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행정구제법

행정구제법

홍준형 (지은이)
오래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행정구제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행정구제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88994707662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12-09-10

책 소개

행정구제법이 법치주의와 국민의 권익보호라는 행정법의 이념적 가치를 구체적 현실을 통해 실현시켜 주는 법제도적 메커니즘이며 따라서 행정구제법이 얼마나 신속하고 효과적이냐에 따라 국민과 정부, 행정기관의 관계가 달라진다는 실천적 인식을 토대로 삼고 있다.

목차

제1부 행정구제법총론
제1장 행정상 권리구제
제1절 행정상 권리구제의 개념과 행정구제법 7
제2절 법치국가와 행정구제법의 위상 8
제2장 행정구제제도의 유형과 행정구제법의 체계
제1절 행정구제제도의 유형 10
제2절 행정구제법의 체계 11
제2부 행정상 손해전보
제1장 개 설 15
제2장 행정상 손해배상
제1절 개 설 17
Ⅰ. 국가배상제도의 의의와 헌법적 근거 ----------------------------- 17
iv 차 례
1. 국가배상책임의 의의 -----------------------------------------17
2. 국가배상청구권의 헌법적 근거 ------------------------------18
Ⅱ. 국가배상법 --------------------------------------------------------20
1. 국가배상법의 지위 -------------------------------------------20
2. 국가배상법의 성격과 국가배상청구권의 성질 ---------------22
2.1. 학 설 ---------------------------------------------------22
2.2. 판례의 태도 ----------------------------------------------23
2.3. 결 론 ---------------------------------------------------23
3. 국가배상법상 배상책임의 유형 ------------------------------25
제2절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25
Ⅰ. 국가배상책임의 본질 ---------------------------------------------26
1. 학 설 -------------------------------------------------------26
2. 현행법상 국가배상책임의 본질 ------------------------------29
Ⅱ. 배상책임의 요건 --------------------------------------------------32
1. 공무원의 직무행위 -------------------------------------------32
1.1. 공 무 원 --------------------------------------------------32
1.2. 직무행위 -------------------------------------------------33
1.3. ‘직무를 집행함에 당하여’ --------------------------------34
2. 위 법 성 ------------------------------------------------------36
2.1. 의 미 ---------------------------------------------------36
2.2. 행정규칙 위반과 부당한 재량처분 ------------------------52
2.3. 선결문제로서 위법성판단 --------------------------------54
2.4. 취소소송 판결의 기판력과 국가배상에 있어 위법성 ------54
2.5. 입증책임 -------------------------------------------------58
3. 고의 · 과실 -----------------------------------------------------58
3.1. 고의 · 과실의 개념 ----------------------------------------59
3.2. 과실의 객관화 경향 --------------------------------------66
3.3. 입증책임 -------------------------------------------------72
4. 손해의 발생 --------------------------------------------------72
4.1. 타인에게 손해가 발생했을 것 ----------------------------73
4.2. 인과관계 -------------------------------------------------73
Ⅲ. 배상책임 ----------------------------------------------------------78
1. 배상책임자 ---------------------------------------------------78
1.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78
1.2. 공무원의 선임 · 감독자와 비용부담자가 다른 경우 --------78
차 례 v
2. 손해배상액 ---------------------------------------------------80
2.1. 배상기준 -------------------------------------------------80
2.2. 배상기준의 성격 -----------------------------------------81
2.3. 배상청구권의 양도 · 압류금지 -----------------------------82
2.4. 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82
Ⅳ. 국가배상책임과 선택적 청구권 ----------------------------------84
1. 문 제 -------------------------------------------------------84
2. 학 설 -------------------------------------------------------85
3. 판 례 -------------------------------------------------------87
Ⅴ. 공무원의 구상책임 ------------------------------------------------96
1. 구상책임의 의의 ---------------------------------------------96
2. 구상책임의 범위 ---------------------------------------------96
3. 구상책임의 성질 · 범위 및 기능 -------------------------------98
4. 구상권의 행사 -----------------------------------------------100
Ⅵ. 군인 · 경찰관 등의 국가배상청구금지─ 이중배상(?)의 금지 ---101
1. 군인 · 경찰관 등에 대한 배상청구권배제조항의 연혁 -------101
2.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단서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배제 -103
2.1. 적용요건 ------------------------------------------------103
2.2. 적용효과: 손해배상청구권의 배제 -----------------------111
3.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단서의 적용에 관한 판례의 변천 111
4. 군인 등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배제의 문제점: 입법론 ----114
Ⅶ. 특수문제: 사법 및 입법작용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 -----------117
1. 문제의 소재 -------------------------------------------------117
2. 비교법적 고찰 ------------------------------------------------117
2.1. 사법작용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 ------------------------118
2.2. 입법작용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 ------------------------120
3. 문제의 해결 -------------------------------------------------124
3.1. 쟁점의 소재 ---------------------------------------------124
3.2. 입법작용과 국가배상책임 -------------------------------124
3.3. 사법작용과 국가배상책임 -------------------------------128
제3절 영조물의 설치 · 관리상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제5조 131
Ⅰ. 개 설 -----------------------------------------------------------131
Ⅱ. 배상책임의 성질 -------------------------------------------------132
vi 차 례
Ⅲ. 배상책임의 요건 -------------------------------------------------135
1. 공공의 영조물 -----------------------------------------------135
2. 설치 · 관리의 하자 -------------------------------------------137
2.1. 영조물 설치 · 관리의 의미 --------------------------------137
2.2. 영조물 설치 · 관리의 하자의 해석 ------------------------137
2.2.1. 문 제 -------------------------------------------137
2.2.2. 학 설 -------------------------------------------138
2.2.3. 판 례 -------------------------------------------139
2.2.4. 결 론 -------------------------------------------151
2.3. 영조물 설치 · 관리 하자의 유형 --------------------------153
2.4. 입증책임 ------------------------------------------------156
3. 손해의 발생 -------------------------------------------------157
4. 면책사유 -----------------------------------------------------158
Ⅳ. 배상액 및 배상책임자 -------------------------------------------160
1. 배 상 액 ------------------------------------------------------160
2. 배상책임자 ---------------------------------------------------160
제4절 배상금청구절차 161
