한 텍스트와도 같았으며, 현재까지 무수한 번역판을 포함해 약 50만 부 이상이 팔린 이 책은 지금도 전 세계의 독자들에게 마르지 않는 예술적 경험을 선사한다.
펼치기
나현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포도밭출판사의 나선형 시리즈에서 SF, 생태, 포스트휴머니즘을 주제로 다양한 책을 기획하여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지그문트 바우만, 소비사회와 교육을 말하다》, 《무정한 빛》, 《아나키스트 인류학의 조각들》, 《SF는 어떻게 여자들의 놀이터가 되었나》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케이지는 플레밍에게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나는 침대에 누워 벨 소리의 패턴에 귀 기울이며 그 소리를 내 사고와 꿈에 섞었네. 덕분에 푹 잘 수 있었지."개인적으로 나는 케이지가 촉구한 대로 연주회에서 아기 울음소리를 즐기며 그것이 현대 음악 작품을 망치지 않게 하려 애썼으나, 아직까지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은 계속해서 케이지에게 돌아가게 만드는 이유기도 하다. 조금만 더 진화하거나 느긋해져 아기의 울음소리도, 화재 경보도 즐길 수 있다면 케이지가 늘 그래 보이듯 삼라만상을 보다 편안하게 느끼게 되리라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케이지는 20세기 예술가들의 신경증에서 벗어나는 길을 생각하며 우리가 거기 있음을 미처 깨닫지 못한 더 생생하고 덜 경직된 세계를 발견했다. 《사일런스》는 이러한 세계로 데려가는 안내서다. 이 책을 펼칠 때마다 우리는 발이 땅에서 조금 더 떨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시가 산문이 아닌 이유는 간단히 말해 시가 어떤 식으로든 형식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시는 그 내용이나 모호성 때문이 아니라 말의 세계에 음악적 요소(시간과 소리)를 도입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에 시다. 그런 까닭에 아무리 딱딱한 정보라도 시로 전달하는 전통이 있어왔다[예컨대 인도의 수트라나 샤스트라]. 오히려 이해가 더 쉬워지는 경우도 있다. 미국 시인 칼 샤피로(Karl Shapiro)가 《운(韻)에 관한 에세이(Essay on Rime)》를 운문으로 쓴 것도 같은 이유에서일지 모른다.
이렇게 형식화된 강연을 지면으로 옮기는 데는 분명한 어려움이 따른다. 해결책의 하나로 이상과 현실 사이에 타협점을 찾으려 했다. 이 책에 실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또 무엇을 하고 있는가?〉가 좋은 예다. 이 강연을 비롯한 몇몇 강연을 구두로 행할 때 사용한 방식은 두주(頭註)에 밝혀 놓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