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471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5-03-05
책 소개
목차
서문 _4
여는 말 _8
추천의 말 _22
한국어판 여는 말 _24
일러두기 | 약어 _27
〈예수 시대 유다교〉
1. 유다의 역사 _38
1.1. 마카베오 항쟁 _40
1.2. 하스몬 왕조 _46
1.3. 헤로데 _50
1.4. 헤로데의 죽음 이후 _55
1.5. 기원후 1세기 _57
1.6. 로마에 맞선 전쟁 _60
1.7. 바르 코크바 _63
1.8. 라삐 유다교의 부상 _64
2. 제도와 관습들 _65
2.1. 토라 _65
2.2. 성전 _69
2.3. 사제와 희생 제사 _72
2.4. 회당 _75
2.5. 분파들 _77
3. 문학과 발전 경향 _86
3.1. 요세푸스 _87
3.2. 제2경전 _88
3.3. 위경 _89
3.4. 종교적 개념과 그 발전 _93
4. 디아스포라 유다교 _99
4.1.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_100
4.2. 로마 시대 _104
4.3. 로마 시대의 갈등과 분쟁 _107
주 _113
참고 문헌 _117
〈역사적 예수〉
1. 입문: 정의, 사료, 방법론 _121
1.1. 정의 _121
1.2. 사료 _123
1.3. 방법론 _127
2. 연대, 탄생, 공생활 이전 _129
2.1. 연대 _129
2.2. 탄생 _130
2.3. 공생활 이전: 가족, 교육, 사회·경제적 지위 _131
3. 공생활의 시작 _134
3.1. 세례자 요한 _134
3.2. 요한에게 받은 예수의 세례 _135
3.3. 제자들을 부름, 제자의 표식 _137
4. 핵심 메시지 _140
4.1. 하느님 나라 _140
4.2. 현재로서 하느님 나라 _141
4.3. 미래로서 하느님 나라 _142
5. 기적 _143
5.1. 방법론적 문제 _143
5.2. 기적의 역사성과 그 범주들 _143
5.3. 예수의 공생활이라는 더 큰 맥락에서 바라본 기적의 의미 _145
6. 토라의 가르침 _146
7. 역할, 호칭, 칭호 _149
7.1. 예언자 _150
7.2. 기적을 행하는 엘리야 같은 마지막 시대의 예언자 _154
7.3. 구마자 _155
7.4. 지혜와 토라의 스승 _157
7.5. 메시아 _159
7.6. 사람의 아들 _163
7.6.1. 배경 _163
7.6.2. 예수의 용법 _165
7.7. 아들 _166
8. 예루살렘에서 보낸 마지막 날들, 수난과 죽음 _168
8.1. 연대기 _168
8.2. 예수를 죽이려는 계획 _169
8.3. 예수의 예루살렘 도착 _170
8.4. 성전 ‘정화’ _171
8.5. 마지막 만찬 _172
8.6. 체포 _173
8.7. 재판 _174
8.8. 십자가형과 죽음 _176
8.8.1. 십자가형에 대한 역사적 사실 _176
8.8.2. 신학적 해석 _177
8.9. 장례 _179
9. 결론 _181
주 _182
참고 문헌 _183
〈초기 그리스도교의 상황〉
입문 _187
개요 _187
1. 지중해 세계 그리고 그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위치 _188
1.1. 시민권 _191
1.2. 노예제 _194
1.3. 사회 신분과 조직 _204
1.3.1. 그리스도인들의 신분 _206
1.4. 가옥, 동네, 일상생활 _208
1.4.1. 공중목욕탕 _209
1.4.2. 가옥 _211
1.4.3. 종교 관습과 축제들 _215
1.4.4. 그리스도인의 사회 참여 _217
1.4.5. 신자와 비신자의 혼인 _219
1.4.6. 사회 행사 _221
1.5.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족 _222
1.6. 생애 주기 _233
1.7. 교육과 문해력 _239
1.8. 음식과 식사 _243
2. 유다교와의 관계 그리고 ‘두 길의 분리’ _245
3. 그리스도인들은 왜 박해를 받았는가? _250
결론 _252
주 _254
참고 문헌 _256
옮긴이의 말 _257
책속에서
“유다인(Judean/Jew)”이라는 명칭은 궁극적으로 ‘유다 지파’에서 유래했다. 유다 지파는 창세기에서 야곱의 아들로 나오는 유다 성조의 이름을 따라 붙여진 것이다. 기원전 첫 천년기 전반부에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세워져, 다윗의 후손이 다스린 유다 왕국이 있었지만, ‘유다인(Judean)’이라는 용어(아람어로 여후디yehudi, 그리스어로 유다이오스ioudaios)는 바빌론 유배 이후에야 통용되기 시작했다.
시대의 전환기를 전후한 세기 동안에 이루어진 괄목할 발전은 ‘죽은 이들의 심판’에 대한 믿음의 확산이다. 전통적 유다교 신앙에 따르면, 사람이 죽으면 그의 그림자가 저승인 셔올(Sheol, 그리스어로 하데스)로 내려가 그곳에서 유령과 같은 내세를 지낸다고 여겼다. 그러나 기원전 2세기 벤 시라가 말하듯, 하데스에서는 따져 묻는 일이 없다(집회 41,4).
‘역사적 예수(historical Jesus)’란 ‘고대 사료에 현대의 역사적 방법을 적용하여 알 수 있거나 복원할 수 있는 예수’로 정의된다. 따라서 역사적 예수는 현대의 ‘가설적 구성물’로서, 계몽주의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때로는 모순적인 다양한 시도를 수행한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종합된 ‘이론적 모델’이다. 역사적 예수는 ‘실제’ 예수와 동일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