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르네 지라르와 현대 사상)

정일권 (지은이)
새물결플러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르네 지라르와 현대 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475281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09-15

책 소개

기독교 인문 시리즈 2권. 이 책은 유대-기독교 이천 년 문명 안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니체 철학 백 년의 유산에 대한 평가서다. 니체 철학의 유산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 책이 취하는 두 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문화의 기원과 기독교라는 스캔들
1. 계몽된 묵시록
2. 종교의 탈신성화와 기독교
3. 헤겔과 코제브, 지라르: 인정투쟁과 모방 욕망
4. 전복적이고 폭발적인 진리
5. 레비나스와 지라르: 타자의 얼굴과 타자의 욕망
6. 전체성의 신화와 폭력, 그리고 타자
7. 신들의 황혼과 그리스 동경
8. 신화적 영원 회귀의 전복
9. 해방적 성숙성

2장 디오니소스 대(對) 십자가에 달리신 자

1. 폭력에 대한 디오니소스적인 긍정
2.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옛 성스러움
3. 신은 죽었다. 우리가 그를 살해했다.
4. 기독교의 개인의 발견과 인간제물

3장 니체의 황혼과 지라르

1. 하버마스와 지라르: 정의의 윤리와 사랑의 윤리
2. 칼 슈미트와 지라르: 법철학의 신화적 기원
3. 우상의 황혼과 현대성의 아침놀
4. 정치 이전의 기초들과 배후문화
5. 디오니소스적 심연
6. 디오니소스적 통음난무와 카타르시스
7. 당당한 모더니즘과 기독교 도덕
8. 진정한 개인
9. 야수성과 인간성
10. 열정과 욕망의 기독교적 승화전략
11. 모방 욕망이 선을 압도하다
12. 희생양에 대한 성경적 근심과 새로운 복잡성

4장 유교와 불교 문명 간의 대화와 문명 담론

1. 칼 야스퍼스와 동아시아 고등종교
2. 희생제사에서 정의의 윤리로
3. 니체와 기독교: 그의 이중 유산과 “저주”
4. 세계 윤리와 세계 질서
5. 찰스 테일러와 지라르: 유대-기독교적 계몽
6. 유교 문명과의 드라마틱한 대화
7. 아시아적 가치와 유럽의 어제의 가치
8. 고난에 대한 위험한 기억
9. 십자가의 신학과 십자가의 인류학
10. 그리스도: 이 사람을 보라
11. 초라한 예수상과 거대한 붓다상
12. 기독교 인문학

5장 우상의 황혼과 자연과학의 탄생

1. 도킨스의 망상과 만들어진 신들(gods delusion)
2. 도킨스와 지라르: 밈, 미메시스 그리고 문화의 기원
3. 우상에 대한 환상
4. 자연과학의 모태로서의 기독교 세계관
5. 삼위일체론적 영감과 현대 물리학의 탄생
6. 다윈과 수도사 멘델의 유전학
7. 시바의 춤과 삼위일체 하나님의 원무
8. 종교와 폭력: 선교적 무신론의 등장

6장 기독교 미학: 어린 양과 거대한 짐승의 우상

1. “이름 없는 하나님”과 유대교의 반우상주의
2. 신들의 황혼과 휴머니즘의 탄생
3. 우상의 황혼과 현대의 우상파괴자들
4. 마음수련과 우상공자으로서의 마음
5. 파스칼과 지라르: 생각하고 욕망하는 갈대
6. 세상의 평화와 그리스도의 평화
7. 동물에게는 축제가 없다
8. 어린 양의 잔치: 새로운 축제로서의 예배
9. C. S. 루이스와 지라르: 복음서와 신화
10. 초월과 영광의 기독교 음악
11. 칼 바르트의 교의학: 칼뱅 신학과 모차르트의 교회 음악
12. 창조세계의 선함과 은총의 승리

