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박창원 (지은이)
지식과교양(지교)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88994955544
· 쪽수 : 454쪽
· 출판일 : 2012-10-18

목차

발간사 3
머리말 7

제1부 서론
1장 한글의 이해 23
1. 말소리의 발성 과정 25
1.1. 성대(성문) 26
1.2.목젖 27
1.3.입 28
2. 소리의 분류 29
2.1. 모음의 분류 30
2.2. 자음의 분류 30
3. 모음의 자형과 음가 32
3.1. 글자 만들기 32
3.2. 조음기관과 음가 34
4. 자음의 자형과 음가 36
4.1. 글자 만들기 36
4.2. 글자의 모양과 음가 41

2장 발음과 표기의 기초 43
1. 발음의 다양성 ― 문자 ‘ㄱ’의 발음을 중심으로 43
1.1. ‘ㄱ’의 발음은 네 가지 43
1.2. 단어의 맨 앞에서는 ‘ㄱ’으로 발음 44
1.3. 단어 중간의 초성에서는 ‘ㄱ’ 혹은 ‘ㄲ’으로 발음 44
1.4. 종성의 ‘ㄱ’은 ‘ㄱ’ 혹은 ‘ㅇ’으로 발음 49
1.5. ‘ㅎ’을 만나면 ‘ㅋ’으로 발음 49
1.6. 마무리 50
2. 표기법의 이해 50
2.1. 음절로 모아 쓰기 50
2.2. 형태소는 따로 쓰기 51
2.3. 어법에 맞게 적기 51


제2부 한글맞춤법과 표준발음법
3장 한글맞춤법 57
1. 총칙 59
1.1. 한글 맞춤법의 원칙 59
1.2. 띄어쓰기 62
1.3. 외래어 표기 63
2. 자모 65
2.1. 자모의 수 65
2.2. 자모의 순서 66
3. 소리 71
3.1. 된소리 71
3.2. 구개음화 72
3.3. 받침 ‘ㅅ’의 표기 75
3.4. ‘예’의 표기와 발음 77
3.5. ‘의’의 표기와 발음 79
3.6. 두음법칙 82
3.7. 어두 ‘ㄹ’의 표기와 발음(1) 87
3.8. 어두 ‘ㄹ’의 표기와 발음(2) 92
3.9. 겹쳐나는 소리 95
4. 형태 97
4.1. 체언과 조사의 연결 97
4.2. 어간과 어미의 연결 100
4.3. 어미 ‘-아/어’의 표기 103
4.4. 어미 ‘-요’의 표기 105
4.5. 불규칙 활용어간 106
4.5.1. ‘로’의 불규칙 107
4.5.2. ‘ㅅ’ 불규칙 109
4.5.3. ‘ㅎ’ 불규칙 111
4.5.4. 모음 ‘우, 으’의 탈락 114
4.5.5. ‘ㄷ’ 불규칙 115
4.5.6. ‘ㅂ’ 불규칙 117
4.5.7. ‘여’ 불규칙 119
4.5.8. ‘러’ 불규칙 120
4.5.9. ‘르’ 불규칙 121
4.3. 접미파생어의 표기 123
4.3.1. 어원밝히기(1) 124
4.3.2. 어원밝히기(2) 128
4.3.3. 어원밝히기(3) 131
4.3.4. 어원밝히기(4) 134
4.3.5. 어원밝히기(5) 137
4.3.6. 어원밝히기(6) 139
4.3.7. 어원밝히기(7) 140
4.3.8. ‘-하다’나 ‘-없다’가 결합한 파생어 142
4.4. 합성어 및 접두파생어의 표기 143
4.4.1. 합성어 및 접두파생어 표기의 기본 원칙 145
4.4.2. ‘ㄹ’이 탈락하는 합성어의 표기 150
4.4.3. ‘ㄹ’이 ‘ㄷ’으로 변한 합성어의 표기 152
4.4.4. 사잇소리의 표기 154
4.4.5. ‘ㅂ’이나 ‘ㅎ’이 덧나는 경우의 표기 158
4.5. 준말의 표기 160
4.5.1. 단어의 끝모음이 줄 경우 160
4.5.2. 체언과 조사가 줄 경우 162
4.5.3. 모음 ‘-아/어’에 모음 ‘아.어’가 결합하는 경우 164
4.5.4. 모음 ‘-ㅗ/ㅜ’에 모음 ‘ㅏ/ㅓ’가 결합하는 경우 169
4.5.5. 모음 ‘ㅣ’에 모음 ‘ㅓ’가 결합하는 경우 171
4.5.6. 모음 ‘ㅣ’가 결합하는 경우 172
4.5.7. 모음에 ‘이어’가 결합하는 경우 173
4.5.8. ‘잖’, ‘찮’으로 주는 경우 175
4.5.9. 접사 ‘하-’가 줄어드는 경우 177

