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공학일반
· ISBN : 9788994613307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11-03-04
목차
제 1장 총론
1. 녹색성장을 위한 그린테크놀로지(녹색기술) 개발 전략
2.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 주요내용
2-1. 녹색성장과 녹색기술
1) 미래사회 변화와 녹색성장의 필요성
2) 녹색기술의 중요성
2-2. 녹색기술의 개념 및 영역
1) 녹색기술의 개념
2) 녹색기술의 영역
2-3. 국내외 녹색기술 개발현황
1) 해외동향
(1) 일본
(2) 미국
(3) EU, 중국
2) 국내현황
3) 우리나라의 여건
2-4. 비전 및 목표
2-5. 녹색기술 연구개발 투자방향
1) 녹색기술 R&D투자의 전략적 확대
2) 중점 육성기술 투자방향
(1) 27대 중점 육성기술 선정
(2) 중점육성기술 투자방향
(3) 기술별 투자전략
2-6. 녹색기술 발전 전략
1) 녹색기술의 융합화 촉진
2) 기초 원천 연구 확대
3) 기존산업 그린화 및 신성장 동력화
4) 녹색기술 인프라 구축
(1) 녹색기술 연구개발 인력양성
(2) 연구거점 조성
(3)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4) 국제협력체계 구축
2-7. 기대효과
2-8. 향후 일정 및 추진체계
1) 향후 추진일정
2) 범부처 추진체계 구축
3) 중점육성기술별 소관부처 현황
3. 녹색기술 선정 전략적 프로세스와 경과
3-1. 우리나라 녹색기술 수준
3-2. 녹색기술 선정 전략적 프로세스
1) 녹색기술 R&D 투자 확대
2) 유형별 투자우선순위 설정
3) 중점육성기술 도출
(1) 녹색기술 분야별 중점육성기술 도출과정
(2) 소분류 기술 영역 내 관련 중점육성기술 후보군 도출
3-3. 중점육성기술 후보군 75개 기술 도출결과
4. 27대 중점 육성 녹색기술 동향
4-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개발 기술
4-2. 기후변화 영향 평가 및 적응기술
4-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4-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4-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4-6. 개량형 경수로 설계 및 건설 기술
4-7. 친환경 핵비환산성 고속로 및 순환 핵주기시스템 개발 기술
4-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4-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4-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4-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기술
4-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IGCC)
4-13. 고효율 저공해 차량기술
4-14. 지능형 교통, 물류기술
4-15. 지능형 교통, 물류기술
4-16.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 기술
4-17. 환경부하 및 에너지소비 예측을 고려한 Green Process 기술
4-18. 조명용 LED?그린 IT 기술
4-19.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
4-20. 고효율 2차 전지기술
4-21.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및 처리 기술
4-22. Non-CO2(이산화탄소 제외 온실가스) 처리기술
4-23. 수계수질평가 및 관리기술
4-24. 대체 수자원 확보 기술
4-25. 폐기물 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4-26. 유해성물질노출 모니터링 및 처리기술
4-27. 가상현실기술
5. 융합녹색기술 사례
제 2장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1. 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1-1. 신재생에너지 정의
1-2. 미래 에너지원
1-3. 분야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 태양광
2) 태양열 발전
3) 풍력 발전
4) 수소
5) 바이오
6) 연료전지
7) 폐기물
8) 석탄가스화·액화
9) 지열
10) 수력
11) 해양
2.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2-1. 2009년 보급현황
1) 2009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급비중
2) 전년대비 변동량
3) 1차에너지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
4) 연도별 공급량추이
5) 2008년 지역별 공급현황
6) 2008년 원별 공급비중(발전부문)
7) 전년대비 변동량(발전부문)
8) 총발전량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발전부문)
9) 연도별 발전량추이
10) 2008년 지역별 발전현황
2-2.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 연도별 에너지 생산량
2) 연도별 발전량
3) 연도별 생산량
4) 연도별 보급용량
2-3. 2009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 2009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2) 2009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3) 2009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4) 2009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보급용량
2-4. 원별 세부자료
1) 태양에너지 - 태양열
2) 태양에너지 - 태양광
3)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가스
4) 바이오에너지 - 매립지가스(LFG)
