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세계의 신화와 전설 > 세계의 신화와 전설 일반
· ISBN : 9788994015040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10-01-21
책 소개
목차
서문
1. 개구리 왕 또는 충직한 하인리히 -KHM 1
2. 함께 살던 고양이와 쥐 - KHM 2
3. 마리아의 아이 - KHM 3
4. 두려움을 배우러 나선 사나이 이야기 - KHM 4
5.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 - KHM 5
6. 충신 요하네스 - KHM 6
7. 수지맞는 거래 - KHM 7
8. 오누이 - KHM 11
9. 라푼첼 - KHM 12
10. 숲속의 세 난쟁이 - KHM 13
11. 세 명의 실 잣는 여인들 - KHM 14
12. 헨젤과 그레텔 - KMM 15
13. 뱀이 물어온 세 잎사귀 - KHM 16
14. 하얀 뱀 - KHM 17
15. 어부와 그의 아낙 - KHM 19
16. 용감한 꼬마 재봉사 - KHM 20
17. 재투성이 - KHM 21
18. 수수께끼 - KHM 22
19. 생쥐와 작은 새와 소시지에 관한 이야기 - KHM 23
20. 홀레 할머니 - KHM 24
21. 빨간 모자 - KHM 26
22. 브레멘 음악대 - KHM 27
23. 노래하는 뼈다귀 - KHM 28
24. 세 가닥 황금 머리카락 도깨비 - KHM 29
25. 손 없는 소녀 - KHM 31
26. 똑똑한 한스 - KHM 32
27. 세 가지 언어 - KHM 33
28. 요술 식탁, 황금 당나귀, 자루 속 몽둥이 - KHM 36
29. 엄지둥이 - KHM 37
30. 여우 부인의 결혼 - KHM 38
31. 꼬마 요정 - KHM 39
32. 대부 - KHM 42
33. 트루데 부인 - KHM 43
34. 대부가 된 죽음의 신 - KHM 44
35. 피처의 새 - KHM 46
36. 노간주나무 - KHM 47
37. 여섯 마리 백조 - KHM 49
38. 장미 아가씨 - KHM 50
39. 주운 새 - KHM 51
40. 지빠귀수염 왕자 - KHM 52
41. 백설공주 - KHM 53
42. 배낭과 모자와 뿔피리 - KHM 54
43. 룸펠슈틸츠헨 - KHM 55
44. 황금새 - KHM 57
45. 두 형제 - KHM 60
46. 세 개의 깃털 - KHM 63
47. 황금 거위 - KHM 64
48. 가지각색 털가죽 - KHM 65
49. 열두 명의 사냥꾼 - KHM 67
50. 암탉의 죽음 -KHM 80
51. 행복한 한스 - KHM 83
52. 가난한 이와 부자 - KHM 87
53. 노래하며 날아오르는 종달새 - KHM 88
54. 거위치기 소녀 - KHM 89
55. 땅속의 난쟁이 - KHM 91
56. 슬기로운 농부의 딸 - KHM 94
57. 세 마리의 작은 새 - KHM 96
58. 생명수 - KHM 97
59. 악마의 숯검둥이 동생 - KHM 100
60. 곰가죽 사나이 - KHM 101
61. 굴뚝새와 곰 - KHM 102
62. 두꺼비 이야기 - KHM 105
63. 고슴도치 한스 - KHM 108
64. 수의 - KHM 109
65. 무쇠 난로 - KHM 127
66. 한눈이, 두눈이, 세눈이 - KHM 130
67. 닳아버린 신발 - KHM 133
68. 철의 한스 - KHM 136
69. 당나귀 - KHM 144
70. 젊게 구워진 남자 - KHM 147
71. 하느님의 동물과 악마의 동물 - KHM 148
72. 목숨의 길이 - KHM 176
73. 저승사자 - KHM 177
74. 물의 요정 닉시 - KHM 18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대에 와서도 여전히 그림 형제의 민담이 잔인하고, 반사회적이라는 시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특히 일부 아동학자들이나 페미니스트들은 그림 형제가 19세기 시민사회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따라 민담의 여주인공들에게 수동적이며 순종적인 여인상을 부가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지적들을 구비문학 전체 영역 속에 놓고 보면 그림 형제의 민담뿐 아니라 설화 전체의 특성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잔인해 보이거나 외설적으로 보이는 민담의 특징적인 모티프들은 설화의 본래적 특성으로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이유로 모두 삭제할 수는 없다. 또한 인물들의 양극화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도 행운을 얻는 것처럼 보이는 양태들도 그림 형제나 여타 구연자들의 개작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민담의 특정 양식들에 해당하는 것이다.
〈엄지둥이〉는 민담의 특징적이면서도 가장 인상적인 모티프중 하나이다. 설화문학중에서민담이 아동문학 영역에서 가장 폭넓은 비중을 차지하게된 배경에는 민담의 주인공이 대다수 어린이이며, 힘없고 어수룩한 막내라는 점이 주요하게 작용한다. 아동심리학자들은 민담의 이런 어리고 힘없는 주인공들의 모험담은 어린이 독자들로 하여금 현재의 자신은 힘없고 나약하지만 자신도 이야기의 주인공처럼 힘든 시련과 모험을 이겨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희망과 용기를 부여해 준다고 말한다.
유럽 민담에서 여성에 대한 형벌로 자연스럽게 화형이 언급되는 것은 그만큼 뿌리 깊었던 유럽 사회의 여성에 대한 편견과 박해의 한 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불은 인간이 발견한 문명중 가장 빛나는 업적으로 너무 존귀한 나머지 종교로 승화되기까지 했다. 그러나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기 위한 정화의 불로서 원시의 입문자들에게 행해졌던 불의 시험은 죄의 소멸을 위한 지옥의 불로 변질되어 ‘마녀’라 낙인 찍힌 여상들을 벌하는 방식으로 합리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