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88994534046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1-08-11
책 소개
목차
1. 고려제국(高麗帝國)의 계보(系譜) / 12
1) 정사(正史)는 상식의 세계에서는 찾을 수 없다 / 12
2) 고려(高麗)는 추모(鄒牟) 이래 여섯 단계에 걸쳐 계승되었다 / 17
2. 고려개(高麗犬)를 통해 본 열도(列島)의 정치세력 관계 / 24
1) 코마이누는 고려개(高麗犬) / 24
2) 한반도 고려개(高麗犬)를 찾아서 / 26
3) 고려(高麗)의 상징은 개(犬), 당(唐)의 상징은 사자(獅子) / 32
4) 고려개(高麗犬)와 당사자(唐獅子)의 기원은 삽살개 / 41
5) 고려개(高麗犬)와 당사자(唐獅子)의 기원, 그리고 계승 / 45
6) 해태는 새로운 국가를 염원한 고종(高宗)의 작품 / 59
7) 창덕궁(昌德宮)에 왜 당(唐)의 사자(獅子)가 있는가 / 65
8) 경복궁(景福宮)에 용, 개, 그리고 돼지도 분명 존재한다 / 74
9) 열도에 고려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이후에 정착되었다 / 79
10) 고려개(高麗犬) 없는 신사(神社)의 공통점 / 84
11) 전통의 지속성이 고려개(高麗犬)를 살렸다 / 90
3.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고려(高麗)에서 난(亂)을 일으킴 / 100
1) 도자기 마을에서 알려준 나라 이름 고려(高麗) / 100
2)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기록한 나라 이름 고려(高麗) / 109
4. 마지막 조선제국(朝鮮帝國) / 117
1) 마지막 조선제국(朝鮮帝國)은 대청제국(大淸帝國) / 117
2) 조선의 첫 번째 의미: 민족(民族) / 135
3) 신(Chin) 계열의 나라들 / 139
4) 대륙의 청도기(淸道旗), 반도의 청도기(淸道旗) / 145
5) 차이나(China)는 조선(朝鮮)의 왜곡된 표기 / 152
6) 조선의 두 번째 의미: 관경(管境) / 168
7) 조선의 세 번째 의미: 종주(宗主) / 177
5. 양계론(兩系論)으로 파악한 조선민족(朝鮮民族)의 역사 / 194
1) 이조(李朝)는 이씨조선(李氏朝鮮)이 아니라 이씨조정(李氏朝廷) / 194
2) 고려제국(高麗帝國)의 실체 / 209
3) 명(明)도 조선(朝鮮)이다 / 229
4) 명(明)과 청주한씨(淸州韓氏), 청(淸)과 청풍김씨(淸風金氏) / 244
5) 조선민족(朝鮮民族)의 역사는 양계(兩系)의 역사 / 249
6. 고려(高麗)의 마을(町) 에도(江戶), 일본(日本)의 도시(都市) 동경(東京) / 269
1) 에도성(江戶城)의 성문은 모두 고려문(高麗門)이었다 / 269
2) 도시(都市)는 고려문(高麗門) 철거로부터 시작되었다 / 278
3) 근대공간 도시의 의미 / 286
4) 최근 지방행정구역 개편논의의 본질 / 293
5) 근대는 과거와 단절된 시대 / 298
7. 오사카성(大阪城) 축성의 비밀 / 303
1) 도요토미(豊臣)의 오사카성(大阪城), 도쿠가와(德川)의 오사카성(大阪城) / 303
2) 고려제국(高麗帝國)에 속하고 싶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 311
8. 고려마을(高麗町)에서 발흥한 메이지유신(明治維新) / 322
1) 서구 기독교 세력과 임진왜란(壬辰倭亂) / 322
2) 유태금융자본과 메이지유신(明治維新) / 334
3) 고려마을(高麗町)에서 근대일본국이 시작되었다 / 346
4) 정한론(征韓論)을 둘러싼 갈등의 배경 / 352
5) 임진왜란 세력, 메이지유신 세력, 그리고 현 일본 지배세력은 동일한 세력 / 356
9. 동경(東京)이 일본제국(日本帝國)의 임시수도가 된 이유 / 359
10. 막부(幕府) 가문은 모두 고려(高麗)의 후예 / 368
1) 동경(東京)에 고려강(高麗江)이 흐른다 / 368
2) 막부(幕府)의 뿌리는 고려(高麗),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의 뿌리는 백제(百濟) / 375
3) 산성국(山城國)의 역사 전개 / 381
4) 서울이 교토(京都)였다 / 398
11. 열도(列島) 백제계(百濟系)의 몰락과 부활 / 404
1) 시모노세키(下?): 열도(列島) 백제계(百濟系)의 몰락과 부활이 일어난 마을 / 404
2) 시모노세키조약(下?條約): 역사왜곡의 본격화 / 410
3) 신라계(新羅系)의 상징: 당문(唐門), 백제계(百濟系)의 상징: 누문(?門) / 413
12.일본제국(日本帝國)의 서울 천도(遷都) 추진의 배경 / 421
13. 만세일계(萬世一系)에 대한 정확한 이해 / 434
1) 만세일계(萬世一系)는 양계(兩系)의 통일을 의미한다 / 434
2) 일본제국(日本帝國)은 대한?대청제국(大韓?大淸帝國) 황실을 계승하려 하였다 / 443
14. 박무덕(朴茂德) 외무대신이 천황(天皇)을 구한 이유 / 451
1) 근대사는 황제(皇帝)와 유태금융자본간 대결의 역사 / 451
2) 박무덕(朴茂德) 외무대신의 대의(大義) / 463
15. 조선민족(朝鮮民族)의 대통합을 꿈꾸며 / 468
1) 유태금융자본에 의한 조선민족(朝鮮民族)의 수난사 / 468
2) 양계(兩系)의 분열을 넘어 대통합으로 / 485
에필로그: 오역이 빚은 참상 /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