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적 예수와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적 예수와 초기 그리스도교

존 J. 콜린스, 존 P. 마이어, 캐롤린 오시크 (지은이), 송혜경 (옮긴이)
성서와함께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원 -10% 0원
210원
18,6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적 예수와 초기 그리스도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적 예수와 초기 그리스도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471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5-03-05

책 소개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제3권인 《역사적 예수와 초기 그리스도교》는 존 J. 콜린스의 〈예수 시대 유다교〉, 존 P. 마이어의 〈역사적 예수〉, 캐롤린 오시크의 〈초기 그리스도교의 상황〉이라는 세 편의 글로 구성된다.

목차

서문 _4
여는 말 _8
추천의 말 _22
한국어판 여는 말 _24
일러두기 | 약어 _27

〈예수 시대 유다교〉
1. 유다의 역사 _38
1.1. 마카베오 항쟁 _40
1.2. 하스몬 왕조 _46
1.3. 헤로데 _50
1.4. 헤로데의 죽음 이후 _55
1.5. 기원후 1세기 _57
1.6. 로마에 맞선 전쟁 _60
1.7. 바르 코크바 _63
1.8. 라삐 유다교의 부상 _64
2. 제도와 관습들 _65
2.1. 토라 _65
2.2. 성전 _69
2.3. 사제와 희생 제사 _72
2.4. 회당 _75
2.5. 분파들 _77
3. 문학과 발전 경향 _86
3.1. 요세푸스 _87
3.2. 제2경전 _88
3.3. 위경 _89
3.4. 종교적 개념과 그 발전 _93
4. 디아스포라 유다교 _99
4.1.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_100
4.2. 로마 시대 _104
4.3. 로마 시대의 갈등과 분쟁 _107
주 _113
참고 문헌 _117

〈역사적 예수〉
1. 입문: 정의, 사료, 방법론 _121
1.1. 정의 _121
1.2. 사료 _123
1.3. 방법론 _127
2. 연대, 탄생, 공생활 이전 _129
2.1. 연대 _129
2.2. 탄생 _130
2.3. 공생활 이전: 가족, 교육, 사회·경제적 지위 _131
3. 공생활의 시작 _134
3.1. 세례자 요한 _134
3.2. 요한에게 받은 예수의 세례 _135
3.3. 제자들을 부름, 제자의 표식 _137
4. 핵심 메시지 _140
4.1. 하느님 나라 _140
4.2. 현재로서 하느님 나라 _141
4.3. 미래로서 하느님 나라 _142
5. 기적 _143
5.1. 방법론적 문제 _143
5.2. 기적의 역사성과 그 범주들 _143
5.3. 예수의 공생활이라는 더 큰 맥락에서 바라본 기적의 의미 _145
6. 토라의 가르침 _146
7. 역할, 호칭, 칭호 _149
7.1. 예언자 _150
7.2. 기적을 행하는 엘리야 같은 마지막 시대의 예언자 _154
7.3. 구마자 _155
7.4. 지혜와 토라의 스승 _157
7.5. 메시아 _159
7.6. 사람의 아들 _163
7.6.1. 배경 _163
7.6.2. 예수의 용법 _165
7.7. 아들 _166
8. 예루살렘에서 보낸 마지막 날들, 수난과 죽음 _168
8.1. 연대기 _168
8.2. 예수를 죽이려는 계획 _169
8.3. 예수의 예루살렘 도착 _170
8.4. 성전 ‘정화’ _171
8.5. 마지막 만찬 _172
8.6. 체포 _173
8.7. 재판 _174
8.8. 십자가형과 죽음 _176
8.8.1. 십자가형에 대한 역사적 사실 _176
8.8.2. 신학적 해석 _177
8.9. 장례 _179
9. 결론 _181
주 _182
참고 문헌 _183

