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존 케이지 (John Cage) (지은이), 나현영 (옮긴이)
오픈하우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600원 -10% 980원 16,660원 >

책 이미지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93824841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4-07-04

책 소개

존 케이지의 본격적인 첫 저작물로, 1940년대 이래 '무정형성의 음악' 등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던 그의 철학적, 예술적 토대를 접할 수 있는 글을 모은 책이다. 1937년과 1961년 사이에 쓰인 기고문, 에세이, 강연문 23편을 담았다.

목차

출간 50주년 기념판 서문 / ix
서문 / xxxiii
선언 / xxxvii
음악의 미래: 크레도 / 3
실험 음악 / 7
실험 음악: 법요 / 14
프로세스로서의 작곡 / 20
I. 변화 / 20
II. 불확정성 / 42
III. 소통 / 49
작곡법 / 67
「주역 음악」과 「상상의 풍경 4번」에 사용된 작곡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 67
「피아노를 위한 음악 21~52」에 사용된 작곡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 71
현대 음악의 전조 / 74
미국 실험 음악의 역사 / 81
에릭 사티 / 92
에드가 바레즈 / 101
무용에 관한 네 편의 소고 / 105
목표: 새로운 음악, 새로운 무용 / 106
우아함과 명료함 / 108
오늘날…… / 114
음악과 무용에 관한 2장의 지면과 122개의 단어 / 117
로버트 라우셴버그, 예술가와 그의 작품에 관해 / 119
무에 관한 강연 / 133
유에 관한 강연 / 158
한 명의 화자를 위한 45분 / 181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또 무엇을 하고 있는가? / 231
불확정성 / 316
음악 애호가들을 위한 현장 안내서 / 333
해설 / xxxix 옮긴이의 글 / xliii 각주 / xlvii 찾아보기 / liii

