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셀 푸코와 주디스 버틀러의 황혼

미셀 푸코와 주디스 버틀러의 황혼

(성 소수자 운동의 아동 인권 유린과 젠더의 종말)

정일권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셀 푸코와 주디스 버틀러의 황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셀 푸코와 주디스 버틀러의 황혼 (성 소수자 운동의 아동 인권 유린과 젠더의 종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4123903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미국 원조 여성학자 카밀 팔리아 교수는 버틀러의 ‘퀴어 무정부주의’와 디오니소스적 좌파페미니즘(젠더 퀴어 페미니즘)을 비판한다.

목차

추천사

조 배 숙 변호사 ︱ 복음법률가회 상임대표, 제16-18, 20대 국회의원 1
김 영 한 박사 ︱ 기독교학술원장, 샬롬나비 상임대표 4
음 선 필 박사 ︱ 홍익대학교 법과대학 헌법 교수 8
민 성 길 박사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명예교수 12
이 명 진 소장 ︱ 성산생명윤리연구소 소장, 의사평론가 15
조 영 길 변호사 ︱ 복음법률가회 20
이 상 원 박사 ︱ 현대성윤리문화교육원 원장 23
이 봉 화 대표 ︱ 전 보건복지부 차관, 바른인권여성연합 상임대표 26
김 지 연 대표 ︱ 사단법인 한국가족보건협회, 영남신학대학교 겸임교수 28

들어가는 말 문화막시즘의 3대 아젠다(젠더주의, 다문화주의, 생태사회주의) 36

제1장 젠더정치와 성 소수자 운동의 대부 미셀 푸코의 소아성애 범죄 38

1. ‘푸코적 페미니즘’: 성인지 페미니즘의 아버지 미셀 푸코 38
2. 서유럽 68 ‘소아성애적 안티파’와 ‘향락주의적 좌파’의 황혼 40
3. 포스트모던 철학자들의 소아성애 비범죄화 주장 46
4. 퀴어 이론과 성 소수자 운동의 아버지 미셀 푸코의 민낯 48
5. ‘철학의 왕’ 미셀 푸코의 동성애/소아성애/사도마조히즘 53
6. 푸코의 공동묘지에서의 소아성애 – 독일어권 주류 언론 보도 56
7. 워키즘(Wokeism, 사회정의 운동)의 우상인 푸코의 제국주의 58
8. 성혁명/급진 페미니즘의 이론가 푸코의 동성애적 소아성애 64
9. 푸코, 비판인종 이론, 워키즘(Wokeness), 취소문화, 교차성 67
10. 정체성정치와 사회정의 전사(SJW)의 대부 푸코의 강간 71
11. 푸코와 퀴어한 디오니소스: 포스트모던 좌파의 비이성주의 75
12. 젠더/정체성정치 속 폭민의 광기 77
13. 튀니지에서의 푸코 행적에 대한 의문(알자지라) 80
14. 푸코와 버틀러의 소아성애와 근친상간 주장 그리고 대학교육 85
15. 플라톤의 『향연』, 남색 그리고 일본 선불교의 소아성애적 강간 88
16. 푸코의 소아성애에 대한 서유럽 68 좌파의 당황한 침묵 90

제2장 푸코의 반휴머니즘에 대한 주요 철학가들의 비판 94

1. ‘휴머니즘 없는 인권’: 하버마스의 푸코의 반휴머니즘적 인권 개념 비판 94
2. 마르쿠제의 당파적(빨치산적) 톨레랑스 100
3. 샹탈 무페의 좌파포퓰리즘, 투쟁적 당파성 그리고 그 좌파파시즘 103
4. 유대-기독교의 보편적 인권 개념: 계급투쟁적 당파성을 넘어서 108
5. 찰스 테일러의 푸코 비판: 죽음과 폭력에 대한 매혹 111
6. 니체, 하이데거, 푸코: 독일 특유의 문화부정주의와 반도덕주의 116
7. 촘스키의 반도덕주의자 푸코와 포스트모던적 거품 비판 121
8. 로저 스크러턴: 푸코의 부정주의와 파괴주의 철학 비판 123
9. 르네 지라르: 고독한 광인과 광기에 사로잡힌 폭민 127
10. 언어기호의 자의성: 후기 구조주의는 언어학적 허무주의 132
11. 폭민의 신 디오니소스, 후기 구조주의 그리고 정치적 실존주의 135
12. 히틀러는 사회주의자: 집단주의와 국가주의로서의 사회주의 비판 140
13. 자크 라캉: 주이상스(잉여 쾌락), 오르가즘, 초현실주의 146