Ⅰ. 배상심의회의 결정을 거치는 경우 -------------------------------161
1. 임의적 절차 -------------------------------------------------161
2. 배상심의회 --------------------------------------------------162
3. 결정절차 -----------------------------------------------------163
3.1. 배상금지급신청 -----------------------------------------163
3.2. 배상결정 ------------------------------------------------163
3.3. 재 심 --------------------------------------------------164
Ⅱ. 직접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164
제3장 행정상 손실보상
제1절 행정상 손실보상의 의의 166
제2절 행정상 손실보상의 근거 168
Ⅰ. 개 설 ----------------------------------------------------------168
Ⅱ. 손실보상의 이론적 근거 -----------------------------------------169
차 례 vii
1. 기득권설 -----------------------------------------------------169
2. 은 혜 설 -----------------------------------------------------169
3. 특별희생설 --------------------------------------------------169
4. 평가: 재산권보장 및 공익과 사익의 조화 ------------------170
Ⅲ. 손실보상의 법적 근거: 헌법 제23조 제3항의 법적 효력 -------171
1. 학설개관 -----------------------------------------------------172
1.1. 방침규정설 ----------------------------------------------173
1.2. 직접효력설 ----------------------------------------------173
1.3. 위헌무효설 ----------------------------------------------173
1.4. 간접효력설 또는 유추적용설 ----------------------------173
2. 판 례 ------------------------------------------------------174
3. 비판과 결론 -------------------------------------------------180
3.1. 위헌무효설의 한계 --------------------------------------180
3.2. 직접효력설의 타당성과 난점 ----------------------------189
3.3. 간접효력설 또는 유추적용설의 한계 --------------------194
3.4. 결론: 공용침해와 국민의 권리보호 ----------------------196
제3절 손실보상의 요건 197
Ⅰ. 공용침해의 대상과 내용: 재산권의 수용 · 사용 · 제한 -----------198
1. 공용침해의 대상: 재산권 ------------------------------------198
2. 공용침해의 내용: 재산권의 수용 · 사용 · 제한 ----------------201
Ⅱ. 공용침해의 목적: 공공필요 -------------------------------------201
Ⅲ. 공용침해의 법형식: 의도적인 공권력행사로서 공법적 행위 ----202
Ⅳ. 공용침해의 적법성문제 ------------------------------------------202
Ⅴ. 특별한 손해의 발생 ---------------------------------------------205
1. 개 설 ------------------------------------------------------205
2. 학 설 ------------------------------------------------------206
2.1. 형식적 기준설? 특별희생설(Sonderopfertheorie) ---206
2.2. 실질적 기준설 -------------------------------------------206
2.3. 사회적 구속성설(Sozialbindungstheorie) --------------207
2.4. 결 론 --------------------------------------------------207
3. 구체적 적용 -------------------------------------------------209
3.1. 공용수용 ------------------------------------------------209
3.2. 공공복리에 적합한 것으로서 감수되어야 할 재산권제한 --209
3.3. 지역 · 지구제에 의한 계획제한 ---------------------------210
3.3.1.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210
viii 차 례
3.3.2. 환경정책기본법상 특별대책지구지정 -------------216
Ⅵ. 공용침해의 허용요건(한계) --------------------------------------216
1. 공용침해의 근거(법률유보) --------------------------------217
2. 공공필요와 비례원칙 ----------------------------------------217
3. 보상규정의 존재 --------------------------------------------218
4. 공용침해의 근거법에 의한 법적 절차의 준수 --------------218
5. 정당한 보상 --------------------------------------------------218
제4절 행정상 손실보상의 내용 219
Ⅰ. 손실보상의 기준 -------------------------------------------------219
1. 학 설 ------------------------------------------------------219
1.1 완전보상설-----------------------------------------------219
1.2 상당보상설-----------------------------------------------219
2. 현행법상의 보상기준 ----------------------------------------220
2.1. 헌법규정 ------------------------------------------------220
2.2. 법률규정 ------------------------------------------------220
Ⅱ. 생활보상, 정신적 보상, 사업손실보상 --------------------------221
1. 생활보상 -----------------------------------------------------221
2. 정신적 보상 -------------------------------------------------222
3. 사업손실보상 ------------------------------------------------223
Ⅲ. 보상의 방법 ------------------------------------------------------223
Ⅳ. 보상액의 결정방법 및 불북절차 --------------------------------224
1.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의하는 방법 -------------------------224
2. 행정청의 재결 · 결정에 의하는 방법 -------------------------224
3. 소송에 의하는 방법 -----------------------------------------225
제4장 보충적 보상책임제도
제1절 수용유사침해 · 수용적침해 226
Ⅰ. 학설사적 배경: 독일에서의 이론전개 --------------------------226
1. 개 설 ------------------------------------------------------226
2. 수용유사적침해 · 수용적침해 보상이론의 발전과 -------------
차 례 ix
자갈채취사건결정 ----------------------------------------------- 228
2.1. 수용유사적 침해 · 수용적 침해 보상이론의 발전 ----------228
2.2.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자갈채취사건결정 ---------------229
3. 자갈채취사건결정 이후의 판례전개-------------------------230
4. 자갈채취사건결정의 결과와 수용유사침해보상이론의 수정 --232
Ⅱ. 수용유사침해 ----------------------------------------------------236
1. 개 념 ------------------------------------------------------236
2. 성립요건 -----------------------------------------------------237
2.1. 재산권의 침해 -------------------------------------------237
2.2. 고권적 조치 ---------------------------------------------237
2.3. 침해의 직접성 -------------------------------------------238
2.4. 침해의 위법성 -------------------------------------------239
3. 손실보상과 손실보상청구권의 행사-------------------------239
3.1. 손실보상 ------------------------------------------------239
3.2. 손실보상청구권의 행사 ----------------------------------240
4. 수용유사침해보상과 수용보상 · 수용적침해보상, --------------
국가배상과의 구별 -------------------------------------------------240
5. 재산권 이외의 기본권침해에 대한 적용 확장 ---------------243
6. 우리나라에서의 이론적 수용 문제 ---------------------------243
6.1. 수용유사침해 보상이론의 법리적 인식 ------------------243
6.2. 한국헌법 제23조와 자갈채취사건결정의 논리 -----------245
6.2.1. 독일의 수용개념과 우리나라의 공용침해개념 ----245
6.2.2. 독일의 분리이론과 한국헌법 제23조의 구조 -----246
6.2.3. 독일의 불가분조항론과 한국헌법 제23조 제3항의 해석 --246
6.3. 수용유사침해이론에 대한 법원의 태도 ------------------248
6.4. 결론: 수용유사침해 보상이론의 가치 --------------------250
Ⅲ. 수용적 침해 -----------------------------------------------------254
1. 개 념 ------------------------------------------------------254
2. 성립요건 -----------------------------------------------------255
2.1. 재산권의 침해 -------------------------------------------255