저자소개

존 케이지 (John Cage)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2년 9월 5일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퍼모나 대학에 다니다 교과 과정에 반발한 그는 1년 후 대학을 떠나 1930년대 미국의 전위 음악 권위자 헨리 카웰을, 이어 무조 음악과 12음 기법의 선구자 아놀드 쇤베르크를 만난다. 케이지는 쇤베르크의 가장 흥미로운 미국인 제자였고 그로부터 ‘작곡가라기보다 천재적 발명가’라 불렸다. 작곡가 생활 초기 케이지는 샌프란시스코와 시애틀에서 음높이 없는 타악기 음악을 작곡해 새로운 ‘소우주-대우주적’ 리듬 구조를 만들어냈다. 또 다른 혁신은 ‘프리페어드 피아노’의 발명이다. 1940년 발명된 이 악기는 그랜드 피아노의 현 위에 나사나 볼트, 틈 마개 등의 이물질을 부착해 음높이가 불확정적인 타악기로 바꾼 것이다. 무용가 머스 커닝엄과의 공동 작업도 1940년대에 시작되었다. 한편 1936년 시애틀에서 낸시 윌슨 로스의 강연 〈선불교와 다다이즘〉을 듣게 된 케이지는 선 사상에 눈을 뜨고, 뉴욕으로 떠나 신화학자 조지프 캠벨에게서 동양 예술과 철학을 소개받고 음악관이 뒤바뀐다. 그리고 1949년 뉴욕 예술가 클럽에서 〈무에 관한 강연〉을, 1년 후 〈유에 관한 강연〉을 한다. -“나는 할 말이 없고 할 말이 없다는 얘기를 하고 있으며 이것이 내게 필요한 시다.”(〈무에 관한 강연〉 중) - 1950년 갓 출간된 《주역(周易)》의 최초 영문판을 접한 케이지는 음높이와 소리를 모두 배제하고, 《주역》으로 음길이만을 결정해 곡을 쓴다. 바로 「4분 33초」다. 1952년 8월 29일, 역시 뉴욕에서, 케이지의 탁월한 해석자 데이비드 튜더는 4분 33초 동안 피아노 앞에 앉아 이 곡을 연주했다. 그 해 역사가이자 철학자인 스즈키 다이세쓰의 강의를 듣게 된 케이지는 선 사상을 심도 있게 연구해간 한편, 1956년부터 1960년까지 뉴욕의 뉴스쿨 대학교에서 실험 음악 작곡을 가르쳤다. 그곳에서 그에게 배운 이들이 바로 플럭서스 운동을 이끈 개념예술의 선구자들이다. 1958년 5월 15일, 케이지의 친구들은 뉴욕 타운 홀에서 열린 그의 25주년 기념 연주회에 참석했다. 약 1천 명의 청중이 모였고, 몇 달 후 케이지와 튜더는 다름슈타트 국제 하계 현대 음악제에 초대되었다. 케이지는 유럽 음악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고, 현대 음악계 바깥에서까지 주목을 받았다. 1959년 1월 이탈리아 퀴즈 쇼에 출연한 그는 버섯과 관련된 퀴즈를 맞혀 상금을 받았고, 또한 이곳에서 「베네치아의 소리」와 「워터 워크」를 공연했다. 1960년 1월에는 게리 무어가 진행하는 미국 텔레비전 쇼에 ‘오늘날 음악계에서 가장 논쟁적인 인물’로 출연해 「워터 워크」를 한 번 더 공연했다. 같은 시기 케이지는 웨슬리언 대학교 고등 연구 센터의 수업을 맡게 된다. 그리고 1961년 10월, 웨슬리언 대학교 출판부에서 《사일런스》가 출간된다.
펼치기
나현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출판업에 종사하다가 현재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지그문트 바우만, 소비사회와 교육을 말하다》 《아나키스트 인류학의 조각들》 《편집증》 《쿤/포퍼 전쟁》 《사일런스 : 존 케이지의 강연과 글》 《집단 기억의 파괴》 《퍼스널 베스트》 《낭만주의의 뿌리》(공역), 《월드체인징》(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케이지는 플레밍에게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나는 침대에 누워 벨 소리의 패턴에 귀 기울이며 그 소리를 내 사고와 꿈에 섞었네. 덕분에 푹 잘 수 있었지."개인적으로 나는 케이지가 촉구한 대로 연주회에서 아기 울음소리를 즐기며 그것이 현대 음악 작품을 망치지 않게 하려 애썼으나, 아직까지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은 계속해서 케이지에게 돌아가게 만드는 이유기도 하다. 조금만 더 진화하거나 느긋해져 아기의 울음소리도, 화재 경보도 즐길 수 있다면 케이지가 늘 그래 보이듯 삼라만상을 보다 편안하게 느끼게 되리라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케이지는 20세기 예술가들의 신경증에서 벗어나는 길을 생각하며 우리가 거기 있음을 미처 깨닫지 못한 더 생생하고 덜 경직된 세계를 발견했다. 《사일런스》는 이러한 세계로 데려가는 안내서다. 이 책을 펼칠 때마다 우리는 발이 땅에서 조금 더 떨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시가 산문이 아닌 이유는 간단히 말해 시가 어떤 식으로든 형식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시는 그 내용이나 모호성 때문이 아니라 말의 세계에 음악적 요소(시간과 소리)를 도입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에 시다. 그런 까닭에 아무리 딱딱한 정보라도 시로 전달하는 전통이 있어왔다[예컨대 인도의 수트라나 샤스트라]. 오히려 이해가 더 쉬워지는 경우도 있다. 미국 시인 칼 샤피로(Karl Shapiro)가 《운(韻)에 관한 에세이(Essay on Rime)》를 운문으로 쓴 것도 같은 이유에서일지 모른다.
이렇게 형식화된 강연을 지면으로 옮기는 데는 분명한 어려움이 따른다. 해결책의 하나로 이상과 현실 사이에 타협점을 찾으려 했다. 이 책에 실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또 무엇을 하고 있는가?〉가 좋은 예다. 이 강연을 비롯한 몇몇 강연을 구두로 행할 때 사용한 방식은 두주(頭註)에 밝혀 놓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