제3장 프랑스와 독일 68 좌파의 동성애/소아성애/근친상간 150

1. 프랑스와 유럽의 대표 헌법학자 뒤아멜의 근친상간 150
2. 유럽인권법원의 사회주의 성정치와 국제인권법연구회 154
3. 서유럽 68 향락주의 좌파 vs 동유럽 89 기독교 민주주의 159
4. 히틀러와 스탈린, 두 사회주의자의 ‘핏빛 경쟁’(티모시 스나이더) 161
5. 조지 소로스 vs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와 ‘열린 국경’ 논쟁 167
6. 21세기 좌파 유럽은 없다. 좌파 조국이 없는 것처럼 172
7. ‘열린 국경 자유주의’는 ‘경솔한 보편주의’(페터 슬로터다이크) 174
8. 크루아상, 카푸치노, 유럽의 자살: 성정치에 저항하는 동유럽 178
9. 독일 ‘다양성 성교육’ 아버지 켄틀러 교수의 소아성애 게이트 182
10. 빌헬름 라이히와 헬무트 켄틀러: 조기 성애화와 성인지 교육 186
11. ‘다양한 가족’은 퀴어 가족: ‘다양성 성교육’ 비판 190

제4장 헤겔막시즘, 프로이트막시즘 그리고 문화막시즘의 황혼 197

1. 헤겔막시즘/프로이트막시즘으로 기사회생한 68 신좌파 197
2. 21세기는 보수주의의 세기가 될 것이다(페터 슬로터다이크) 200
3. ‘더러운 신들’과 프로이트: 프로이트막시즘의 사상누각 201
4. ‘세 번째 뇌’: 모방욕망에 의한 성욕망의 휘어짐(성도착) 204
5. 프로이트의 꿈/무의식 연구에 대한 독일 낭만주의의 영향 209
6. 모방적 욕망이 없는 동물에게는 성도착이 없다 213
7. 젠더 퀴어와 자폐증 그리고 인위적 젠더 개념 215
8. 독일 철학자 슬로터다이크의 경솔한 다문화주의 비판 217

제5장 젠더라는 뉴스피크(Newspeak)와 성인지 헛소리 비판 222

1. 21세기 유럽 젠더 교육의 황혼과 성인지 언어정치 비판 222
2. 젠더는 성정체성의 불안정화와 혼란화를 위한 뉴스피크 223
3. 주디스 버틀러가 말하는 21세기 글로벌 반-젠더주의 운동 225
4. 젠더의 종말: 젠더 개념은 뇌과학적으로 폐기되었다 227
5. 독일 원조 페미니스트 알리체 슈바르처의 성인지 교육 비판 231
6. 디오니소스적 성인지 페미니즘 비판(카밀 팔리아) 234
7. 성인지라는 오웰적 뉴스피크 비판 238
8. 두 언어정치: 오웰적 뉴스피크와 정치적 올바름(PC) 243
9. 새로운 젠더 인간과 오웰적-헉슬리적 디스토피아 247
10. 성인지 개념: 사회주의 재구조화와 재교육(Umerziehung) 전략 250
11. 젠더 광기(Genderwahn)와 성인지-헛소리(Gender-Unfug) 253
12. 성인지 교육과 사회주의적 조기 성애화 전략 255

제6장 코로나19는 자본주의의 내적 모순의 결과인가? 259

1. 전염병사회주의: 코로나19 팬데믹의 희생양인 자본주의 259
2. 독일식 사회적 시장경제가 대안인가? 262
3. 막시즘의 르네상스(라인하르트 막스 추기경) 264
4. 막스 베버 vs 칼 막스: 칼 막스로 기운 로마가톨릭 사회교리 267
5. 좌우 ‘독일 사회주의’의 영미 자본주의에 대한 르상티망 270
6. 21세기 독일 질서자본주의와 사회적 시장경제의 황혼 273
7. 독일 사회적 시장경제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275
8. 경제민주화는 한국형 사회적 시장경제인가? 279
9. 자본주의 내적 금욕주의: 모방욕망의 ‘사회적 거리 두기’ 281