2.2. 적법한 행정작용의 부수적 결과로 인한 침해 ------------255
2.3. 침해의 직접성 -------------------------------------------255
2.4. 특별희생 ------------------------------------------------256
3. 손실보상과 손실보상청구권의 행사-------------------------256
3.1. 손실보상 ------------------------------------------------256
3.2. 손실보상청구권의 행사 ----------------------------------256
4. 공용수용 · 수용유사침해와의 구별 ---------------------------257
x 차 례
5. 수용적 침해이론의 변천: ‘보상을 요하는 재산권내용규정’과의 관계 -257
6. 우리나라에서의 이론적 수용 문제 --------------------------258
Ⅳ. 재산권규정에 의한 손실의 전보 --------------------------------259
1. 의 의 ------------------------------------------------------259
2. 적용범위 -----------------------------------------------------260
3. 성립요건 -----------------------------------------------------260
4. 손실보상의 한도 --------------------------------------------261
5. 우리나라에서의 이론적 수용문제 ---------------------------262
제2절 희생보상청구권 263
Ⅰ. 의 의 ------------------------------------------------------263
Ⅱ. 법적 근거 --------------------------------------------------------264
Ⅲ. 성립요건 ---------------------------------------------------------264
Ⅳ. 효 과 ----------------------------------------------------------264
Ⅴ. 희생유사침해 ----------------------------------------------------265
Ⅵ. 우리나라에서의 적용문제 ---------------------------------------265
제3절 결과제거청구권 · 원상회복청구권 267
Ⅰ. 결과제거청구권 --------------------------------------------------267
1. 의의와 성질 -------------------------------------------------267
1.1. 의 의 --------------------------------------------------267
1.2. 성 질 --------------------------------------------------268
2. 법적 근거 ----------------------------------------------------268
3. 결과제거청구권의 성립요건 ---------------------------------270
3.1. 행정주체에 의한 고권적 침해 ---------------------------270
3.2. 위법한 침해상태의 발생 ---------------------------------270
3.3. 위법한 침해상태의 계속 ---------------------------------272
3.4. 인과관계 ------------------------------------------------272
4. 결과제거청구권의 내용과 범위 -----------------------------274
4.1. 내용: 원상회복 ------------------------------------------274
4.2. 결과제거청구권의 한계 ----------------------------------274
4.2.1. 결과제거의 가능성 및 기대가능성----------------274
4.2.2. 위법상태의 합법화 -------------------------------276
4.2.3. 직접적 침해의 제거 ------------------------------276
차 례 xi
5. 결과제거청구권의 행사 -------------------------------------277
Ⅱ. 원상회복청구권 (또는 사회법적 원상회복청구권) ----------------278
1. 의 의 ------------------------------------------------------278
2. 성질 및 근거 ------------------------------------------------279
3. 성립요건 -----------------------------------------------------279
4. 우리나라에서의 적용문제 -----------------------------------280
제4절 수익적 행정행위의 취소·철회로 인한 손실보상 280
제5절 참고: 그 밖에 고려될 수 있는 국가보상책임제도들 281
Ⅰ. 공법상 위험책임 -------------------------------------------------281
Ⅱ. 계획보장청구권 --------------------------------------------------283
Ⅲ. 사회국가 또는 복지국가적 근거에 의한 보상 -------------------285
제5장 행정법상의 채권관계
제1절 개 설 289
제2절 행정법상의 채권관계의 유형과 내용 289
Ⅰ. 공법상 사무관리 -------------------------------------------------290
1. 의 의 -------------------------------------------------------290
2. 인정 여부 및 유형 -------------------------------------------290
3. 적용법규 ------------------------------------------------------291
Ⅱ. 공법상 부당이득 -------------------------------------------------291
1. 개 념 -------------------------------------------------------291
2. 성 질 -------------------------------------------------------292
2.1. 사 권 설 -------------------------------------------------292
2.2. 공 권 설 -------------------------------------------------292
2.3. 결 론 --------------------------------------------------292
3. 적용법규 ------------------------------------------------------293
4. 행정주체의 부당이득 -----------------------------------------293
4.1. 성립요건 ------------------------------------------------293
4.2. 부당이득의 반환 범위 -----------------------------------295
xii 차 례
5. 사인의 부당이득 ---------------------------------------------295
5.1. 성립요건 ------------------------------------------------295
5.2. 부당이득의 반환 범위 -----------------------------------295
6.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행사 ----------------------------------295
7. 공법상 부당이득의 시효 -------------------------------------296
제3부 행정쟁송
제1장 개 설
제1절 법치행정의 원리와 행정쟁송의 목표 299
제2절 행정쟁송의 체계적 지위 301
Ⅰ. 행정통제와 행정쟁송 --------------------------------------------301
Ⅱ. 권익구제와 행정쟁송 --------------------------------------------303
제3절 행정쟁송의 유형 303
Ⅰ. 정식쟁송과 약식쟁송 --------------------------------------------303
Ⅱ. 시심적 쟁송과 복심적 쟁송 -------------------------------------304
Ⅲ. 주관적 쟁송과 객관적 쟁송 -------------------------------------304
Ⅳ. 항고쟁송과 당사자쟁송 ------------------------------------------305
Ⅴ. 민중쟁송과 기관쟁송 --------------------------------------------305
제4절 우리나라 행정쟁송제도 305
차 례 xiii
제2장 행 정 심 판
제1절 개 설 307
Ⅰ. 행정심판의 개념 -------------------------------------------------307
Ⅱ. 행정심판의 존재이유 --------------------------------------------308
Ⅲ. 기타의 행정상 불북방법과의 구별 ------------------------------309
1. 청원과의 구별 -----------------------------------------------309
2. 이의신청과의 구별 ------------------------------------------310
3. 직권재심사 · 진정 등과의 구별 -------------------------------310
4. 고충민원처리절차와의 구별 ---------------------------------310
제2절 행정심판법과 행정심판의 종류 312
Ⅰ. 행정심판법 ------------------------------------------------------312
Ⅱ. 행정심판법상 행정심판의 종류 ---------------------------------312
1. 취소심판 -----------------------------------------------------313
1.1. 의 의 --------------------------------------------------313
1.2. 성 질 --------------------------------------------------313
1.3. 심판의 결과 ---------------------------------------------314
2. 무효등 확인심판 --------------------------------------------314
2.1. 의 의 --------------------------------------------------314
2.2. 성 질 --------------------------------------------------315
2.3. 심판의 결과 ---------------------------------------------315
3. 의무이행심판 ------------------------------------------------315
3.1. 의 의 --------------------------------------------------315
3.2. 성 질 --------------------------------------------------316
3.3. 심판의 결과 ---------------------------------------------317
