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94054582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4-08-20
책 소개
목차
머리글
1. 중국의 글 모르는 백성들의 풍부한 지식
2. 베이징(北京)의 빈민가 톈차오(天橋) 지구와 중국의 전통연예
톈차오란 어떤 고장인가? | 톈차오 팔대괴인(八代怪人)과 여러 방면의 연예인들 | 톈차오의 희원(戱園)과 연예인 모임 | 톈차오 부근의 신묘(神廟)와 묘회(廟會) | 톈차오 지구의 특징
3. 중국의 거지들과 장타령
당나라 원결(元結)의 「거지론」 | 중국 역사상 유명한 거지들 | 도사와 스님의 탁발(托鉢) | 거지들의 장타령 ‘연화락’과 ‘도정’ | 맺는 말
4. 중국의 서민들과 묘회(廟會)-일본의 ‘마쓰리(祭り)’를 함께 둘러보면서
‘묘회’란 어떤 것이며 또 왜 ‘마쓰리’를 함께 논하는가? | 중국 ‘묘회’의 발전과 현황 | 일본의 ‘마쓰리’ | 전통 축제의 사회적·문화적 의의 | 우리가 반성해야 할 일들
5. 중국 연극사에서의 탈놀이
머리말 | 중국의 탈과 탈놀이의 발생 | 대희(大戱)의 발전 | 중국 현대의 나희(儺戱) | 중국 학자들의 ‘나’와 ‘나희’에 대한 이해
6. 중국의 서민연예 설창(說唱)
들어가는 말 | 중국 고대의 설창 | 대희(大戱)와 설창 | 현대 중국의 민간연예의 성격 | 중국 고대 설창의 성격 | 맺는 말
7. 중국 현대의 전통연예 및 대중예술
마오쩌둥(毛澤東)과 중국의 전통연예 | 붉은 군대와 문예공작 | 소수민족과 경극 | 문예대중화
8. 위대한 중국의 대중예술 경극(京劇)
9. 맺는 말-글 모르는 가난한 중국 백성들의 힘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국의 가난하고 신분이 미천한 백성들은 글은 모르지만 자기네 전통연극이나 우리의 판소리와 비슷한 고서(鼓書)와 탄사(彈詞) 같은 여러 가지 설창(說唱)을 늘 즐기고 있다. 심지어 하인이나 하녀들까지도 마을에서 연출되는 여러 가지 지방연예를 상당히 자유롭게 구경할 수가 있다. 때문에 그러한 연예의 구경을 통하여 여러 사람들이 한데 모여 즐기는 한편 자기네 역사나 전설 및 사회 지식 같은 것을 무척 많이 들어서 알고 있다. 책을 많이 읽은 조익 같은 학자도 자기네 역사적인 일이나 세상 얘기에 대해서는 그 지식이 글 모르는 자기 밑의 하인들만도 못하다는 것이다. 하인들은 글은 모르지만 연극이나 설창 같은 민간연예의 공연을 통하여 역사와 사회에 대하여 학자들보다도 많은 지식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청나라 말엽부터 중화민국에 이르기까지 그들 스스로 백년국치(百年國恥)라고 말하는 온 세계 제국주의자들에게 나라가 내맡겨지다시피 되었던 시대에도, 그처럼 큰 나라가 깨어지지도 않고 유지 발전될 수가 있었던 것은 바로 그 방대한 신분이 미천한 백성들의 힘이었다. 중국은 절대다수의 글도 모르는 가난한 백성들의 삶이 건전하였기 때문에 나라의 높은 지위에 있는 지배자들은 형편없는 지경이었는데도 큰 나라가 끄떡없이 지탱될 수가 있었다. 중국이 큰 나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은 아래 가난한 백성들의 힘 덕분이다.
많은 예인들이 길거리에서 공연을 하기도 하였지만, 청나라 말엽부터 통나무와 거적을 얽어 만든 매우 초라한 차도 팔고 연극과 연예도 공연하는 차붕(茶棚) 또는 차관(茶館)이라 불리는 극장이 들어섰다. 그러나 중화민국 시대로 들어와 1912년에 경극의 명배우 위즌팅(兪振庭)이 재목을 엮어 세운 것이기는 하나 규모가 큰 진화대희붕(振華大戱棚)을 세우고 극단인 희반(戱班)도 조직하여 공연에 들어가자 대성황을 이루었다. 이 뒤로 규모가 큰 극장이 연달아 생겨나기 시작하여 이 고장의 연극 연예 공연이 매우 활발해졌다. 그리고 그들은 자기 지역에서만 활동한 것이 아니라 가까운 지역의 수많은 신묘에서 묘회가 벌어질 때면 그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자기의 뛰어난 연기를 발휘하여 다른 지역 사람들과도 즐겼다. 이것은 그들의 연예가 전국에 영향을 끼치는 데에 크게 공헌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