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88930313308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8-02-20
책 소개
목차
1. 서설
1.1. 국어와 국어사
1.2. 언어의 변천과 생성
1.3. 연구방법
1.4. 시대구분
2. 국어의 계통과 형성
2.1. 국어의 계통
2.2. 고대 한반도의 언어
2.2.1. 夫餘系 제언어
2.2.2. 肅愼系 제언어
2.2.3. 韓系 제언어
2.3. 가야어
2.4. 고구려어
2.5. 백제어
2.6. 신라어
3. 古代國語
3.1. 개관
3.2. 자료
3.3. 借字表記의 발달과 국어의식의 전개
3.3.1. 한자의 정착
3.3.2. 고유명사의 표기와 음절에 대한 인식
3.3.3. 誓記式 표기와 어순에 대한 인식
3.3.4. 吏讀와 국어 문법소의 인식
3.3.5. 口訣과 한문학습의 효율화
3.3.6. 鄕札과 국어의 정밀표기
3.4. 음운
3.4.1. 자음체계
3.4.2. 모음체계
3.5. 문법
3.5.1. 곡용
3.5.2. 활용
3.6. 어휘
3.6.1. 고유 지명인명 어휘
3.6.2. 어휘상의 특징
4. 中古國語
4.1. 개관
4.2. 자료
4.3. 음운
4.3.1. 음운자료
4.3.2. 자음체계
4.3.3. 모음체계
4.4. 문법
4.5. 어휘
4.5.1. 鷄林類事의 어휘
4.5.2. 차용어
4.5.3. 어휘상의 특징
5. 中世國語
5.1. 개관
5.2. 자료
5.3. 훈민정음
5.3.1.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5.3.2.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5.4. 표기체계
5.4.1. 정서법
5.4.2. 한자음 표기
5.5. 음운
5.5.1. 음운자료
5.5.2. 消失字의 실체
5.5.3. 語頭子音群
5.5.4. 자음체계
5.5.5. 모음체계
5.5.6. 성조체계
5.5.7. 음운의 변천
5.6. 문법
5.6.1. 체언과 곡용
5.6.2. 활용
5.6.3. 造語
5.7. 어휘
5.7.1. 한자어의 계보
5.7.2. 고유어의 한자어화
5.7.3. 소멸어휘
5.7.4. 의미변화
5.7.5. 중세국어와 다의어
5.7.6. 어형변화
5.8. 訓蒙字會
6. 近代國語
6.1. 개관
6.2. 자료
6.3. 음운
6.3.1. 음운자료
6.3.2. 자음체계
6.3.3. 모음체계
6.3.4. 음운의 변천
6.4. 문법
6.4.1. 체언과 곡용
6.4.2. 활용
6.4.3. 造語
6.5. 어휘
6.5.1. 한자어의 특징
6.5.2. 어형변화
6.5.3. 의미변화
6.5.4. 민간어원
6.5.5. 유추
7. 現代國語
7.1. 개관
7.2. 국어 음운연구 개황
7.3. 국어 문법연구 개황
7.4. 국어 의미연구 개황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