제3절 행정심판의 절차구조 318
제4절 행정심판의 제기 319
Ⅰ. 개 설 ----------------------------------------------------------319
1. 행정심판절차의 개시 ----------------------------------------319
2. 불복고지 -----------------------------------------------------319
2.1. 의 의 --------------------------------------------------319
2.2. 법적 성질 -----------------------------------------------320
xiv 차 례
2.3. 종 류 --------------------------------------------------321
2.4. 고지의무위반의 효과 ------------------------------------322
3. 행정심판의 제기요건 ----------------------------------------323
Ⅱ. 행정심판의 대상 -------------------------------------------------323
1. 개 설 ------------------------------------------------------323
2. 행정청의 처분 -----------------------------------------------324
2.1. 공권력의 행사 또는 그 거부 -----------------------------324
2.2. 공권력행사에 준하는 행정작용 --------------------------325
3. 부 작 위 -----------------------------------------------------326
3.1. 당사자의 신청 -------------------------------------------326
3.2. 상당한 기간 ---------------------------------------------327
3.3. 처분의무의 존재 ----------------------------------------327
3.4. 아무런 처분도 하지 않았을 것 --------------------------327
Ⅲ. 행정심판기관 ----------------------------------------------------327
1. 개 설 ------------------------------------------------------327
2. 행정심판위원회 ---------------------------------------------329
2.1. 행정심판위원회의 설치 ----------------------------------329
2.2. 행정심판위원회의 구성과 회의 --------------------------331
2.2.1. 중앙행정심판위원회------------------------------331
2.2.2. 그 밖의 행정심판위원회--------------------------332
2.3. 행정심판위원회의 권한 승계 ----------------------------334
2.4. 행정심판위원회 위원의 임기 및 신분보장 등 ------------334
2.4.1. 임 기 -------------------------------------------334
2.4.2. 신분보장 -----------------------------------------335
2.4.3 결격사유와 공무원 의제 --------------------------335
2.5. 행정심판위원회 위원의 제척 · 기피 · 회피 -----------------335
2.5.1. 위원의 제척 · 기피 · 회피 ---------------------------335
2.5.2. 제척 · 기피 · 회피의 절차 ---------------------------336
2.5.3. 직원의 제척 · 기피 · 회피 ---------------------------336
Ⅳ. 행정심판의 당사자와 관계인 ------------------------------------337
1. 개 설 ------------------------------------------------------337
2. 행정심판의 당사자와 관계인 --------------------------------337
2.1. 행정심판의 당사자 --------------------------------------337
2.1.1. 청 구 인------------------------------------------337
2.1.2. 피청구인 -----------------------------------------346
2.2. 행정심판의 관계인 --------------------------------------347
2.2.1. 대 리 인------------------------------------------347
차 례 xv
2.2.2. 참 가 인------------------------------------------348
2.2.3. 대표자 · 관리인 · 선정대표자 또는 ---------------------
대리인의 자격의 소명 등 ------------------------349
Ⅴ. 심판청구기간 ----------------------------------------------------349
1. 심판청구기간의 제한과 그 취지 ----------------------------349
2. 원 칙 -----------------------------------------------------350
3. 예 외 ------------------------------------------------------351
3.1. 90일에 대한 예외 ---------------------------------------351
3.2. 180일에 대한 예외 --------------------------------------352
3.3. 기타의 경우 ---------------------------------------------353
4. 심판청구기간의 계산 ----------------------------------------354
Ⅵ. 심판청구의 방식과 절차 -----------------------------------------354
1. 심판청구의 방식 --------------------------------------------354
2. 심판청구의 절차: 심판청구서의 제출 등 -------------------356
3. 처분청의 구제결정 ------------------------------------------356
제5절 심판청구의 효과와 청구의 변경 · 취하 357
Ⅰ. 행정심판청구의 효과 --------------------------------------------357
1. 개 설 ------------------------------------------------------357
2. 심판의무와 심판청구권 -------------------------------------357
3. 취소심판에 있어 처분의 확정차단효 -----------------------358
4. 이 심 효 -----------------------------------------------------359
5. 집행부정지 --------------------------------------------------360
5.1. 집행부정지의 원칙 --------------------------------------360
5.2. 예외: 집행정지 ------------------------------------------361
5.2.1. 집행정지의 요건 ---------------------------------361
5.2.2. 집행정지의 내용 ---------------------------------363
5.2.3. 집행정지의 절차 ---------------------------------364
5.2.4. 집행정지의 효과 ---------------------------------365
6. 임시처분 ------------------------------------------------------366
Ⅱ. 청구의 변경 · 취하 -----------------------------------------------366
1. 청구의 변경 -------------------------------------------------366
1.1. 의 의 --------------------------------------------------366
1.2. 허용범위 ------------------------------------------------367
1.3. 절 차 --------------------------------------------------367
1.4. 효 과 --------------------------------------------------368
xvi 차 례
2. 심판청구의 취하 --------------------------------------------368
제6절 행정심판의 심리 및 재결 368
Ⅰ. 행정심판의 심리 -------------------------------------------------368
1. 심리의 단계와 범위 -----------------------------------------369
1.1. 심리의 단계 ---------------------------------------------369
1.1.1. 요건심리 -----------------------------------------369
1.1.2. 본안심리 -----------------------------------------369
1.2. 심리의 범위 --------------------------------------------369
2. 심리의 절차 -------------------------------------------------370
2.1. 심리절차의 기본원칙 ------------------------------------370
2.2.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 -----------------------------------373
2.3. 위원회의 자료의 제출 요구 및 증거조사 ----------------375
2.3.1. 위원회의 자료의 제출 요구 ----------------------375
2.3.2. 증거조사 -----------------------------------------375
2.4. 심리기일의 지정과 변경 ---------------------------------376
2.5. 심리의 병합과 분리 -------------------------------------376
2.5.1. 심리의 병합 --------------------------------------376
2.5.2. 심리의 분리 --------------------------------------377
Ⅱ. 행정심판의 재결 -------------------------------------------------377
1. 의 의 ------------------------------------------------------377
2. 재결의 절차와 형식 -----------------------------------------377
2.1. 재결기간 ------------------------------------------------377
2.2. 재결방식 ------------------------------------------------378
2.3. 송달 및 공고 --------------------------------------------378
