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컴퓨터 활용능력 > 신규 자격증/자격증 기타
· ISBN : 9788994750101
· 쪽수 : 285쪽
· 출판일 : 2013-07-27
책 소개
목차
저자의 글·2 | 《PM+P 해설서》 구성체계·5 | 제0장 PMP 응시와 시험준비·10
제1장 프로젝트 관리 개요·20
제 2 장 프로젝트 생애주기와 조직 학습전략·43
제 3 장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69
제 4 장 프로젝트 통합관리·113
제 5 장 프로젝트 범위관리·153
제 6 장 프로젝트 일정관리·199
제 7 장 프로젝트 원가관리·275
제 8 장 프로젝트 품질관리·325
제 9 장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367
제 10 장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413
제 11 장 프로젝트 위험관리·435
제 12장 프로젝트 조달관리·495
제 13장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관리·533
책속에서
국내 최초 PMP 수험서인 《PM+P》를 출간한 지 10년이 지나 제6판의 '저자의 글'을 적으려니 많은 생각이 떠오른다. 10년 전만 해도 문제만 보면 답이 보이는 문제가 많아서 합격률이 높았지만, 최근 들어 그런 문제의 출제빈도는 줄어들었고 PMBOK 프로세스 체계와 상황문제를 물어보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합격률도 30 ~ 35% 정도로 많이 낮아졌다.
수험생들이 알고 있듯이 PMP 자격취득 시험은 객관식이다. 그런데 프로젝트 관리에 정답이 있긴 한걸까? 모든 프로젝트가 다 다르고, 프로젝트 관리자는 각각 다른 상황에서 고독하고도 힘든 판단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린다. 그때, PMBOK은 어떤 가치가 있을까? 이는 필자가 중동에서 EPC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고민한 주제이기도 하다.
필자가 내린 결론은 PMBOK은 현실의 프로젝트 관리를 이해하기 위한 틀framework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는 성공적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필요조건에 해당하며 충분조건은 프로젝트 관리자와 팀원의 역량, 열정, 지혜이다. 수험생들은 각자 다양한 목적으로 수험준비를 하겠지만, PMBOK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끝내는 비법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바라보고 분석하는 체계를 제공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필자가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해외 EPC 프로젝트를 이번에 경험하면서 PMBOK의 탄탄한 논리체계를 다시 한번 실감하였다.
이번 《PM+P》 제6판을 준비하면서 특히 다음에 중점을 두고 집필하였다.
■ 수험생들이 경험한 프로젝트의 현실을 기반으로 PMBOK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각 프로세스마다 현실 프로젝트의 다양한 예를 제시하는 것은 물론, 특히 제3장에서는 PMBOK 47개 프로세스 전체를 현장의 용어로 설명하고 이를 PMBOK의 체계와 비교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수험생들은 자신의 경험이 PMBOK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산임을 명심하자.
■ 좀더 복잡해지고, 정교해진 PMBOK 프로세스간의 논리체계를 쉽게 이해하도록 《PM+P》의 구성체계에 혁신을 가하였다. '각 장의 프로세스 흐름도 → ITO 정의 → 핵심 ITO → DFD → ITO 요약 → ITO 상세 설명'의 순서로 이를 설명하였다.
■ PMBOK 원문의 의미를 자세하고 쉽게 설명하고자 했다. 중요한 문구는 'PMBOK 디벼보기'를 통해 상세한 해석을 제공했으며, 각 장의 마무리에는 랩업wrap up 코너를 두어 핵심문구를 얼마
나 이해하고 있는지 단답식으로 평가한 후 체크포인트를 통해 각 장의 핵심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도록 했다.
■ 수험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과 도표를 많이 활용했다.
특히 여러 프로세스와 지식영역에 걸쳐, 통합적 이해가 필요한 부분에 그림과 도표로 그 개념 을 정리하였다.
■ 시험 직전 학습내용을 총정리할 수 있는 《PM+P 최종 마무리집》의 내용을 보강했다.
시험합격의 열쇠는 PMBOK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이다. 숲도 이해하고, 나무도 이해해야 할 뿐 아니라 각 지식영영간의 연관관계도 이해해야 하기에 이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내용을 많이 추가했다.
본 수험서는 PMP 자격취득을 위한 수험생뿐 아니라 CAPM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도 충분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수험목적이 아니라 프로젝트 관리의 글로벌 스탠다드를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