5)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디젤
6) 바이오에너지 - 우드칩
7) 바이오에너지 - 성형탄
8) 바이오에너지 - 임산연료
9) 바이오에너지-목재펠릿
10) 풍력
11) 수력
12) 연료전지
13) 폐기물 - 폐가스 소각열
14) 폐기물 - 산업폐기물 소각열
15) 폐기물 - 폐목재 소각열
16) 폐기물 - 생활폐기물 소각열
17) 폐기물 - 대형도시쓰레기
18) 폐기물 - 시멘트킬른 보조연료
19) 폐기물 - RDF/RPF
20) 폐기물 - 정제연료유
21) 지열
2-5.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1) 국가별 1차에너지 소비량 추이
2) 국가별 발전량 추이
3)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공급 추이
4)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추이
제 3장 태양전지 관련 핵심 기술 개발과 시장 동향
1. 중점 녹색기술로 선정된 실리콘계 태양전지 고효율 저가화기술 개발전략 개요
1-1. 개요
1) 정의
2) 범위
3) 관련 핵심 기술트리
4) 개발 필요성 및 파급효과
1-2. 태양전지 산업 산업환경 분석
1-3. 태양전지 국내외 시장현황 및 전망
1) 세계시장 전망
2) 국내 시장전망
3) 세계시장 점유율
4) 국내외 주요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활동
1-4. 태양전지 산업 경쟁 환경 분석
1) 기술?산업 경쟁력
(1) 기술 수준
(2) 제품 가격 경쟁력
2) 국외 여건
3) 국내 여건
4) 기술개발 투자 현황
5) 기타 여건
6) 국내 이슈 및 쟁점 분석
1-5. 전략 방향 설정
1) 기술개발·산업화 전략 방향 설정
2) 해당기술의 개발 목표 설정
1-6. 태양전지 기술로드맵
1) 해당 기술 관련 전략제품·서비스 분석
2) 전략제품·서비스별 핵심세부기술 개발
(1) 단계별 연구기간
(2) 단계별 기술 수준 목표
(3)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3) 단계별 기술획득 전략
4) 민관의 역할분담
5) 기대효과
(1) 부가가치 창출효과
(2) 고용창출효과
(3) CO2 절감 효과
6) 연구개발 인력 확보 방안
(1) 현 연구개발 인력 현황 분석
7) 단계별 투자 전략
(1) 투자 전략
(2) 투자 규모
1-7. 실용?사업화 전략
1) 전략제품 실용화?사업화 전략 분석틀
2) 제품?서비스별 전략방향 도출
3) 제품?서비스별 실용화?사업화 세부전략
1-8. 정책적 지원방안
2. 중점 녹색기술로 선정된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개발 전략
2-1.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기술 개요
1) 정의
2) 범위
3) 핵심 기술트리
4) 필요성 및 파급효과
2-2. 환경변화 전망 분석
2-3. 시장현황 및 전망 분석
1) 세계시장 전망
2) 국내 시장전망
3) 세계시장 점유율
4) 국내외 주요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활동
2-4. 경쟁여건 분석
1) 기술?산업 경쟁력
2) 국외 여건
3) 국내 여건
4) 기술개발 투자 현황
5) 기타 여건
6) 국내 이슈 및 쟁점 분석
2-5. 전략 방향 설정
1) 기술개발·산업화 전략 방향 설정
2) 해당기술의 개발 목표 설정
2-6. 기술로드맵
1) 해당 기술 관련 전략제품·서비스 분석
2) 전략제품·서비스별 핵심세부기술 개발
(1)CIGS 박막 태양전지
(2) 염료감응 태양전지
(3) 유기태양전지
3) 단계별 기술획득 전략
4) 민관의 역할분담
5) 기대효과
(1) 부가가치 창출효과
(2) 고용창출효과
(3) CO2 절감 효과
6) 연구개발 인력 확보 방안 분석
(1) 현 연구개발 인력 현황 분석
(2) 핵심 세부기술별 분석
(3) 인력 부족문제 해결 방안별 중요도 평가
7) 단계별 투자 전략
(1) 투자 전략
(2) 투자 규모
2-7. 실용?사업화 전략
1) 전략제품 실용화?사업화 전략 분석틀
(1) CIGS 박막 태양전지
(2) 염료감응 태양전지
(3) 유기태양전지
2) 제품?서비스별 전략방향
3) 제품?서비스별 실용화?사업화 세부전략
2-8. 정책적 지원방안
제 4장 태양전지관련 사업 참여업체, 기관 프로필
1. 주요 참여업체 프로필
1) 엘지전자(주)
2) (주)엘지씨엔에스
3) 현대중공업(주)
4) 삼성전자(주)
5) (주)엘지솔라에너지
6) (주)엘지화학
7) 엘에스산전(주)
8) (주)케이씨씨
9) (주)디엠에스
10) 에스티엑스솔라(주)
11) (주)에스에프에이
12) (주)에스에프씨
13) 에스케이씨(주)
14) (주)케이피이
15) (주)에스에너지
16) (주)케이씨텍
17) (주)와이에스썸텍
18) 신성이엔지
19) 한국철강(주)
20) 오씨아이(주)
21) 호남석유화학(주)
22) 한화케미칼(주)
23) (주)코오롱
24) (주)효성
25) 웅진에너지(주)
26) (주)렉서
27) (주)글로실
28) (주)넥솔론
29) 네오세미테크(주)
30) (주)스마트에이스
31) (주)실트론
32) 미리넷솔라(주)
33) 심포니에너지(주)
34) (주)경동솔라
35) 유니슨(주)
36) 해성쏠라(주)
37) 헥스파워시스템(주)
38) (주)윌링스
39) (주)한양시스템
40) 대한전선(주)
41) 주성엔지니어링(주)
42) 에이피시스템(주)
43) (주)동진쎄미켐
44) 대주전자재료(주)
45) (주)잉크테크
46) (주)우일하이테크
47) (주)진흥공업
48) (주)엘스콤
49) (주)한글라스
50) (주)주성
51) (주)아바코
52) 참엔지니어링(주)
53) 쏠라테크(주)
54) (주)맥사이언스
55) 나노캠텍(주)
56) (주)나노팩
57) (주)동진
58) 금비전자(주)
59) 삼성에스디아이(주)
60) (주)이건창호
61) (주) 이오테크닉스
62) (주)두산
63) 에프씨산업(주)
64) (주)씨엠에스
2. 주요 참여기관 프로필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 한국과학기술원
3) 한국화학연구원
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5) 부산대학교산학협력단
6) 고려대학교
제 5장 부록
1. 2011년 신재생에너지 예산현황
2. 녹색기술 국가연구개발 사업 결과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