나오는 말 혁명은 안단테로: 헤겔막시즘, 프로이트막시즘, 문화막시즘 비판 284

부록 주디스 버틀러의 소아성애와 근친상간 변호를 비판한다 290

1. 들어가는 말 290
2. 시몬 드 보부아르와 주디스 버틀러의 소아성애 변호 291
3. 버틀러는 부모-자식 간의 근친상간의 가능성을 변호한다 296
4. 아동 성폭력에 대한 감수성: 거세지는 68 소아성애 운동 과거사 청산 311
5. 나오는 말 316

저자소개

정일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불멸의 40인’으로 불리며 프랑스 지식인의 최고 명예인 아카데미 프랑세즈 종신회원에 선출된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이론을 중심으로 동서양 사상을 문명담론의 차원에서 비교 연구하고 있다. 저자는 지라르를 직접 만나 학문적 대화를 나누기도 한,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라르 연구가요 전문가이다.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를 거쳐 유럽에서 르네 지라르 이론에 대한 학제적 연구 중심지로 성장한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교 조직신학부 기독교 사회론 분야에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 지라르 학회 정회원이며 기독교 인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일에 힘쓰고 있다. 한동대, 고신대, 브니엘 신학대학원에서 강의했으며,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초빙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12권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을 출간했다. 저서로는 독일어 단행본 『Paradoxie der welt gestaltenden Weltentsagung im Buddhismus』, 『붓다와 희생양』(제30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목회자료 부문 최우수작),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십자가의 인류학』, 『르네 지라르와 현대 사상가들의 대화 : 미메시스 이론, 후기구조주의 그리고 해체주의 철학』, 『예수는 반신화다』, 『우주와 문화의 기원』, 『질투사회 : 르네 지라르와 정치경제학』, 『문화막시즘의 황혼 : 21세기 유럽 사회민주주의 시대의 종언』, 『미셀 푸코와 주디스 버틀러의 황혼 : 성 소수자 운동의 아동 인권 유린과 젠더의 종말』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칼빈의 성령론』, 『독일 녹색당과 오덴발트학교의 소아 성애 사태 : 독일 낭만주의 개혁교육학, 비판 교육 이론, 그리고 포괄적 성 교육 비판』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셀 푸코의 『성의 역사』 4권 『육체의 고백』이 프랑스에서 2018년 2월에 나왔는데 불과 1년 10개월만인 2019년 12월에 한국어로 번역되었다고 한다. 푸코의 이 책에 대한 한국어 번역은 번역의 나라 일본보다도 1년이 나 빠른 번역이었고 미국이나 영국에서 기 소르망 교수의 폭로 직전인 올 해 2월과 3월 초에 번역된 것보다 빨랐다고 한다.
그 정도로 국내에는 푸코 마니아들이 많이 있기에, 푸코의 소아성애 범죄는 많은 사람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으며, 일부 푸코 마니아들은 애써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성인지 감수성(젠더 감수성)을 주장하는 분들이 성인지 감수성 운동의 선구자인 성 소수자/성정치가 미셀 푸코의 소아성애 범죄에 대해서는 감수 성 없게 침묵하고 있다


푸코의 후기 구조주의적-포스트모던적 이성비판도 결국 니체적-디오니소스적 새로운 신화학 운동이다. 푸코의 포스트모던적 반대철학(count\-er-philosophy)도 결국 서구 전통 철학을 해체하고 디오니소스적 신화로 대체하려는 시도이다. 푸코 철학에서 니체적-디오니소스적 차원은 그렇기에 중요하며 깊게 분석되어야 한다.
푸코는 유대-기독교적 문명의 유산인 오래된 인권 개념을 자신의 권력의지(Wille zur Macht)에 기초한 새로운 인권 개념으로 새롭게 기술하고자 시도한 반휴머니즘적 철학자이다.


지라르는 니체로부터 포스트모던 철학에까지 흐르는 “부정의 정신”에 동의하지 않는다. 지라르는 『창세로부터 감추어져 온 것들』44 에서 “허무주의의 광범위한 진영”에 대해서 지적한다. 후기 구조주의자들이나 스스로 포스트모더니스트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푸코와 같이 인간의 임박한 실종을 선언하지만, 지라르는 인간의 회복을 주장한다.
해체주의 철학은 의미에 대해서 절망하거나 혹은 쉽게 그것으로부터 회피하려고 하지만, 지라르는 그의 근본 인류학의 입장에서 신비화로부터 의미를 구조하기 위해서 문화의 기원적 순간과 직면한다.4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