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MP PM+P 해설서 PMBOK 지침서 7판 해설서

PMP PM+P 해설서 PMBOK 지침서 7판 해설서

김병호, 유정근 (지은이)
소동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2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MP PM+P 해설서 PMBOK 지침서 7판 해설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MP PM+P 해설서 PMBOK 지침서 7판 해설서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컴퓨터 활용능력 > 신규 자격증/자격증 기타
· ISBN : 9788994750972
· 쪽수 : 502쪽
· 출판일 : 2022-04-09

책 소개

2002년 국내 최초로 발간되어 PMP 수험서 시장을 선도해온 《PM+P》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PMBOK 지침서》 7판을 완벽 해설하여 새로이 선보이는 책이다. PMI는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여 7판에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인 애자일을 전면에 부각시켰다.

목차

저자의 글 3

PMP 학습 가이드 ・ 9

학습 TIP・10 │ PMI-isms・13 │ 《PMBOK 지침서》 한글판의 유의할 번역・18

1부 프로젝트 관리 표준서
제1장 개요 ・ 23
1.1 《PMBOK 지침서》 제7판 구성체계・24 │ 1.2 핵심 용어・31

제2장 가치인도 시스템 ・ 33
2.1 가치창출 수단・34 │ 2.2 가치창출 활동의 거버넌스 시스템・37
2.3 프로젝트 가치창출을 지원하는 활동・38 │ 2.4 프로젝트 환경・40
2.5 프로젝트 관리와 상품관리・41

제3장 프로젝트 관리 원칙 ・ 45
3.1 성실하고 존경할 만하며 배려심 있는 관리자 되기・47
3.2 협업하는 프로젝트 팀 환경 구축・50 │ 3.3 이해관계자와 효과적으로 교류하기・54 3.4 가치 중점・57 │ 3.5 시스템 상호 작용에 대한 인식, 평가 및 대응・59
3.6 리더십 행동 보여주기・62 │ 3.7 상황에 맞는 조정・65
3.8 프로세스 및 인도물의 품질 내재화・70 │ 3.9 복잡성 탐색・72
3.10 리스크 대응 최적화・75 │ 3.11 적응성 및 복원력 수용・77
3.12 미래목표 달성을 위한 변화・80 │ 3.13 12가지 프로젝트 관리 원칙 종합정리・83

2부 PMBOK 가이드
제4장 프로젝트 성과영역 개요 ・ 89

제5장 이해관계자 성과영역 ・ 95
5.1 이해관계자 성과영역 개요・96 │ 5.2 이해관계자 참여 관리・101
5.3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125 │ 5.4 이해관계자 성과영역 조정・126
5.5 이해관계자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127

제6장 팀 성과영역 ・ 129
6.1 팀 성과영역 개요・130 │ 6.2 프로젝트 관리와 리더십・137
6.3 프로젝트 팀 문화 구축・142 │ 6.4 팀 개발과 고성과 팀의 특징・144
6.5 리더십 기술・151 │ 6.6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171
6.7 팀 성과영역 조정・171 │ 6.8 팀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173

제7장 개발방식과 생애주기 성과영역 ・ 175
7.1 개발방식과 생애주기 성과영역 개요・176 │ 7.2 인도 케이던스・181
7.3 개발방식의 유형・184 │ 7.4 개발방식을 결정할 때 고려사항・201
7.5 생애주기와 단계 정의・206 │ 7.6 인도 케이던스, 개발방식, 생애주기의 연계・208
7.7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209 │ 7.8 개발방식과 생애주기 성과영역 조정・210
7.9 개발방식과 생애주기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211

제8장 기획 성과영역 ・ 213
8.1 기획 성과영역 개요・214 │ 8.2 프로젝트 계획수립 개요・220 │ 8.3 산정・221
8.4 일정계획수립・233 │ 8.5 예산책정・248 │ 8.6 프로젝트 팀 구성・250
8.7 의사소통 계획수립・262 │ 8.8 물리적 자원계획수립・263
8.9 조달계획수립・264 │ 8.10 변경관리 계획수립・265 │ 8.11 프로젝트 지표 정의・267 8.12 프로젝트 관리계획서 정합성 확인・268 │ 8.13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272
8.14 기획 성과영역 조정・272 │ 8.15 기획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274
차례

제9장 프로젝트 작업 성과영역 ・ 275
9.1 프로젝트 작업 성과영역 개요・276 │ 9.2 프로젝트 프로세스 관리・282
9.3 프로젝트 팀 학습・287 │ 9.4 프로젝트 변경관리・290 │ 9.5 프로젝트 팀 관리・292 9.6 프로젝트 의사소통・293 │ 9.7 물리적 자원관리・295 │ 9.8 프로젝트 조달관리・296 9.9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306 │ 9.10 프로젝트 작업 성과영역 조정・307
9.11 프로젝트 작업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308

