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94495668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20-05-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영어음성음운교육론의 이해
1.1 영어음성음운교육론의 개념
1.2 영어음성음운교육론의 이론적 배경
1.3 영어음성음운교육론의 체계
1.4 영어 교수법과 음성 음운 교육
1.4.1 직접식 교수법
1.4.2 국제 음성 협회
1.4.3 청화식 교수법
1.4.4 인지주의 접근법
1.4.5 침묵식 교수법
1.4.6 상담식 교수법
1.4.7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제2장 영어의 자음 모음 발성 지도
2.1 음성학의 정의
2.2 발음 기관과 그 작용
2.2.1 호흡 작용
2.2.2 발성 작용
2.2.3 조음 작용
2.3 자음의 분류와 조음법
2.3.1 분류 기준
2.3.2 자음의 분포
2.3.3 발성 지도
2.4 모음의 분류와 조음법
2.4.1 분류 기준
2.4.2 모음의 분포
2.4.3 발성 지도
2.5 이중 모음과 조음법
제3장 영어의 음성 현상 지도
3.1 연결 현상
3.1.1 자음과 모음 연결
3.1.2 자음과 자음 연결
3.1.3 동일 자음 연결
3.1.4 모음과 모음 연결
3.1.5 모음과 전이음 연결
3.2 동화 현상
3.2.1 동화의 방향
3.2.2 동화 현상 유형
3.2.2.1 구개음화
3.2.2.2 원순음화
3.2.2.3 유무성 일치 동화
3.2.2.4 조음 위치 동화
3.2.2.5 조음 방법 동화
3.2.2.6 비음화
3.2.2.7 설탄음화
3.3 이화 현상
3.4 탈락 현상
3.4.1 자음 탈락
3.4.2 모음 탈락
3.4.2.1 어두음 탈락
3.4.2.2 어중음 탈락
3.4.2.3 어말음 탈락
3.4.2.4 음절 탈락
3.5 첨가 현상
3.5.1 어두음 첨가
3.5.2 어중음 첨가
3.5.3 어말음 첨가
3.6 음위 전환
3.7 융합 현상
제4장 영어와 한국어의 음성 음운 비교 지도
4.1 대조 분석의 기본 가설과 절차
4.2 영한 자음 모음 체계 비교
4.2.1 영한 자음 목록 비교
4.2.2 영한 모음 목록 비교
4.2.3 영한 음성 음운 체계의 주요 특징
4.3 학습상의 문제점
4.3.1 자음의 문제점
4.3.2 모음의 문제점
4.4 학습상의 난이도 등급
4.5 학습상의 문제점 지도 방안
4.6 대조 분석의 문제점
4.7 영한 음절 구조 비교
4.7.1 영어의 음절 구조
4.7.2 한국어의 음절 구조
4.8 학습상의 문제점
4.9 학습상의 문제점 지도 방안
제5장 영어의 강세 지도
5.1 강세의 의미
5.2 강세의 구분
5.3 단어 강세
5.4 구 강세
5.5 문장 강세
5.6 강세의 통사론적, 형태론적, 음운론적 정보
5.6.1 통사론적 정보
5.6.2 형태론적 정보
5.6.3 음운론적 정보
5.7 강세의 예측
5.8 강세의 일반화
5.9 강세의 원리
제6장 영어의 리듬 지도
6.1 리듬의 본질
6.1.1 시간적 관점
6.1.2 비시간적 관점
6.2 영어 발화의 리듬 분석
6.3 영어 통사 구조에서 리듬의 역할
6.4 영어의 리듬 규칙
6.5 영어의 이상적인 리듬 구조
6.6 영어 리듬의 효율적 지도
6.6.1 강세음절과 비강세음절의 인식
6.6.2 내용어와 기능어의 발음
6.6.3 리듬 그룹으로서 포즈(pause) 이해
6.6.4 리듬 지도의 방안
6.6.4.1 강세음절과 비강세음절의 지도
6.6.4.2 문학 작품 활용 리듬 지도
제7장 영어의 억양 지도
7.1 억양의 개념
7.2 억양 구조
7.3 문장의 억양형 지도
7.3.1 상승-하강 억양형
7.3.2 상승 억양형
7.3.3 상승-하강 비종결 억양형
7.4 억양 정보의 이해와 지도
7.4.1 통사 구조와 억양
7.4.2 대조와 비교의 억양
7.4.3 정보 초점과 억양
7.4.4 선택의문문의 억양
7.4.5 감정 표현의 억양
7.5 억양 기능 이해와 지도
7.5.1 강조적 기능
7.5.2 문법적 기능
7.5.3 발화 수반적 기능
7.5.4 태도적 기능
7.5.5 정보적 기능
7.5.6 담화적 기능
7.5.7 지표적 기능
