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소아과
· ISBN : 9788994467375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1-09-01
책 소개
목차
제1장 진료의 실제(소아 술기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1. 기관내삽관 요령
● 삽관 순서
2. 정맥 루트 확보와 수액요법의 실제
● 정맥 루트 확보
● 수액요법의 실제
제2장 자주 보는 증상(소아가 이런 증상을 보이면)
1. 소아 발열
● 소아의 발열에 대해 알아보자
● 무엇을 물어봐야 할까?
● 진료 포인트
● 검사 진행방법
● 치료 및 컨설트
● 발열에 대한 대응
2. 소아 발진
● 발진 환자가 내원했을 때: 무엇을 생각해야 할까?
● 흔히 보는 질환
● 문진 요령: 반드시 물어봐야 할 것
● 초기 치료
● 전문의에게 맡길 시기
● 하지 말아야 할 것:흔히 범하는 실수와 대책
● 검사법(곤란할 때의 힌트)
● 소아 외용요법: 피부외용제 선택법ㆍ사용법과 요령
● 피부관리와 생활지도의 실제
● 응급을 요하는 발진
3. 소아 두통
● 두통 환자가 내원했을 때: 어떻게 진단을 해야 할까?
● 감별진단 포인트
● 치료 포인트
4. 소아 경련
● 경련 환자가 내원했을 때
5. 소아 혈뇨ㆍ단백뇨
● 혈뇨
● 단백뇨
6. 소아 기침ㆍ호흡곤란
● 호흡곤란 환자가 내원했을 때
● 이물에 의한 기도폐쇄 시 대응
7. 소아 흉통
● 흉통의 원인: 대부분은 특발성, 심인성
● 흉통 환자가 내원했을 때
● 진단 포인트
● 치료 포인트
8. 소아 심음이상ㆍ심잡음
● 청진할 때
● 심음이상이 들릴 때
● 심잡음이 들릴 때
● 각 질환에 대한 청진소견 포인트
9. 소아 실신ㆍ의식소실(의식장애)
● 의식장애의 분류
● 감별진단 접근법
● 치료 포인트
10. 소아 복통
● 복통 환자가 내원했을 때
11. 소아 구토
● 어라? 상당히 힘들어 보이는데 무슨 일일까?
● 수분 섭취 상태는?
● 왜 구토를 하는 것일까?
● 문진 포인트
● 신체검사: 머리부터 발끝까지 살피자
● 각 시기의 주요 특징 경향
12. 소아 복부 종괴
● 우선 응급성이 있는지 확인하자!
● 문진 포인트
● 신체검사 포인트
● 진단 포인트
● 어떤 질환이 있을까?
● 감별진단
● 그런데도 진단이 안 될 때는?
13. 소아 설사
● 설사의 분류와 그 원인
● 문진 포인트
● 진료 포인트
● 검사 포인트
● 치료 포인트
14. 소아 변비
● 변비란?
● 변비 환자가 내원했을 때
● 변비의 분류
● 신생아 변비
● 변비의 악순환
● 외래에서 흔한 Q&A
● 치료 포인트
● 배변 습관의 재구축
제3장 놓치면 나쁜 결과를 초래하는 질환
1. 급성 심근염
● 급성 심근염이란?
● 증상
● 진단 포인트
● 관리ㆍ치료 포인트
● 증례를 통해 생각해보자
2. QT 연장증후군
● QT 연장증후군이란?
● 진단
● 치료
3. 가와사키병
● 가와사키병이란?
● 진단
● 치료
● 예후
4. 급성 충수염
● 급성 충수염이란?
● 소아 급성 충수염의 특징
● 진단 접근법: 어떻게 진단을 진행할까?
● 충수염의 분류: 카타르성 충수염(appendicitis catarrhalis)이란?
● 치료법 선택: 약으로 가라앉힐까? 수술로 잘라낼까?
● 외과적 치료에 의한 합병증
5. 장중첩증
● 장중첩증이란?
● 장중첩증의 특징
● 장중첩증의 증상
● 장중첩증의 진단
● 장중첩증의 치료
6. 급성 후두개염
● 급성 후두개염이란?
● 급성 후두개염을 의심해야 하는 증상
● 급성 후두개염의 진찰 포인트
● 이비인후과용 연성 내시경(flexible endoscopy)
● 급성 후두개염의 내시경 소견
● 급성 후두개염의 병기분류
● 급성 후두개염의 치료
7. 세균성 수막염
● 세균성 수막염이란?
● 세균성 수막염의 진단
● 세균성 수막염의 초기치료
8. 뇌염ㆍ뇌증
● 뇌염ㆍ뇌증이란?
● 우선「뇌염ㆍ뇌증」을 머리 한쪽에 넣어둔다
● 이제 문진으로
● 진찰과 치료 포인트
● 검사 포인트
● 치료 포인트
● 경련에 대해
● 인플루엔자 뇌증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