3. 재결의 내용 -------------------------------------------------378
3.1. 재결의 범위 ---------------------------------------------378
3.2. 재결의 종류와 내용 -------------------------------------379
3.2.1. 재결의 종류 --------------------------------------379
3.2.2. 인용재결의 내용 ---------------------------------379
4. 사정재결 -----------------------------------------------------380
4.1. 의 의 --------------------------------------------------380
4.2. 제도의 취지 ---------------------------------------------381
4.3. 사정재결의 요건 ----------------------------------------381
4.4. 구제방법 · 불북방법 --------------------------------------382
5. 재결의 효력 -------------------------------------------------382
5.1. 형 성 력 -------------------------------------------------383
차 례 xvii
5.2. 기 속 력 -------------------------------------------------384
5.2.1. 관계행정청에 대한 기속--------------------------384
5.2.2. 재처분의무 ---------------------------------------385
5.3. 결과제거의무 --------------------------------------------386
5.4. 위원회의 직접 처분 -------------------------------------386
6. 재결에 대한 불북 ------------------------------------------387
6.1. 재결에 대한 행정심판 -----------------------------------387
6.2. 원처분주의 ----------------------------------------------387
제7절 전자정보처리조직을 통한 행정심판절차의 특례 388
Ⅰ. 전자정보처리조직을 통한 행정심판의 도입 ---------------------388
Ⅱ. 전자정보처리조직을 통한 행정심판 절차 -----------------------388
1. 전자정보처리조직을 통한 심판청구 등 ---------------------388
2. 전자서명 등 -------------------------------------------------389
3. 전자정보처리조직을 이용한 송달 등 -----------------------389
제8절 행정심판과 불합리한 법령 등의 개선 390
제3장 행 정 소 송
제1절 개 설 392
Ⅰ. 행정소송의 개념 -------------------------------------------------392
Ⅱ. 행정소송의 제도적 목적 -----------------------------------------393
Ⅲ. 행정재판의 헌법적 근거 -----------------------------------------394
Ⅳ. 행정소송법의 연혁과 지위 --------------------------------------396
1. 행정소송법의 연혁 ------------------------------------------396
2. 행정소송법의 지위 ------------------------------------------397
제2절 행정소송의 특수성과 종류 398
Ⅰ. 행정소송의 특수성 ----------------------------------------------398
Ⅱ. 행정소송의 종류 -------------------------------------------------399
xviii 차 례
1. 행정소송의 종류와 국민의 재판청구권 ---------------------399
2. 일반소송법상의 분류 ----------------------------------------400
2.1. 형성의 소 -----------------------------------------------401
2.2. 이행의 소 -----------------------------------------------401
2.3. 확인의 소 -----------------------------------------------402
3. 행정소송법상 행정소송의 종류 -----------------------------402
3.1. 항고소송 ------------------------------------------------402
3.2. 당사자소송 ----------------------------------------------403
3.3. 민중소송 ------------------------------------------------403
3.4. 기관소송 ------------------------------------------------403
제3절 행정소송의 일반적 절차 404
Ⅰ. 행정소송의 절차구조 --------------------------------------------404
Ⅱ. 행정소송의 제기 -------------------------------------------------404
Ⅲ. 행정소송의 심리와 종료 -----------------------------------------405
1. 행정소송의 심리 --------------------------------------------405
1.1. 요건심리 ------------------------------------------------405
1.2. 본안심리 ------------------------------------------------408
2. 행정소송의 종료 --------------------------------------------409
제4절 행정소송의 범위와 한계 410
Ⅰ. 문 제 ----------------------------------------------------------410
Ⅱ. 헌법명시적 한계 -------------------------------------------------410
Ⅲ. 사법의 본질에 연유하는 한계 -----------------------------------411
1. 구체적 사건성 -----------------------------------------------412
1.1. 학술 · 예술상의 문제 또는 단순한 사실문제 --------------412
1.2. 반사적 이익 ---------------------------------------------412
1.3. 법령의 효력과 해석 -------------------------------------414
1.3.1. 주관적 소송의 원칙(?) ---------------------------414
1.3.2. 구체적 규범통제와 처분법규의 사법심사 ---------415
1.3.3. 사법의 본질과 법원의 명령규칙심사권 -----------416
1.3.4. 명령 · 규칙에 대한 헌법소원과 명령규칙심사권 ---418
1.3.5. 결 론 -------------------------------------------419
1.4. 민중소송 · 기관소송 --------------------------------------420
2. 법적 해결가능성 --------------------------------------------420
2.1. 통치행위 ------------------------------------------------420
차 례 xix
2.2. 재량행위 ------------------------------------------------422
2.3. '특별권력관계' 내에서의 행위 ---------------------------424
2.4. 방침규정 ------------------------------------------------424
Ⅳ. 권력분립상의 한계 ----------------------------------------------425
1. 권력분립의 원칙과 행정소송 --------------------------------425
2. 행정상 이행소송 등과 관련된 문제 -------------------------425
2.1. 행정상 이행소송 ----------------------------------------426
2.1.1. 학 설 -------------------------------------------426
2.1.2. 판 례 -------------------------------------------427
2.1.3. 결 론 -------------------------------------------428
2.2. 행정상 부작위청구소송의 허용 여부 --------------------431
Ⅴ. 결 론 ----------------------------------------------------------432
제5절 취 소 소 송 433
제 1 항 취소소송의 의의와 성질 -------------------------------- 433
Ⅰ. 의 의 ----------------------------------------------------------433
Ⅱ. 성 질 ----------------------------------------------------------434
1. 취소소송의 성질 --------------------------------------------434
2. 취소소송의 소송물 ------------------------------------------435
제 2 항 취소소송의 개시 ----------------------------------------- 441
Ⅰ. 개 설 ----------------------------------------------------------441
Ⅱ. 취소소송제기의 효과 --------------------------------------------442
1. 법원 등에 대한 효과(주관적 효과) --------------------------442
2. 행정처분에 대한 효과(객관적 효과) ------------------------442
제 3 항 취소소송의 제기요건 ------------------------------------ 443
Ⅰ. 취소소송의 대상 -------------------------------------------------443
1. 개 설 ------------------------------------------------------443
2. 처 분 ------------------------------------------------------444
2.1. 처분의 개념 ---------------------------------------------444
2.1.1. 학 설 -------------------------------------------444
2.1.2. 판 례 -------------------------------------------451
xx 차 례
2.1.3. 결 론 -------------------------------------------463
2.2. 처분의 내용 ---------------------------------------------463
2.2.1. 행정청의 행위------------------------------------463
