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서양철학사 인식론적 해명)

조중걸 (지은이)
지혜정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서양철학사 인식론적 해명)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사
· ISBN : 9791187616580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19-02-15

책 소개

서양철학사를 인식론적 측면에서 접근한 책이다. 시대 흐름에 따라 철학자들을 나열하여 서술하는 기존 철학사의 접근 방식과는 전혀 달리 철학을 존재론과 인식론으로 구분하여 새롭게 재구성하였다.

목차

머리말 - 구성과 해체
프롤로그 - 철학, 관념적 독단과 유물론적 회의주의 사이

먼 과거
1. 플라톤 Plato
2. 소피스트들 Sophists

보편논쟁
1.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Augustinus & Thomas Aquinas
2. 로스켈리누스와 오컴 Roscellinus & Ockham
3. 이중진리론과 종교개혁 The doctrine of twofold truth & The Reformation

인간에 이르는 길
1. 과학자들 Scientists
2. 데카르트 Rene Descartes
3. 뉴턴 Isaac Newton
4. 존 로크 John Locke
5. 조지 버클리 George Berkeley
6. 데이비드 흄 David Hume
7. 상실 Lost

통합과 파산
1. 칸트 Immanuel Kant
2. 아베나리우스와 에른스트 마흐 Richard Avenarius & Ernst Mach

비트겐슈타인
1. 의의 The meaning
2. 기술되는 세계 The described world
3. 진리 함수 이론 Truth-function theory
4. 그림 이론 Picture theory
5. 단순자에 대한 요청 Demand for the simples
6. 말해질 수 없는 것 What cannot be said
7. 철학의 의미 The meaning of philosophy
8. 비트겐슈타인의 의의 The meaning of Wittgenstein

에필로그 - 패턴으로서의 철학사
핵심어 찾아보기

저자소개

조중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재학 중 프랑스로 유학하여 파리 제3대학에서 서양문화사와 서양철학을 공부하였다. 그리고 미국 예일대학에서 서양예술사(미술사·음악사·문학사)와 수학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캐나다 토론토대학 부설의 시각예술대학 교수로 미술사를 강의하면서 새로운 예술사 집필에 대한 포부를 키웠으며, 그때부터 그와 관련한 연구에 몰두해오고 있다. 저서로 『열정적 고전읽기』시리즈(총10권), 『서양예술사; 형이상학적 해명』시리즈(총5권),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키치, 달콤한 독약』, 『죽음과 새로운 길』, 『비트겐슈타인 논고 해제』, 『철학의 선택』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양철학은 ‘구성과 해체를 되풀이’한다. 플라톤은 구축했고 소피스트들은 해체했다. 마찬가지로 중세의 실재론적 철학은 가우닐론과 로스켈리누스와 오컴 등에 의해 해체됐다. 우리는 어쩌면 깜박거리는 불이 밝아질 때 세계에 대한 통일적 통찰의 가능성을 느끼지만 언제든 그 등불은 곧 꺼진다고 느끼고 살고 있다.
무엇인가가 철학자의 눈에 스몄고 그는 자신이 가진 가능성 가운데에서 세계를 재구성한다. 그러나 모든 통합은 해체를 예고한다. 우리는 통합 속에서 행복할 수도 있고 해체된 세계의 덧없는 파편이 되어 고통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철학자들에게는 중요하지 않았다. 그들은 어떤 희생도 진실에 상응하는 가치를 지닌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철학의 이해와 학습에서 중요한 것은 철학도 결국 ‘시대와 세계관의 소산’이라는 사실을 우리가 먼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과학혁명과 거기에서 비롯된 자연법사상과 계몽주의에 대한 이해 없이는 흄과 칸트를 이해할 수 없다. 다른 모든 문화 구조물이 그러하듯 철학도 진공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어떤 시대의 철학은 동시대의 세계관의 형이상학적 표현일 뿐이다. 하나의 철학은 하나의 세계를 의미한다. 철학은 그러므로 우리 삶 위에 착륙한다. 우리 삶의 해명자로서의 철학이 아니라면 그것은 사실상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이 에세이는 우리 삶의 해명자로서의 철학에 중심을 두고 전개된다. 철학을 무의미하고 어렵게 만드는 것은 지적 허영에서 비롯된 현학이다. 그것이 철학에서 생명력을 앗아 가고 철학을 화석화한다. 소박하고 겸허하고 진실한 탐구, 우주와 삶에 대한 순수한 궁금증―이러한 것들이 통찰과 인식에의 길이 될 터이다.
-「머리말」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