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급망 불확실시대 물류의 재해석 RE: Logistics

공급망 불확실시대 물류의 재해석 RE: Logistics

('공급망의 재설계(RE-Design)'와 '물류의 재해석(RE-Interpretation)’)

이상근 (지은이)
아웃소싱타임스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급망 불확실시대 물류의 재해석 RE: Logistics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급망 불확실시대 물류의 재해석 RE: Logistics ('공급망의 재설계(RE-Design)'와 '물류의 재해석(RE-Interpretation)’)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8899481813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11-01

책 소개

이 책은 크게 3파트로 구성되어 있다.첫째 파트는 '가중되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관한 글로 일본과 미국, 중국, 그리고 최근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불안정에 노심초사하는 세계경제의 현황에 대한 거시적 관점의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저자의 거시적 관점의 글이다.

목차

Contents
[플로로그] 공급망 불안정으로 노심초사하는 세계 경제

Part I. 가중되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1. 공급망을 위협한 사건들
2. 일본의 대한(對韓) 수출규제
3. 코로나19 팬데믹
4. 경제민족주의와 프랜드쇼어링
5. 미국과 중국의 무역과 기술 분쟁
6. 수에즈운하 봉쇄
7. 미국 서부항만발(發) 글로벌 물류대란
8. 중국의 요소 수출규제
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0.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11.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12.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와 공급망 자립정책

Part II. 공급망 불확실 시대의 생산과 물류
13. 집중생산과 글로벌 공급체계의 붕괴
14.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
15. 탄력적 공급망 관리
16. 산업 경계를 넘는 유연생산시스템
17. 위드코로나 시대의 공급망 상시 관리
18.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와 국가차원의 대응
19. 탈중국화와 리쇼어링
20. 니어쇼어링과 남북단일경제권
21. 라스트핏 이코노미와 생산지연전략

Part III. 공급망 불확실 시대의 유통과 물류
22. 온라인 커머스의 국가간 경계 붕괴
23. 고립경제와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24. 탈집중화와 D2C
25. 디지털 기반의 개인 맞춤형 구독경제
26. 재난물류의 베이스캠프, 유통기업
27. 멀티 페르소나 소비자와 제조·유통·물류의 합체
28. 공유물류 기반의 탄력적 물류네트워크
29. 공급망 전체로 확산되는 ESG 경영

[에필로그] 물류의 재해석 리 로지스틱스 RE: Logistics

저자소개

이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누구보다 물류를 좋아한다.군 입대 후 군수지원사령부에서 처음 물류(병참:로지스틱스)를 접했다. 물류학과가 없을 때, 유통산업을 전공해 석사를, 박사는 경영학과 산업공학을 공부했다. 산업훈장(2024), 산업포장(2011), 대통령표창(2006) 등 정부 표창도 십여 개 받았다. 세계 3대 인명사전인 마르퀴즈후즈후(Marquis Who’s Who)에도 등재됐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 한국물류학회에서 산업계 부회장, 한국SCM학회는 Fellow로 활동하고 있다. 국토부 국가물류정책위원회 외 고용노동부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위원(물류산업위원장), 서울시 교통위원회위원, 물류정책위워회위워 등 심의·의결위원회에서 위원을 맡고 있다. KBS 경제세미나, KTV, TBS 등에 출연했고 물류 주제면 강의와 소통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글은 매주 SNS에 읽고 정리해 올린 책이 8년, 410권을 넘었고, 현재 월 4회의 정기 기고와 전문지 등에 수시 기고를 하고 있다. ⌜ESG와 지속가능한 물류⌟(2023), ⌜공급망 불확실시대 물류의 재해석: RE:Logistics⌟(2022), ⌜뉴노멀시대 물류기업은 사라질까⌟(2021) 등 3권의 단행본과 ⌜물류트랜드 2022⌟(2021) 등 3권의 공저를 출간했다. 물류에서 많은 시도와 실패, 성공을 경험했다.택배가 제도화되기 전인 1988년 택배(특송)사업을 기획하고 시작했다. 1990년부터 공동물류 사업을, 1991년 가전제품의 직배와 설치, 2005년 가구 직배와 설치물류 사업도 시작했다. 1993년 진로의 카스맥주 물류아웃소싱을 수주해 국내 최초의 3PL 사례로 만들었다. 1997년부터는 CVS(편의점)물류를 수행하고 있다. 1998년 IMF 시기, 동탄과 옥천물류센터 신축 중 부도를 맞아, 임직원과 ‘삼영물류’를 창업했다. 2000년 이커머스 풀필먼트 전용물류센터와 웹기반 WMS를 구축해 온라인 물류를 수행하고 있다. 2013년 수원과 남양주 저온창고(콜드체인)사업에 진출했고, 저온창고 화재 등으로 기업회생(법정관리)에 들어가 1년만에 졸업했다. 삼영물류를 경영하고 있다 공동(플랫폼)물류는 온라인커머스 풀필먼트, 화장품, 전기·전자물류가 전문분야이고, 3PL(제3자물류)는 전기·전자·설치, Fashion, 헬스케어가 전문분야이다. FC(제조유통)물류는 생산(자재), CVS가 물류컨설팅은 조직재구축, 거점재구축, PI가 전문분야이다. 물류에 관심있는 사람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 테크타카, V2V, 플로텍, 로컬, 밸류링크유, 로드맨, 시미즈, 리턴박스, 고쏙, PLZ, 로지스팟 등 물류 스타트업의 멘토링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후배 물류인들이 닮고 싶은 선배로 남고 싶어 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불확실의 시대, 글로벌 공급망의 주인공이 되려면?