2.2.2.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집행으로서의 ----------------
공권력의 행사 또는 그 거부 ---------------------464
2.2.3.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정작용 -------------------469
2.3. 처분성에 관한 판례 -------------------------------------470
2.3.1. 처분성이 인정된 사례 ----------------------------470
2.3.2. 처분성이 부인된 사례 ----------------------------474
3. 재 결 ------------------------------------------------------476
4. 처분등의 위법 주장 ------------------------------------------478
Ⅱ. 취소소송의 관할 -------------------------------------------------478
1. 심급관할 -----------------------------------------------------478
2. 토지관할 -----------------------------------------------------480
3. 관할의 이송 -------------------------------------------------480
Ⅲ. 취소소송의 당사자 등 -------------------------------------------482
1. 취소소송의 당사자 ------------------------------------------482
1.1. 당사자능력과 당사자적격 -------------------------------482
1.2. 원고적격 ------------------------------------------------486
1.2.1. 개 설 -------------------------------------------486
1.2.2. 취소소송의 보호대상으로서 ‘법률상 이익’ -------487
1.2.3. 원고적격의 확대 ---------------------------------491
1.2.4. ‘법률상 이익’ 침해의 주장 -----------------------500
1.2.5. 권리보호의 필요(협의의 소익)로서 ‘법률상 이익’ -500
1.3. 피고적격 ------------------------------------------------501
1.3.1. 개 설 -------------------------------------------501
1.3.2. 행 정 청------------------------------------------502
1.3.3. 권한승계와 기관폐지의 경우 ---------------------503
1.3.4. 피고경정 -----------------------------------------503
2. 취소소송의 참가인 ------------------------------------------505
2.1. 소송참가의 의의 ----------------------------------------505
2.2. 제3자의 소송참가 ---------------------------------------505
2.2.1. 의 의 -------------------------------------------505
2.2.2. 참가요건 -----------------------------------------506
2.2.3. 소송참가의 효과 --------------------------------507
2.3. 행정청의 소송참가 --------------------------------------508
3. 소송대리인 --------------------------------------------------509
차 례 xxi
Ⅳ. 권리보호의 필요(협의의 소의 이익) ----------------------------509
1. 의 의 ------------------------------------------------------509
2. 처분의 효력이 소멸된 경우 --------------------------------510
2.1. 행정소송법 제12조 제2문의 취지 -----------------------510
2.2. 대법원의 판례 변천 -------------------------------------512
2.3. 취소되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행정처분을 ---------------
대상으로 한 취소소송 등의 경우 ------------------------516
3.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권리보호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517
4. 소송이 원고에게 아무런 실익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518
5. 소권의 남용 또는 소권이 실효되었다고 인정되는 경우 ----520
Ⅴ. 취소소송의 전심절차 --------------------------------------------521
1. 개 설 ------------------------------------------------------521
2. 원칙: 취소소송과 행정심판의 자유선택 --------------------521
3. 예외: 취소소송의 전치절차로서 행정심판 ------------------522
3.1. 예외적 전치요건의 적용범위 ----------------------------523
3.1.1. 소송의 종류에 따른 한계 -------------------------523
3.1.2. 무효선언의 뜻에서의 취소소송 -------------------524
3.1.3. 제3자에 의한 취소소송 --------------------------525
3.2. 예외적 전치주의의 내용 ---------------------------------525
3.2.1. 행정심판의 필요적 전치--------------------------525
3.2.2. 예 외 -------------------------------------------527
3.2.3. 예외적 전치요건 충족여부의 판단----------------532
4. 자유선택주의하에서 취소소송과 행정심판의 관계 ---------533
4.1. 취소심판의 인용재결이 선행한 경우 --------------------534
4.2. 취소소송의 인용판결이 선행한 경우 --------------------537
4.3. 문제의 해결방안 ----------------------------------------538
Ⅵ. 취소소송의 제소기간 --------------------------------------------540
Ⅶ. 소 장 ----------------------------------------------------------542
제 4 항 취소소송에 있어 가구제 -------------------------------- 543
Ⅰ. 개 설 ----------------------------------------------------------543
Ⅱ. 집행정지 ---------------------------------------------------------544
1. 집행부정지의 원칙 ------------------------------------------544
2. 예외: 집행정지 ----------------------------------------------544
2.1. 집행정지의 요건 ----------------------------------------545
2.1.1. 적극적 요건 --------------------------------------545
xxii 차 례
2.1.2. 소극적 요건 --------------------------------------549
2.1.3. 본안의 이유 유무와 집행정지 --------------------549
2.2. 집행정지의 성질 ----------------------------------------555
2.3. 집행정지결정의 내용 ------------------------------------555
2.3.1. 효력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 -------------------555
2.3.2. 처분의 집행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555
2.3.3. 절차의 속행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556
2.4. 집행정지의 절차 ----------------------------------------556
2.5. 집행정지결정의 효력 ------------------------------------556
2.6. 집행정지결정의 취소 ------------------------------------557
2.7. 집행정지결정등에 대한 불북 ----------------------------557
Ⅲ. 가 처 분 -------------------------------------------------------557
1. 의 의 ------------------------------------------------------557
2. 가처분의 가능성 --------------------------------------------558
제 5 항 관련청구의 이송 · 병합과 소의 변경 ------------------ 559
Ⅰ. 관련청구의 이송 및 병합 ---------------------------------------559
1. 관련청구소송의 이송 ----------------------------------------559
2. 관련청구의 병합 --------------------------------------------560
2.1. 의 의 --------------------------------------------------560
2.2. 요 건 --------------------------------------------------561
2.2.1. 소송요건의 구비 ---------------------------------561
2.2.2. 관련청구의 범위 ---------------------------------562
2.2.3. 관할법원 -----------------------------------------563
2.2.4. 병합의 시기 --------------------------------------563
2.3. 병합심리에 있어 적용법규 ------------------------------563
Ⅱ. 소의 변경 --------------------------------------------------------563
1. 의 의 ------------------------------------------------------563
2. 소의 종류의 변경 -------------------------------------------564
2.1. 요 건 --------------------------------------------------564
2.2. 절 차 --------------------------------------------------566
2.3. 효 과 --------------------------------------------------566
2.4. 다른 종류의 소송에의 준용 ------------------------------566
3. 처분변경에 따른 소의 변경 ---------------------------------566