7장 사회적 짐승의 우상과 군중의 병리학

1. 어린 양의 노래와 염소의 노래
2. 바티모와 지라르: 케노시스와 약한 사유
3. 비극으로서의 오페라
4. 디오니소스적 미학과 기독교 미학
5. 놀이하는 아이와 디오니소스적 불장난
6. 즐거운 학문으로서의 신학
7. 옛 사람들이 걸어온 악한 길을 걸으려는가?
8. 위험한 기억과 망각의 문화
9. 시몬 베유와 지라르: 사회적 짐승과 군중의 병리학
10. 교회 위의 베드로의 닭
11. 기독교 신사도와 불교 무사도

8장 미학적 전환과 윤리적 전화

1. 윤리적 유일신론
2. 미학적 전환과 윤리적 전환
3. 축복과 저주로서의 모방 욕망
4. 열대성 휴머니즘과 마녀사냥
5. 타자와의 폭력적 근접성과 적정소통
6. 유대-기독교적 가치 전복
7. 디오니소스적 데카당스
8. 신학적 전환과 진리, 윤리, 그리고 품성의 재탄생
9. 신들의 황혼

9장 기독교적 성숙성: 신비와 저항

1. 욕망의 모방성에 대한 깨달음
2. 타자에 대한 병적인 관심
3. 거대한 모방의 기계
4. 욕망의 독립운동과 적정 욕망
5.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교에서의 지적인 모험


참고문헌

저자소개

정일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불멸의 40인’으로 불리며 프랑스 지식인의 최고 명예인 아카데미 프랑세즈 종신회원에 선출된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이론을 중심으로 동서양 사상을 문명담론의 차원에서 비교 연구하고 있다. 저자는 지라르를 직접 만나 학문적 대화를 나누기도 한,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라르 연구가요 전문가이다.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를 거쳐 유럽에서 르네 지라르 이론에 대한 학제적 연구 중심지로 성장한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교 조직신학부 기독교 사회론 분야에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 지라르 학회 정회원이며 기독교 인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일에 힘쓰고 있다. 한동대, 고신대, 브니엘 신학대학원에서 강의했으며,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초빙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12권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을 출간했다. 저서로는 독일어 단행본 『Paradoxie der welt gestaltenden Weltentsagung im Buddhismus』, 『붓다와 희생양』(제30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목회자료 부문 최우수작),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십자가의 인류학』, 『르네 지라르와 현대 사상가들의 대화 : 미메시스 이론, 후기구조주의 그리고 해체주의 철학』, 『예수는 반신화다』, 『우주와 문화의 기원』, 『질투사회 : 르네 지라르와 정치경제학』, 『문화막시즘의 황혼 : 21세기 유럽 사회민주주의 시대의 종언』, 『미셀 푸코와 주디스 버틀러의 황혼 : 성 소수자 운동의 아동 인권 유린과 젠더의 종말』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칼빈의 성령론』, 『독일 녹색당과 오덴발트학교의 소아 성애 사태 : 독일 낭만주의 개혁교육학, 비판 교육 이론, 그리고 포괄적 성 교육 비판』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라르는 극단으로 치닫고 가속화되는 현대 사회의 새로운 비극과 슬픔을 서술하면서 묵시록적 이성과 묵시록적 직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문화는 변했지만, 욕망하고 질투하는 인간은 변하지 않았다. 오히려 근본적으로 인류학적 상황은 더욱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현대 사회는 질투 사회와 피로 사회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이런 슬픈 현대 사회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1장 문화의 기원과 기독교라는 스캔들

니체는 “신은 죽었다”고 선언하면서 기독교적 세계관에 도전을 한 무신론자이며, 객관적 진리를 향한 형이상학적 전통에 반기를 든 반형이상학자이며, 보편적 도덕 가치를 정초하는 시도 자체가 무망하다고 생각한 비도덕주의자였다. 최근에는 기존의 프랑스 포스트모던철학에서 지배적이었던 니체 철학의 탈정치화 혹은 탈나치화가 재검토되고 있다.
3장 니체의 황혼과 지라르