7.6 문장의 억양구 경계와 성조 할당
7.6.1 성조 할당 항목의 변화
7.6.1.1 시간의 부사
7.6.1.2 사건문
7.6.1.3 상호 대명사와 부정 대명사
7.6.1.4 분열문
7.6.2 통사 단위와 억양구
7.6.2.1 관계절 구문
7.6.2.2 동격 구문
7.6.2.3 등위 구문
7.6.2.4 종속절
7.6.2.5 문장 부사
7.6.2.6 보고절
7.6.2.7 구 동사
7.6.2.8 정도 부사
7.6.2.9 호격
7.7 억양 지도에의 활용
제8장 영어 발음 지도의 과거와 현재
8.1 발음 교육의 중요성
8.2 전통적인 교수법에서의 발음 교육
8.3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서의 발음 교육
8.3.1 정확성에 초점을 둔 발음 지도
8.3.2 유창성에 초점을 둔 발음 지도
8.4 효과적인 발음 교육의 방향
제9장 의사소통 활동 중심 발음 지도
9.1 감각놀이 중심 발음 지도
9.1.1 감각놀이를 통한 /b/ 음 지도
9.1.2 감각놀이를 통한 /l/ 음 지도
9.1.3 감각놀이를 통한 /r/ 음 지도
9.2 역할놀이를 통한 발음 지도
9.2.1 가게 점원과 손님 역할
9.2.2 여행 예정자와 항공사 직원 역할
9.2.3 식당 손님과 웨이터 역할
9.2.4 파티 준비자 역할
9.3 게임을 통한 발음 지도
9.3.1 문장 이어가기 게임
9.3.2 Simon Says Game
9.3.3 추측하기 게임
9.3.4 텅 트위스터 게임
9.4 챈트와 노래를 통한 발음지도
9.4.1 챈트를 통한 발음 지도
9.4.2 노래를 통한 발음 지도
9.5 스토리텔링을 통한 발음 지도
제10장 영어의 발음 평가
10.1 발음 평가의 종류
10.1.1 진단 평가
10.1.2 배치 평가
10.1.3 구두 숙달도 평가
10.2 발음 평가 방법
10.2.1 분리 평가와 통합 평가
10.2.2 분석적 채점법과 총괄적 채점법
10.3 발음 평가 기준
10.3.1 좋은 발음의 의미
10.3.2 기본 의사소통을 위한 발음
10.3.3 발음 평가 기준 설정 시 고려 사항
10.4 학자들의 발음 평가 기준
10.4.1 Harris(1969)의 발음 평가 기준
10.4.2 UCLES(1990)의 발음 평가 기준
10.4.3 AEB(1990)의 발음 평가 기준
10.4.4 Brown(1994)의 발음 평가 기준
10.4.5 필자의 발음 평가 기준
제11장 영어 발음 교육과 교사의 인식
11.1 교사 인식의 정의
11.2 언어 교사 인식과 인식 형성 요인
11.2.1 언어 교사 인식의 개념
11.2.2 언어 교사 인식의 중요성
11.2.3 언어 교사 인식의 형성 요인
11.3 언어 교사 인식 연구의 다양한 주제들
11.3.1 언어 교사 인식과 과거 언어 학습 경험
11.3.2 언어 교사 인식과 수업 실천
11.3.3 언어 교사 인식과 교사 교육
11.3.4 언어 교사 인식과 상황 요소
11.4 영어 발음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11.4.1 개관
11.4.2 ESL 교사들의 인식
11.4.3 EFL 교사들의 인식
제12장 영어 발음 향상을 위한 학습 전략
12.1 언어 학습 전략의 정의와 중요성
12.1.1 언어 학습 전략의 정의
12.1.2 언어 학습 전략의 중요성
12.2 언어 학습 전략 분석
12.2.1 Oxford(1990, 2011)의 언어 학습 전략
12.2.2 O’Malley와 Chamot(1990)의 언어 학습
전략
12.3 언어 학습 전략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2.4 영어 발음 학습 전략의 이론과 실제
12.4.1 영어 발음 학습 전략의 개념
12.4.2 영어 발음 학습 전략의 중요성
12.4.3 영어 발음 학습 전략 분류
12.4.3.1 Peterson(2000)의 발음 학습 전략
12.4.3.2 Eckstein(2007)의 발음 학습 전략
12.4.3.3 Pawlak(2010)의 발음 학습 전략
12.4.4 영어 발음 학습 전략 선택의 변인
12.4.5 교실에서 영어 발음 학습 전략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