제10장 인도 성과영역 ・ 309
10.1 인도 성과영역 개요・310 │ 10.2 프로젝트 가치관리・315 │ 10.3 인도물 관리・326 10.4 품질관리・361 │ 10.5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374
10.6 인도 성과영역 조정・375 │ 10.7 인도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376

제11장 측정 성과영역 ・ 377
11.1 측정 성과영역 개요・378 │ 11.2 성과측정의 목적・383
11.3 성과측정 지표의 선정기준・385 │ 11.4 성과측정 지표의 유형・386
11.5 성과측정 지표의 공유・413 │ 11.6 잘못된 성과측정의 부작용・424
11.7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426 │ 11.8 측정 성과영역 조정・427
11.9 측정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428

제12장 불확실성 성과영역 ・ 429
12.1 불확실성 성과영역 개요・430 │ 12.2 뷰카・436 │ 12.3 리스크 관리・445
12.4 다른 성과영역과의 상호작용・467 │ 12.5 불확실성 성과영역 조정・468
12.6 불확실성 성과영역의 목표 달성 점검방법・469

부록 ・ 471
A.1 예측형 개발방식과 적응형 개발방식에 따라 정리한 《PMBOK 지침서》・472
A.2 모델, 방법, 결과물 요약・488

찾아보기・494

저자소개

김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와 KAIST 경영과학과 석사과정을 마친 후, 1992년 삼성SDS에 입사해 30년 동안 프로젝트 관리 업무를 해왔다. SI 프로젝트, 건설(EPC) 프로젝트, 상품개발 프로젝트 등 여러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권의 프로젝트 관리 관련 책을 집필했다. 1999년 PMP 자격을 취득한 후, SI 프로젝트 수행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적용하는 업무를 담당하면서 느꼈던 이야기를 정리한 《거꾸로 읽는 69가지 프로젝트 이야기》와 국내 최초의 PMP 수험서인 《PM+P》, 《PM+P 문제집》을 저술했다. 이후 SI 프로젝트와 건설 프로젝트의 사례를 포함해 영업부터 프로젝트 종료까지의 프로세스를 담은 《통통통 프로젝트 관리》, 상품개발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업무를 하면서 공부하고 경험한 내용을 정리한 《고객 중심의 상품기획과 프로젝트 관리》 등의 책을 출간했다. 번역서로는 에드워드 요든의 《죽음의 행진: 문제 프로젝트에서 살아남는 법》이 있다. 저자가 수행했던 업무는 다음과 같다. ㆍ SI 프로젝트 품질관리, 위험관리(1994~2002) ㆍ 개발본부 PM 역량강화, 위험관리(2003 2006) ㆍ 멀티캠퍼스 PM 강의(2003~2010) ㆍ 삼성 SDS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2007~2010) ㆍ 쿠웨이트 유정시설 보안시스템 구축 PMO (2011~2013) ㆍ 솔루션 프로젝트 관리 PMO(2014~2018) ㆍ 스마트 도어락 품질관리(2019~2020) ㆍ 솔루션 고객지원 체계 개선(2021~2024)
펼치기
유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자원공학과를 졸업했다. 1992년 삼성SDS에 입사하여 영업기획과 삼성그룹 소비자문화원 업무를 거쳐, 삼성SDS PMO 창설 멤버로 프로젝트 위험관리 체크리스트와 품질지표를 개발하고 실제 위험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2001년 PMP 자격취득 후 사내 PMP 자격과정 강의를 시작으로 20여 년째 한국생산성본부 등에서 PMP 강의를 하고 있다. 《 PM+P》와《 PM+P 문제집》을 공동 저술했으며, 현재까지 총 100여 개 이상 기업에서 프로젝트 관리 강의 및 컨설팅을 진행했다. 한국생산성본부 프로젝트 관리 부문 최우수 교수상을 2회 수상했다. 전문 영역의 공부를 깊게 하고자 2002년에 CTE(Certified TCO Expert)자격증을 취득하고 Proway 교수로 위촉되었으며, 2015년에는 또 다른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인 PRINCE II Practitioner 자격을 취득했다. 삼성SDS ITSM 체계 구축 프로젝트를 미국의 EDS와 같이 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IT 운영체계인 I TIL 개념을 기업에 적용했다(2002). 프로젝트와 운영 프로세스 구축을 전부 경험했고, 일본 과학기술연맹 논문과 서울대 산업공학과 I TSM 적용 특강을 통해 프로젝트와 운영에 대한 사례발표를 하기도 했다.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교수를 역임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