일본 선불교적 종교철학을 수립한 교토 학파 철학자들이 스스로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친화성을 발견한 것처럼, 우리는 니체 철학과 불교철학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교토 학파는 자신들의 철학을 “죽음의 철학”이라고 명명했는데, 이는 불교 속에 흐르는 무덤과 죽음에 대한 천착과 관련된다. 죽음과 폭력에 대한 디오니소스적인 매혹과 도취는 불교철학에서도 발견된다. 4장 유교와 불교 문명 간의 대화와 문명 담론

불교와는 달리 기독교는 “과학의 동맹자”였다. 무엇보다 기독교 신앙으로 충만한 문명 속에서 기독교 과학은 태동했다. 기독교화된 유럽이 근대 자연과학의 출생지였지, 결코 다른 곳이 아니었다. 오히려 탈신화화 해야 하는 것은 불교가 친화적으로 파악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이다. 일견 감성적이고 유희적인 것으로 보이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해체해보면 거기에는 도킨스도 비판하는 폭력적 야수와 같은 죽이는 인간(homo necans)이 자리 잡고 있다.
5장 우상의 황혼과 자연과학의 탄생

일부 유럽의 후기기독교적 지식인들은 마녀사냥, 십자군 전쟁, 종교전쟁 같은 소위 기독교의 죄악사를 지목하면서 자기학대적으로 서구 문명의 폭력성을 과장하곤 한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폭력에 대한 이 서구적 민감성은 바로 기독교 전통의 유산이다. 많은 현대적 위기의 책임은 유대-기독교적 전통에게 돌아갔다. 지라르의 주장처럼 희생양 메커니즘을 폭로한 기독교가 희생양이 되었다. 6장 기독교 미학: 어린 양과 거대한 짐승의 우상

어린 양을 따르는 기독교는 인류의 야수성을 점차적으로 계몽해서 교양 있고 성숙하고 세련된 민주적이고 세계시민적인 참된 인간성을 지향해왔다. 하지만 이런 기독교의 약한 철학이, 니체가 불평했듯이 지나치게 자기 해체적이고 유약한 극좌에 속하는 쾌락주의나 무정부주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극단적 이기주의와 일방적인 권리의 문화, 그리고 민주주의의 불만과 자유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공동체주의는 건강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유대-기독교적 가치 체계가 아니라, 사상적 쾌락주의가 문명의 데카당스와 종의 위기를 가져온다. 참된 기독교는 강하지만 도덕적인 리더를 교육시키며, 건강한 가정을 이루며, 세대 이기주의와 세대 쾌락주의를 극복하고자 한다.
7장 사회적 짐승의 우상과 군중의 병리학

기독교에서 말하는 겸손(humilitas)은 모방 욕망의 거세가 아니다. 모방 욕망은 인간 조건이다. 모방 욕망은 축복인 동시에 저주이기도 하다. 우리는 모방하고 경쟁적으로 욕망하도록 지음 받았고 또 저주받았다고 할 수 있다. 질투와 경쟁은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것이다. 우리는 이런 모방 욕망적 인간 조건을 완전히 벗어날 수 없다. 모방 욕망을 포기한다는 것은 인간이기를 포기하는 것이다. 단지 축복과 저주로서의 모방 욕망의 슬픈 이중성을 깊이 자각함으로써 그것을 숭고한 것으로 승화시켜야 한다. 기독교가 탄생시킨 현대 문명은 고대 사회가 독처럼 위험한 것으로 억압하고 통제했던 미메시스적인 것, 곧 모방 욕망과 질투심, 경쟁심을 보다 창조적인 엔진과 에너지로 긍정하는 첫 문명이라 할 수 있다.
8장 미학적 전환과 윤리적 전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