〈초기 그리스도교의 상황〉
입문 _187
개요 _187
1. 지중해 세계 그리고 그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위치 _188
1.1. 시민권 _191
1.2. 노예제 _194
1.3. 사회 신분과 조직 _204
1.3.1. 그리스도인들의 신분 _206
1.4. 가옥, 동네, 일상생활 _208
1.4.1. 공중목욕탕 _209
1.4.2. 가옥 _211
1.4.3. 종교 관습과 축제들 _215
1.4.4. 그리스도인의 사회 참여 _217
1.4.5. 신자와 비신자의 혼인 _219
1.4.6. 사회 행사 _221
1.5.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족 _222
1.6. 생애 주기 _233
1.7. 교육과 문해력 _239
1.8. 음식과 식사 _243
2. 유다교와의 관계 그리고 ‘두 길의 분리’ _245
3. 그리스도인들은 왜 박해를 받았는가? _250
결론 _252
주 _254
참고 문헌 _256

옮긴이의 말 _257

저자소개

존 P. 마이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 사제이자 저명한 성서학자로 2022년 선종했다. 약 80편의 논문과 18권의 책을 출판했으며, 특히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시리즈는 큰 찬사를 받았다.
펼치기
캐롤린 오시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 가톨릭 신학 연합에서 26년간 신약학을 가르쳤으며, 이후 텍사스 그리스도교 대학교 브라이트 신학대학원의 명예교수로 재직했다. Ordained Women in the Early Church: A Documentary History (2011, 공저), Anselm Academic Study Bible: New American Bible (2013), 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 A Heart on Fire across Frontiers (2017) 외 여러 책을 썼다.
펼치기
존 J. 콜린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일 신학대학의 구약성경 비평 및 해석학 교수이며, Yale Anchor Bible 시리즈의 총괄 편집장이다. 구약성경 묵시론과 헬레니즘 시대의 유다교, 사해 문서 연구로 유명하다. Between Athens and Jerusalem: Jewish Identity in the Hellenistic Diaspora(1983), The Bible after Babel: Historical Criticism in a Postmodern Age(2005) 외 여러 책을 썼다.
펼치기
송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마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성서학 석사학위와 근동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어서 시나이의 아나스타시우스의 작품 《시편 6편에 관한 강론》의 콥트어 비평본을 만들고 번역·주석하여 근동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님성서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일하면서, 구약 외경과 신약 외경 및 영지주의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신약 외경 상권: 복음서》(제14회 가톨릭학술상 연구상 수상), 《신약 외경 하권: 행전·서간·묵시록》, 《영지주의―그 민낯과의 만남》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필론 입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유다인(Judean/Jew)”이라는 명칭은 궁극적으로 ‘유다 지파’에서 유래했다. 유다 지파는 창세기에서 야곱의 아들로 나오는 유다 성조의 이름을 따라 붙여진 것이다. 기원전 첫 천년기 전반부에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세워져, 다윗의 후손이 다스린 유다 왕국이 있었지만, ‘유다인(Judean)’이라는 용어(아람어로 여후디yehudi, 그리스어로 유다이오스ioudaios)는 바빌론 유배 이후에야 통용되기 시작했다.


시대의 전환기를 전후한 세기 동안에 이루어진 괄목할 발전은 ‘죽은 이들의 심판’에 대한 믿음의 확산이다. 전통적 유다교 신앙에 따르면, 사람이 죽으면 그의 그림자가 저승인 셔올(Sheol, 그리스어로 하데스)로 내려가 그곳에서 유령과 같은 내세를 지낸다고 여겼다. 그러나 기원전 2세기 벤 시라가 말하듯, 하데스에서는 따져 묻는 일이 없다(집회 41,4).


‘역사적 예수(historical Jesus)’란 ‘고대 사료에 현대의 역사적 방법을 적용하여 알 수 있거나 복원할 수 있는 예수’로 정의된다. 따라서 역사적 예수는 현대의 ‘가설적 구성물’로서, 계몽주의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때로는 모순적인 다양한 시도를 수행한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종합된 ‘이론적 모델’이다. 역사적 예수는 ‘실제’ 예수와 동일하지 않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