4. 민사소송법에 의한 청구의 변경 ----------------------------567
차 례 xxiii
제 6 항 취소소송의 심리 ------------------------------------------ 568
Ⅰ. 개 설 ----------------------------------------------------------568
Ⅱ. 심리의 단계 -----------------------------------------------------568
1. 요건심리 -----------------------------------------------------568
2. 본안심리 -----------------------------------------------------568
Ⅲ. 심리의 범위 -----------------------------------------------------569
Ⅳ. 심리절차의 내용 -------------------------------------------------569
1. 심리절차의 기본원칙 -----------------------------------------569
1.1. 처분권주의 ----------------------------------------------570
1.2. 변론주의와 직권탐지주의의 가미 ------------------------571
1.3. 구술심리주의 --------------------------------------------573
1.4. 공개주의 ------------------------------------------------573
2. 직권심리와 법관의 석명의무 --------------------------------573
2.1. 직권심리 ------------------------------------------------573
2.2. 법관의 석명의무 ----------------------------------------574
3. 행정심판기록제출명령 --------------------------------------576
4. 주장책임 · 입증책임 ------------------------------------------576
4.1. 주장책임 ------------------------------------------------576
4.2. 입증책임 ------------------------------------------------577
제 7 항 취소소송의 종료 ------------------------------------------ 582
Ⅰ. 취소소송의 판결 -------------------------------------------------582
1. 판결의 종류 -------------------------------------------------582
1.1. 중간판결과 종국판결 ------------------------------------582
1.2. 소송판결과 본안판결 ------------------------------------583
1.3. 인용판결과 기각판결 ------------------------------------583
1.4. 사정판결 ------------------------------------------------584
1.4.1. 의 의 -------------------------------------------584
1.4.2. 제도의 취지 --------------------------------------585
1.4.3. 사정판결의 요건 ---------------------------------586
1.4.4. 사정판결의 효과 ---------------------------------588
1.4.5. 원고의 권익보호 및 불북방법 --------------------589
2. 위법판단의 기준시점과 처분이유의 사후변경 --------------589
2.1. 위법판단의 기준시점 ------------------------------------589
2.2. 처분사유의 추가 · 변경 -----------------------------------591
2.2.1. 의 의 -------------------------------------------591
xxiv 차 례
2.2.2. 유사개념과의 구별 -------------------------------593
2.2.3. 허 용 성------------------------------------------595
2.2.4. 허용요건과 한계 ---------------------------------596
3. 판결의 효력 ------------------------------------------------ 602
3.1. 자 박 력 -------------------------------------------------602
3.2. 구속력(기속력) ------------------------------------------603
3.2.1. 의의 및 성질 -------------------------------------603
3.2.2. 내 용 -------------------------------------------603
3.2.3. 범 위 -------------------------------------------607
3.2.4. 위반의 효과 --------------------------------------607
3.3. 형 성 력 -------------------------------------------------608
3.3.1. 의 의 --------------------------------------------608
3.3.2. 당연형성 -----------------------------------------608
3.3.3. 제3자효 ------------------------------------------608
3.4. 확 정 력 -------------------------------------------------609
3.4.1. 형식적 확정력------------------------------------609
3.4.2. 실질적 확정력(기판력) ---------------------------609
3.5. 간접강제 ------------------------------------------------613
Ⅱ. 기타 사유로 인한 취소소송의 종료 -----------------------------616
1. 소의 취하 ----------------------------------------------------616
2. 청구의 포기 · 인락 -------------------------------------------616
3. 재판상 화해 -------------------------------------------------617
4. 당사자의 소멸 -----------------------------------------------619
제 8 항 판결의 불북과 위헌판결의 공고 ----------------------- 620
Ⅰ. 판결의 불북 -----------------------------------------------------620
1. 상 소 -------------------------------------------------------620
2. 제3자의 재심청구 -------------------------------------------620
2.1. 의 의 --------------------------------------------------620
2.2. 재심청구소송의 성질 ------------------------------------621
2.3. 재심청구의 요건 ----------------------------------------622
2.3.1. 재심의 전제조건 ---------------------------------622
2.3.2. 당 사 자------------------------------------------622
2.3.3. 재심사유 -----------------------------------------622
2.3.4. 재심청구기간 ------------------------------------624
2.4. 재심절차 ------------------------------------------------625
2.4.1. 재심의 소 제기 -----------------------------------625
2.4.2. 재심의 소의 심리 · 재판 ---------------------------625
차 례 xxv
2.5. 본조의 준용 ---------------------------------------------626
Ⅱ. 위헌판결의 공고 -------------------------------------------------627
제 9 항 소 송 비 용 ------------------------------------------------- 627
제6절 무효등 확인소송 628
Ⅰ. 의 의 ----------------------------------------------------------628
Ⅱ. 무효등 확인소송의 종류 -----------------------------------------629
Ⅲ. 무효등 확인소송의 성질과 소송물 ------------------------------630
1. 성 질 ------------------------------------------------------630
2. 소 송 물 -----------------------------------------------------631
Ⅳ. 적용법규 ---------------------------------------------------------631
1. 취소소송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는 경우 --------------------632
2. 취소소송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지 않는 경우 --------------632
Ⅴ. 무효등 확인소송의 제기요건 ------------------------------------633
1. 재판관할 -----------------------------------------------------633
2. 소송의 대상 -------------------------------------------------634
3. 당 사 자 ------------------------------------------------------634
3.1. 원고적격 ------------------------------------------------634
3.1.1. 법률상 이익의 개념 ------------------------------634
3.1.2. 법률상 이익과 즉시확정의 이익 ------------------638
3.2. 권리보호의 필요 ----------------------------------------643
3.3. 피고적격 ------------------------------------------------646
4. 제소기간 등의 적용배제 ------------------------------------647
Ⅵ. 관련청구소송의 이송과 병합 ------------------------------------647
Ⅶ. 무효등 확인소송에 있어 가구제 ---------------------------------648
Ⅷ. 무효등 확인소송의 심리 및 판결--------------------------------649
1. 무효등 확인소송의 심리 ------------------------------------649
