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4359212
· 쪽수 : 239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목차
1. 펴내며
2. 들어가는 말
3. 제1장 영지주의를 왜 알아야 하는가?
4. 신약성경에 나타난 영지주의의 씨앗
5. 교부들과 영지주의 그리스도인들의 논점
6. 논쟁의 이점
7. 영지주의 작품을 읽어야 하는 이유
8. 토착화의 관점에서·24 / 정통과 이단이라는 관점에서·25 / 영지주의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관점에서·28
9. 제2장 영지주의의 정의와 기원
10. 정의
11. 영지주의의 기원
12.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의 관계
13. 제3장 영지주의의 역사: 시작부터 오늘날까지
14. 초창기 영지주의 교사들: 사마리아에서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까지
15. 시몬 마구스·42 / 메난드로스와 사투르니누스·45 / 카르포크라테스·47 / 에데사의 바르 다이산: 영지주의 공직자·50
16. 영지주의의 절정기
17. 발렌티누스·53 / 바실리데스·57 / 마르키온: 최초의 성서 비평가·60
18. 교부들의 영지주의 비판
19. 최초의 반대자들·65 / 최고의 이단 논박가 리옹의 이레네우스·69 / 테르툴리아누스와 히폴리투스·73 / 알렉산드리아의 교부들·76
20. 영지주의 그리스도교의 쇠락
21. 12세기 영지주의의 재부흥
22. 영지주의와 종교개혁, 그리고 계몽주의
23. 낭만주의와 영지주의
24. 블라바츠키와 신지학 협회
25. 융과 그의 영지주의 심리학
26. 오늘날의 영지주의 현황
27. 제4장 영지주의의 문학적 전거
28. 외경 행전들
29. 18세기에 발견된 영지주의 사본들
30. 나그 함마디 사본
31. 제5장 종교로서의 영지주의
32. 영지주의는 종교인가?
33. 영지주의의 체험적 측면
34. 그노시스: 신비주의적 체험
35. 그노시스 체험의 개념화 및 문서화
36. 영지주의와 성사
37. 성사란 무엇인가?: 정통 교회의 가르침·123 / 영지주의자들과 성사·125
38. 제6장 영지주의와 신화
39. 영지주의 신화 개관
40. 영지주의 신화의 줄거리·133 / 영지주의 신화의 탄생 배경: 구약성경의 재해석·135
41. 대표적 영지주의 창조 신화
42. 셋파 신화·140 / 발렌티누스파 신화·142
43. 영지주의 신화에 대한 고찰
44. 구약의 하느님은 어리석은 창조주인가?·147 / 성선설? 혹은 성악설?·149
45. 제7장 영지주의 모티프
46. 세계관
47. 개요: 물질 세계과 영적 세계·152 / 특징·154
48. 하느님
49. 최상신과 창조주·158 / 창조주와 최상신을 구분한 까닭은?·161
50. 인간
51. 인간의 실존: 유배와 고립 그리고 결핍·166 / 아담과 하와·168 / 뱀과 인간·169 / 노레아와 셋·170
52. 구원
53. 구원자의 필요성·175 / 구원의 개인적 차원·175
54. 소피아
55. 소피아와 데미우르고스·177 / 소피아 개념의 기원·178 / 소피아 관련 작품들·182
56. 그리스도
57. 예수: 영지주의 스승·184 / 그리스도: 어둠을 밝히는 빛, 잠을 깨우는 소리·186 / 속량이냐 해방이냐?·188 / 육신의 부활이냐 영적 부활이냐?·191
58. 죄와 악
59. 악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설명·196 / 영지주의자들에게 악이란?·198
60. 제8장 영지주의에 대한 성찰
61. 영지주의와 동양의 종교들
62. 힌두교·207 / 불교·208
63. 영지주의자들과 근대 및 근대 후기 사상가들은 무엇이 다른가?
64. 영지주의는 신과 구원자를 추구한다·210 / 영지주의는 하나의 전통이다·211 / 영지주의자는 극도의 금욕주의에 가까웠다·212
65. 영지주의자들은 환상과 미신에 빠진 사람들인가?
66. 영지주의자들은 허무주의자들인가?
67. 나가는 말
68. 부록 1: 용어 사전
69. 부록 2: 참고 문헌
70. 부록 3: 찾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