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미학/예술철학
· ISBN : 9788994886923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6-01-25
책 소개
목차
서문
Ⅰ. 구석기 예술 (Paleolithic Art)
제1장 발견 (Discovery)
1. 충격 (Shock)
2. 의의 (Meaning)
3. 과거와 현대 (Past and Future)
제2장 양식 : 자연주의와 형식주의 (Naturalism and Formalism)
1. 정의 (Definition)
2. 환각주의 (Illusionism)
3. 환각주의와 반명제 (Illusionism and Its Antithesis)
4. 환각주의의 이념 (Ideology of Illusionism)
5. 환각주의의 추이 (Transition of Illusionism)
6. 조화와 모순 (Harmony and Contradiction)
7. 예술사와 그 패턴 (Art History and its Pattern)
8. 의의 (Meaning)
9. 세계관과 양식 (A World View and an Art Style)
제3장 원인의 탐구 (Research of Cause)
1. 문제의 제기 (Raise of Problems)
2. 통합과 해체 (Integration and Disintegration)
3. 이성과 양식 (Reason and Style)
제4장 과학과 주술 (Science and Incantation)
1. 과학의 정의 (Definition of Science)
2. 과학과 예술 (Science and Art)
3. 인과율 (Causal Nexus)
4. 과학의 의의 (Raison-d'etre of Science)
5. 동굴벽화의 존재이유 (Raison-detre of Cave painting)
Ⅱ. 신석기 예술 (Neolithic Art)
제1장 단절 (Seclusion)
1. 단절 (Seclusion)
2. 새로운 양식 (A New Style)
3. 표현주의와 형식주의 (Expressionism and Formalism)
제2장 구석기적 세계관의 붕괴 (Collapse of Paleolithic World View)
1. 기법의 문제 (Technical Problems)
2. 붕괴와 새로운 세계 (Collapse and A New World)
제3장 새로운 이념 (A New Ideology)
1. 실존주의 (Existentialism)
2. 실존주의와 형식주의 예술 (Existentialism and Formalism)
제4장 애니미즘과 기하학주의 (Animism and Geometric Style)
1. 신앙 (Faith)
2. 하늘과 땅 (Heaven and Earth)
3. 두 개의 신, 두 개의 예술 (Two Gods, Two Arts)
제5장 과학자와 통치자 (Scientist and Ruler)
1. 제정일치 (Theocracy)
2. 개성과 보편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Ⅲ. 이집트 예술 (Egyptian Art)
제1장 역사 (History)
1. 두 개의 양식 (Two Styles)
2. 유산 (Legacy)
제2장 정면성 (Frontality)
1. 정의 (Definition)
2. 이유 (Cause)
3. 정면성과 입체파 (Frontality and Cubism)
제3장 양식의 병존 (Co-existence of Styles)
1. 두 양식 (Two Styles)
2. 두 양식과 두 계급 (Two Styles and Two Classes)
제4장 아멘호테프 4세 (Amen-hetep IV, Ikhnaton)
1. 새로운 이념 (A New Ideology)
2. 간주곡 (Intermission)
Ⅳ. 그리스 예술 (Greek Art)
제1장 개관 (Overview)
1. 인본주의 (Humanism)
2. 새로운 경향 (A New Tendency)
제2장 그리스적 이념의 동기 : 예술사회학의 한계 (The Motive of Greek Ideology : The Limit of Art Sociology)
1. 조화 (Harmony)
2. 문제의 제기 (Raise of Problems)
3. 이상주의 (Idealism)
제3장 그리스인 (The Greek)
1. 고전주의의 동기 (Motive of Classicism)
2. 자연주의 (Naturalism)
3. 예술을 위한 예술 (Art for Art's Sake)
제4장 존재와 생성 :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이토스 (Being and Becoming :Parmenides and Heraclitus)
1. 공간과 시간 (Space and Time)
2. 두 이념과 고전주의 (Two Ideologies and Classicism)
제5장 일리아드 (Iliad)
1. 문학적 특징 (Literary Character)
2. 일리아드와 양식 (Iliad and Its Style)
제6장 아케이즘 (Archaism)
1. 이집트와 그리스 (Egypt and Greece)
2. 동작 (Movement)
3. 일자와 다자 (The One and the Many)
제7장 그리스 고전주의 (Greek Classicism)