1.1. 개 설 --------------------------------------------------649
1.2. 입증책임 ------------------------------------------------649
1.3. 선결문제의 심리 · 판단 -----------------------------------650
2. 무효등 확인소송의 판결 ------------------------------------651
xxvi 차 례
제 7 절 부작위위법확인소송 652
Ⅰ. 의 의 ----------------------------------------------------------652
Ⅱ.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성질과 소송물 --------------------------653
1. 성 질 ------------------------------------------------------653
2. 소 송 물 -----------------------------------------------------653
Ⅲ. 적용법규 ---------------------------------------------------------654
1. 취소소송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는 경우 --------------------654
2. 취소소송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지 않는 경우 --------------654
Ⅳ.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제기요건 --------------------------------655
1. 재판관할 -----------------------------------------------------655
2. 소송의 대상: 부작위 ----------------------------------------655
2.1. 당사자의 신청 -------------------------------------------655
2.2. 상당한 기간 ---------------------------------------------657
2.3. 처분의무의 존재 가능성 ---------------------------------658
2.4. 아무런 처분도 하지 않았을 것 --------------------------659
3. 당 사 자 ----------------------------------------------------660
3.1. 원고적격 ------------------------------------------------660
3.2. 피고적격 ------------------------------------------------662
4. 제소기간 -----------------------------------------------------662
Ⅴ.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제기, 소의 변경 등 ---------------------665
Ⅵ.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심리와 판결 -----------------------------665
1.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심리 ---------------------------------665
1.1.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심리절차 ------------------------665
1.2.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심리범위 ------------------------666
2.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판결 ---------------------------------666
2.1. 개 설 --------------------------------------------------666
2.2. 위법판단의 기준시점 ------------------------------------667
2.3. 판결의 구속력과 처분의무 ------------------------------667
제8절 당사자소송 672
Ⅰ. 개 설 ----------------------------------------------------------672
1. 당사자소송의 의의 ------------------------------------------672
2. 당사자소송의 연혁 ------------------------------------------672
3. 당사자소송의 특성 ------------------------------------------673
차 례 xxvii
3.1. 당사자소송과 항고소송 ----------------------------------674
3.1.1. 당사자소송과 항고소송의 구별 -------------------674
3.1.2. ‘포괄소송’으로서 당사자소송 --------------------674
3.1.3. 당사자소송의 보충성(?) --------------------------675
3.2. 당사자소송과 민사소송 ----------------------------------676
Ⅱ. 당사자소송의 종류와 적용법규 ---------------------------------678
1. 실질적 당사자소송 ------------------------------------------678
1.1. 개 념 --------------------------------------------------678
1.2. 적용법규 ------------------------------------------------681
1.2.1. 취소소송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는 경우 ----------681
1.2.2. 취소소송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지 않는 경우 -----681
2. 형식적 당사자소송 ------------------------------------------682
2.1. 개 념 --------------------------------------------------682
2.2. 허 용 성 -------------------------------------------------683
2.3. 적용법규 ------------------------------------------------684
Ⅲ. 당사자소송의 소송요건 ------------------------------------------685
1. 재판관할 -----------------------------------------------------685
2. 당사자소송의 당사자 ----------------------------------------685
2.1. 원고적격 ------------------------------------------------685
2.2. 피고적격 ------------------------------------------------685
3. 당사자소송의 대상 ------------------------------------------687
4. 제소기간 -----------------------------------------------------688
5. 기타 소송요건 ------------------------------------------------688
Ⅳ. 관련청구의 병합과 소변경 --------------------------------------688
Ⅴ. 당사자소송에 있어 가구제 --------------------------------------689
Ⅵ. 당사자소송의 심리와 판결 ---------------------------------------690
1. 당사자소송의 심리 ------------------------------------------690
2. 당사자소송의 판결 ------------------------------------------690
제9절 기타 특수한 행정소송 691
Ⅰ. 기관소송 ---------------------------------------------------------691
1. 개 설 ------------------------------------------------------691
1.1. 개 념 --------------------------------------------------691
1.2. 소송의 성질 ---------------------------------------------691
2. 기관소송의 종류 --------------------------------------------691
xxviii 차 례
3. 적용법규 -----------------------------------------------------692
4. 기관소송의 문제점 ------------------------------------------692
Ⅱ. 민중소송 ---------------------------------------------------------695
1. 개 설 -------------------------------------------------------695
1.1. 개 념 --------------------------------------------------695
1.2. 소송의 성질 ---------------------------------------------695
2. 민중소송의 종류 --------------------------------------------695
3. 적용법규 -----------------------------------------------------695
참고문헌 697
사항색인 707

저자소개

홍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대학원 법학과졸 독일 Gottingen대학교 법학박사(Dr.iur.) 서울특별시행정심판위원회 위원(2016-2022); 서울특별시교육청 행정심판위원회 위원(2013-2018);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위원(1999-2005); “국토교통부 댐 사전검토협의회 위원장(2013-2017); 베를린자유대 한국학과 초빙교수・한국학연구소장(2001.10-2003.2);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이사장/한국공법학회/한국환경법학회/한국행정법이론실무학회 회장 역임;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위원/환경정의 정책기획위원장 역임 주요저서 Die Klage zur Durchsetzung von Vornahmepflichten der Verwaltung, 1992, Schriften zum Prozeßrecht Bd.108, Duncker & Humblot Verlag, Berlin 시민을 위한 행정법입문, 2023, 박영사 행정법. 2017, 법문사 환경법. 2005, 박영사 법정책의 이론과 실제. 2008, 법문사 공공갈등의 관리, 과제와 해법(공저). 2008, 법문사 행정구제법. 2012, 도서출판 오래 환경법특강. 2017, 박영사 상징입법 –겉과 속이 다른 입법의 정체. 2020. 한울아카데미 환경법의 성공과 실패. 2022. 한울아카데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