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8899421226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0-09-28
책 소개
목차
1. 기욤 아폴리네르: 암살당한 연인
Guillaume Apollinaire: the Lover Assassinated
Bogousslavsky, J. (Lausanne)
2. 기 드 모파상과 프리드리히 니체: 19세기 진행마비 2례의 비교
Guy de Maupassant and Friedrich Nietzsche: A Comparison of Two Cases of 19th-Century General Paresis
Hayden, D. (San Anselmo, Calif.)
3. 통증의 일인 연주: 알퐁스 도데 그리고 척수매독으로 인한 통증 경험
The One-Man Band of Pain: Alphonse Daudet and His Painful Experience of Tabes dorsalis
Dieguez, S.; Bogousslavsky, J. (Lausanne)
4. 구스타브 플로베르의 감추어진 질환
Gustave Flaubert’s Hidden Sickness
Jallon, P. (Geneva); Jallon, H. (Paris)
5. 에드거 앨런 포: 약물남용인가? 간질인가?
Edgar Allan Poe: Substance Abuse versus Epilepsy
Bazil, C.W. (New York, N.Y.)
6. 도스토옙스키와 간질: 틀을 통해 보려는 시도
Dostoevsky and Epilepsy: An Attempt to Look Through the Frame
Rossetti, A.O. (Boston, Mass.); Bogousslavsky, J. (Lausanne)
7. 임마누엘 칸트: 성격 ‘장애’에서 치매까지
Immanuel Kant: Evolution from a Personality ‘Disorder’ to a Dementia
Guard, O.; Boller, F. (Paris)
8. 발레리 라르보
Valery Larbaud
Boller, F. (Paris)
9. 알라쥬아닌의 화가: 폴-엘리 제르네
Alajouanine’s Painter: Paul-Elie Gernez
Boller, F. (Paris).
10. 카롤루스 혼: 언제 뇌의 영상들이 쇠퇴하였는가?
알츠하이머병에서 시각 및 인지기능의 역행적 발생 증거
Carolus Horn: When the Images in the Brain Decay. Evidence of Backward-Development of Visual and Cognitive Functions in Alzheimer’s Disease
Maurer, K.; Prvulovic, D. (Frankfurt)
11.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주요우울증 및 뇌졸중
Major Depression and Stroke in Caspar David Friedrich
Dahlenburg, B.; Spitzer, C. (Greifwald)
12. 반 고흐의 밤에 대한 이해: 양극성장애
Understanding Van Gogh’s Night: Bipolar Disorder
Carota, A.(Lausanne); Iaria, G. (Rome); Berney, A.; Bogousslavsky, J. (Lausanne)
13. 모리스 라벨의 마지막 질환과 최후의 작곡
The Terminal Illness and Last Compositions of Maurice Ravel
Baeck, E. (Antwerp)
14.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쇠퇴와 죽음
The Decay and Death of Modest Musorgsky
Baeck, E. (Antwerp)
15.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의 뇌졸중
Georg Friedrich H?ndel’s Strokes
B?zner, H.; Hennerici, M. (Mannheim)
16. 조셉 하이든의 겉질 밑 혈관성 뇌병증: 증후군의 병적학적 도해
The Subcortical Vascular Encephalopathy of Joseph Haydn: Pathographic Illustration of the Syndrome
Bazner, H.; Hennerici, M. (Mannheim)
17. 음악과 뇌: 거슈윈과 셰발린
Music and the Brain: Gershwin and Shebalin
Ruiz, E.; Montanes, P. (Bogot?)
18. 로버트 슈만의 초점성 근육긴장 이상증
Robert Schumann’s Focal Dystonia
Altenm?ller, E. (Hannover)
책속에서
처음에는 ‘두개 내 농양intracranial abscess’이 유력한 듯했다. 그러나 임상양상들, 명료기free interval, 감염이 없었다는 점, 그리고 뇌천공 이후의 반쪽 불완전마비가 쉽게 해소되었고 경련발작을 일으켰다는 점 등은 오른쪽 관자엽의 만성 경막 밑 혈종chronic subdural hematoma을 강력히 의미한다. 또한 신경질, 의심증, 감정적 과민, 정서적 둔마, 불안, 그리고 성격 변화 등은 가쪽―바닥 영역을 침범하는 오른쪽 관자엽 기능 장애로 진단하는 데 완벽하게 부합한다. 한편 정중―관자엽, 마루엽 및 이마엽 부위에 손상이 없었기 때문에 시인이자 작가로서의 창조적 능력에 손상이 없는 것은 물론, 현저한 기억력과 인지 및 실행 능력에도 장애가 없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J. Bogousslavsky 「기욤 아폴리네르: 암살당한 연인」 中
도데가 이미 잘 알고 있었던 것처럼 척수매독은 다발성 등쪽 신경뿌리 영역multiple dorsal roots territories이 분포하는 다리 쪽에 일어나는 통증성 발작이 특징적이다. 또한 내장장애visceral disorders로 복통과 같은 증상이 일어난다. 다음으로는 심부감각 소실, 통증성 감각 이상증, 무반사증, 실금 및 운동실조증도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척수매독은 다양한 병리를 보인다. 즉 척수 등쪽 기둥의 위축, 대사성 이상들로 인한 수막 및 커다란 구조물에서의 국소 염증, 이로 인해 신경계의 선택적 영역에서 신경 세포의 감소가 일어나게 된다[Conde-Send?n et al., 2002]. 도데의 생애에서 통증은 1879년도에 확실하게 출현하였다. 당시 그는 39세였으며, 통증은 18년 후 그가 사망할 때까지 잔인할 정도로 끊임없이 지독하게 계속되었다.
S. Dieguez / J. Bogousslavsky 「통증의 일인 연주: 알퐁스 도데」 中
누가 공개적으로 칸트의 상태에 대해 말하였겠는가? 우리는 알지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 관한 역설paradox은 치매라고 폭로하는 것에 관한 현시대의 생각은 칸트의 ‘의무에 기초한 도덕설duty-based moral theory’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이는 임상의사의 측면에서 절대적 진실을 요구한다[Monaghan and Begley, 2004]. 우리는 오직 칸트의 말년에 그 주변에 있었던 사람들이 이 법칙에 따랐더라면 하는 희망이다.
O. Guard / F. Boller 「임마누엘 칸트: 성격 ‘장애’에서 치매까지」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