◆글로벌 공급망에 퍼팩트스톰이 몰려오고 있다
감염병, 자연재해, 전쟁과 테러, 공급사 파산, 노동쟁의 등은 공급망 대변화를 가져왔다.
글로벌 집중생산과 싱글소싱에서 탄력적 공급망관리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기업은 재고 확보와 조달·판매·물류 네트워크의 재배치 작업에 돌입했다.
감염병 예방차원의 공장 셧다운을 막는 최고의 방책은 무인 스마트팩토리다.

◆빅2의 공급망 전쟁은 중심축 국가를 독점하기 위한 전쟁이다
중국의 홍색(紅色) 공급망과 미국 BBS(바이오, 반도체, 배터리) 공급망 간의 마찰이 격화되고 있다.

시진핑 정부는 2021년 양회를 계기로‘쌍순환’ 전략과 ‘홍색 공급망’ 전략을 동시에 추진해 중국 중심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바이든 정부는 바이오·배터리·반도체 등 이른바 ‘BBS’로 불리는 핵심산업의 가치사슬 중심지를 미국에 두고자 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예의 주시하고 이에 적극적, 선도적 대응이 필요하다

첫째, 글로벌 경제는 경제적 개념인 GVC에서 정책적 개념인 GSC가 강조되고 있다
비용절감과 효율성을 핵심 성공요인으로 강조하며 발전해온 GVC(Global Value Chain)는 의존성 심화와 위기관리체계 부실이라는 취약점이 노출되었다.

둘째, 동맹(Ally), 프랜드(friend) 쇼어링 기반의 공급망을 구축할 것이다
중국 중심의 홍색공응련(紅色供応鏈 붉은 연대 네트워크) 과 미국 중심의 칩4동맹, EU의 유럽반도체연합 등과 같은 동맹쇼어링, 프랜드쇼어링 기반의 공급망을 구축할 것이다.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능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

첫째, 범정부 차원의 공급망 위험에 선제 대응하는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물류 기업도 공급망의 위험에 대응력을 갖추어야 한다
⓵국제물류망의 대체 노선 확보, ⓶운송수단 대체 능력 확보, ⓷대체 공항과 항만발굴, ⓸제3국 경유와 해당 지역 내 운송망 확보, ⑤공급자 지역내 운송망 확보와 전략재고와 ⑥안전재고를 보유할 수 있는 적정한 거점(물류센터, 터미널 등) 발굴과 확보가 필요하다.

또 ⓵역량있는 각 지역별 물류, 항공, 해상, 육로운송 파트너를 확보하고, ⓶물류데이터와 통합물류시스템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도 필수적이다.

셋째, 국가차원의 탄력적 공급망 설계, 주기적 스트레스 시험, BCP 도입도 필요하다
⓵공급망내 리스크 대응을 위한 국가 차원의 ‘탄력적 공급망 설계’가 필요하다.
⓶주기적인 스트레스 시험(Stress Test)이 필요하다.
⓷국가 차원의 공급망 BCP(Business Continuity Plan) 도입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우리 기업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첫째 역량은 ‘물류 자동화·무인화·지능화’이다
빅데이타, 로봇, 드론, IOT, AI, VR/AR 등 ICT 기술에 바탕을 둔 물류 자동화, 무인화, 효율화와 최적화를 통해 서비스 향상과 비용 절감을 추진한 기업만이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할 것이다.

둘째 역량은‘탄력적 물류 네트워크(공유물류, 공동물류)의 구축’이다
항만, 하역시설과 장비, 물류창고, 터미널 등 물류시설, 화물차량, 컨테이너, 물류장비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별 물류회사가 소유하거나 전용하던 경직적 물류 네트워크에서 벗어나야 한다.
고객 니즈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탄력적 물류 네트워크 확보가 핵심 경쟁력으로 대두되고 있다. ‘탄력적 물류 네트워크’는 기업들 간의 ‘공동 물류 플랫폼’ 구축에 있다.

셋째 역량은 ‘클라우드 소싱’역량이다
이세돌과 ‘알파고’와 대결은 이세돌 개인과 수많은 클라우드 컴퓨터와의 대결로 볼 수 있다. 그 만큼 클라우드의 힘은 강하다. 4차산업혁명, 공유경제에서는 물류서비스의 이용자(기업, 개인)도 물류기업과 같은 제공자 역할을 할 것이다.

또 물류 서비스의 고도화와 효율화를 위한 시스템도입과 함께 물류 전문인력의 육성도 필요하다. 이외에도 불확실한 시대에 우리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려면 위해서는 물류기업, 화주기업, ICT기업, 정부, 지자체, 대학 등의 협력의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