1. 고전주의 (Classicism)
2. 건축 (Architecture)
3. 조각 (Sculpture)
4. 비극 (Tragedy)
5. 후기 고전주의 (Late Classicism)
Ⅴ. 헬레니즘 시대 (Hellenism B.C. 323 ~ B.C. 31)
제1장 개관 (Overview)
1. 개관 (Overview)
2. 유산 (Legacy)
3. 바로크, 로코코, 낭만주의 (Baroque, Rococo, Romanticism)
Ⅵ. 로마 예술 (Greek Art)
제1장 개관 (Overview)
1. 다양성 (Diversity)
2. 두 경향 (Two Tendencies)
제2장 실증주의 (Positivism)
1. 사실주의 (Realism)
2. 실증주의 (Positivism)
제3장 그리스의 유산 (The Legacy of Greece)
1. 공화제와 예술 (Republicanism and Art)
2. 비그리스적 요소 (Non-Greek Elements)
제4장 사실주의 (Realism)
제5장 공간과 시간 (Space and Time)
1. 이상주의와 실증주의 (Idealism and Positivism)
2. 미와 정보 (Aesthetics and Information)
3. 연속서술 (Continuous narrative)
제6장 건축 (Architecture)
제7장 제국 말기 (Late Empire)
1. 기독교 (Christianity)
2. 실존주의 (Existentialism)
제8장 갈리아 전기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s)
1. 갈리아 전기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s)
2. 투키디데스와의 대비 (Comparison with Thucydides)
제9장 기독교적 로마 (Christian Rome)
1. 유대인 (The Hebrews)
2. 기독교 (Christianity)
3. 이유 (Cause)
4. 새로운 정면성 (A New Frontality)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구석기의 동굴벽화를 바라볼 때 우리는 자연주의적 기법과 형식주의적 기법의 조화?고전적이라고 말해지는?가 시간적 계기에 있어 나중에 전개되는 양식은 아니라는 하나의 전제와 예술적 표현은 기술상의 문제라기보다는 세계관과 이념의 문제, 다시 말하면 ‘예술의욕’의 문제라는 다른 하나의 전제, 그리고 자연주의적 기법이 기하학적 양식보다 더 세련되고 진보된 양식은 아니라는 세 번째 전제를 필연적으로 인정해야 한다. 우리는 오천 년 전의 회화라면 그것은 마땅히 몇 개의 원과 몇 개의 직선만으로 단순하게 그려진 어떤 형상일 것이라는 추론을 한다. 사실 그렇다. 그러나 그보다 일만 년 전에 그려진 회화가 우리가 르네상스 후기 시대에서나 관찰 가능한 완전하게 환각적인 형상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 그리고 그들이 구사한 기법과 기술은 절대 단순하지 않은 것이라는 사실이 위의 세 전제에 입각하지 않고는 어떻게 해명되는가? -------제1장 [구석기 예술] 중에서
신석기시대의 예술은 ‘보는 바대로의 세계’를 따르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그들의 예술은 시각적 충실성을 따르는 양식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의 시각적 통일성을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사물을 기하학적으로 재배치하는 양식이다. 그것은 감각적이라기보다는 사유적이고 시각적이라기보다는 개념적이다. 이제 점과 선과 면이 그들이 사물을 표현하는 양식이 되고 이것은 우리가 추적할 수 있는바 인류의 역사에 있어 처음으로 발생한 형식주의의 예술이다. -------제2장 [신석기예술] 중에서
두 양식의 병존은 두 이념의 병존을 의미한다. 이집트의 파라오와 사제 계급은 스스로를 위한 이념과 피지배계급을 위한 이념을 분리했다. 이념의 이러한 분리는 인류의 긴 역사를 고려해도 매우 드문 예이다. 어떤 사회가 단일한 이념을 가진다는 것은, 보수적인 세계관이 위로부터 강요되거나 진보적인 세계관이 아래로부터 치솟아 오른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중세의 대부분 동안 사제와 귀족의 이념은 아래를 압제했다. 그러나 그리스 시대나 르네상스 시대의 점진적인 자연주의와 환각주의의 확장은 그 시대의 중산계급이 그 힘과 지식에 있어 자신의 영향력을 확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사회나 단일한 이념을 지지는 않는다. 이집트의 독특한 점은 두 이념의 병존이 아니라 그 존이 분리된 채로 지속되었다는 데에 있다. 대부분의 사회는 어느 한 방향을 취해 나간다. 어떤 경우에는 자연주의가 기하학주의를 누르고 스스로의 이념을 확장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그 반대이기도 하다. 이집트 세계에서는 두 개의 이념이 완전히 고립된 채로 존재했다.-------제3장 [이집트예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