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동물 일반
· ISBN : 9788994242828
· 쪽수 : 140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4
남극 해양생물 먹이망 08
남극 물고기의 종류와 분류 09
수심에 따른 남극 물고기의 분포 10
남극 물고기가 영하의 남극해에서 살아남는 비결 11
제1부 남극 물고기, 그 쿨한 생명의 이야기
크릴도 있고, 펭귄도 있는데 물고기는 없다고?! 14
남극 바다에 적응한 남극 물고기의 특징 18
어떤 물고기가 남극해에서 살아갈까? 22
그 많던 물고기는 다 어디로 갔나? 34
남극 물고기는 왜 수족관에서는 볼 수 없을까? 38
제2부 남극 물고기, 그들만의 리그
꼼짝 마! 갇혀 있는 남극 물고기?! 46
어떻게 살아남았지? 50
차갑지만 달달한 남극 물고기의 선물 56
차갑고 날카로운 얼음장 속 놀이터 59
제3부 남극 물고기, 그 특별함에 대하여
에일리언? 하얀 피를 가진 유일한 척추동물 64
뼈대 없는 가문? 쓸데있는 여유로운 자태 69
몸속 스마트 시계 73
미래 자원? 무한 도전! 78
제4부 남극 물고기, 만남과 동행의 이야기
남극에서 빨간 대야의 용도는? 84
앗 괴물이 잡혔다!? 90
목화씨를 들여온 문익점 vs 남극 물고기를 들여온 김박사 95
공룡을 보고 슈퍼 도마뱀을 그리다 101
제5부 남극 물고기, 그 베일을 벗다
한국에서 연구하는 남극 물고기 110
남극 물고기만을 위한 쿠킹클래스 114
역시 몬스터?! 통째로 삼키다 121
남극의 갯바위가 그리운 남극 물고기 125
남극 물고기, 한반도에 뿌리내리기 129
참고문헌 134
찾아보기 138
저자소개
책속에서
남극 물고기 대부분은 육식성이고, 해저나 바위틈에서 서식한다. 그러나 몇몇 종은 부레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유영을 하며 생활한다. 그러기 위해서 골격에 존재하는 미네랄의 양을 줄이고 체내 지질을 증가시키며 진화했다. 이 덕분에 남극 물고기는 중립 부력을 유지할 수 있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며 헤엄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적응은 가장 다양한 종 분화를 보이는 남극암치과(Notheniids)에서 가장 자주 관찰된다.
남극빙어과 물고기는 다 자란 물고기의 혈액에 헤모글로빈이 거의 없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척추동물로 알려져 있다. (중략)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이 적은 대신 차가운 남극해의 풍부한 산소를 다른 기관에 비하여 매우 크게 발달한 심장을 통해 몸 구석구석으로 산소를 보내주고 피부호흡으로 보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3년부터 1990년대까지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는 여러 지역의 어업을 폐쇄했지만, 이미 회복이 불가할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었기에 건강한 생태계로 복귀되기에는 너무 늦었다. 전면적인 조업 금지가 결정될 무렵, 남극빙어류를 포함한 일부 물고기 개체수는 이때 이미 상업적 어획이 시작되기 전 자원량의 5~10% 미만으로 감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