4장 표준 발음법 181
* 제정 경위 181
* 체제 및 특징 184
1. 총칙 186
2. 자음과 모음 187
2.1. 자음의 종류와 숫자 187
2.2. 모음의 종류와 순서 188
2.3. 단모음의 종류 189
2.4. 이중모음의 종류 192
3. 음의 길이 198
4. 받침의 발음 199
4.1. 받침소리의 종류 199
4.2. 받침에서의 평음화 200
4.3. 받침에서의 자음군 간소화(1) 201
4.4. 받침에서의 자음군 간소화(2) 204
4.5. 받침 ‘ㅎ’의 발음 208
4.6. 연음 현상 213
5. 음의 동화 217
5.1. 구개음화 217
5.2. 비음동화 220
5.3. ‘ㄹ’ 비음화 221
5.4. ‘ㄴ’ 유음화 및 예외 223
5.5. 표준발음이 아닌 조음위치 동화 225
5.6. 활음의 첨가 227
6. 경음화 228
6.1. 폐쇄음 뒤의 경음화 228
6.2. ‘ㄵ, ㄻ’뒤의 경음화 229
6.3. ‘ㄼ, ㄾ’뒤의 경음화 230
6.4. 종성 ‘ㄹ’뒤의 경음화 230
6.5. 관형형 ‘ㄹ’뒤의 경음화 231
6.6. 합성어 내부의 경음화 232
7. 음의 첨가 235
7.1. ‘ㄴ’의 첨가 235
7.2. 사이시옷 발음 237


제3부 심화 과제
5장 사잇소리의 공시론과 통시론 241
1. 서론 241
2. 사잇소리의 발생 242
2.1. 고유어의 경우 243
2.1.1. 두 단어의 결합 ? 합성어에서만 발생 243
2.1.2. 관형적 속격 구성에서만 발생 246
2.1.3. 사잇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단어 구성 249
2.2. 한자어의 경우 252
2.2.1. 고유어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 경우 253
2.2.2. 고유어와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경우 255
2.3. 유사한 현상 259
2.3.1. ‘ㅂ’이 덧나는 경우 259
2.3.2. ‘ㅎ’이 덧나는 경우 260
2.3.3. ‘ㆆ’이 덧나는 경우 261
2.3.4. 정리 261
3. 사잇소리의 발음과 표기 262
3.1. 사잇소리의 발음 262
3.2. 사잇소리의 표기 263
3.2.1. 규정과 해설 263
3.2.2. 사잇소리의 표기 267
4. 사잇소리의 기원 269
4.1. 고대국어 269
4.2. 전기 중세국어 272
4.3. 후기 중세국어 274
4.4. 사잇소리와 형태소 ‘ㅅ’의 혼합 278
5. 결론 284
6장 띄어쓰기의 이론과 실제 288
1. 서론 288
2. 띄어쓰기의 기능과 단위 290
2.1. 띄어쓰기의 기능 290
2.1.1. 의미의 명확화 290
2.1.2. 나열, 수식관계의 명료화 292
2.1.3. 한계 293
2.2. 띄어쓰기의 단위 294
2.2.1. 음절별 혹은 형태소별 띄어쓰기 294
2.2.2. 구별 혹은 절별 띄어쓰기 296
2.2.3. 결론 - 단어별 띄어쓰기 298
3. 단어의 개념과 경계 299
3.1. 단어의 이해(개념) 299
3.2. 어휘 창조의 한계 301
3.3. 외연의 불명확성 301
3.4. 문법화와 탈문법화 302
4. 띄어쓰기의 실제 302
4.1. 띄어쓰기의 언어학적 기준 302
4.2. 의존적인 조사와 실사화 302
4.2.1. 의존적인 조사 302
4.2.2. 조사와 부사의 혼용 303
4.3. 의존 명사와 문법화 304
4.3.1. 일반적인 의존명사 304
4.3.2.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310
4.3.3. 잇거나 열거하는 의존명사(그리고 부사) 311
4.4. 관형사와 문법화 및 어휘화 312
4.5. 보조용언과 문법(형태소)화 316
4.6. 이전체계의 흔적들 317
4.7. 하나의 개념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여러 단어 318
4.8. 관형사와 어휘화 319
5. 맺는 말 319

7장 한글맞춤법-제6장 그밖의 것 323
1. 원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들 323
1.1. 접미사 ‘-이’와 ‘-히’의 구분 324
1.2. 두 음(속음과 본음)으로 나는 한자어 329
1.3. 예사소리로 적는 접미사 332
1.4. 된소리로 적는 접미사 334
1.5. 구분하기 어려운 말의 단일화 338
1.6. ‘더’와 ‘드’의 구분 344
2. 비슷하거나 같은 발음을 달리 표기하는 어휘들 346
2.1. ‘가름’과 ‘갈음’ 346
2.2. ‘거름’과 ‘걸음’ 347
2.3. ‘거치다’와 ‘걷히다’ 349
2.4. ‘걷잡다’와 ‘겉잡다’ 351
2.5. ‘그러므로’와 ‘그럼으로’ 351
2.6. ‘노름’과 ‘놀음’ 353
2.7. ‘느리다’, ‘늘이다’와 ‘늘리다’ 355
2.8. ‘다리다’와 ‘달이다’ 357
2.9. ‘다치다’, ‘닫히다’와 ‘닫치다’ 358
2.10. ‘마치다’와 ‘맞히다’ 360
2.11. ‘목거리’와 ‘목걸이’ 361
2.12. ‘바치다’, ‘받치다’, ‘받히다’와 ‘밭치다’ 362
2.13. ‘반드시’와 ‘반듯이’ 366
2.1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367
2.15. ‘부치다’와 ‘붙이다’ 369
2.16. ‘시키다’와 ‘식히다’ 374
2.17. ‘아름’, ‘알음’과 ‘앎’ 376
2.18. ‘안치다’와 ‘앉히다’ 379
2.19. ‘어름’과 ‘얼음’ 381
2.20. ‘이따가’와 ‘있다가’ 383
2.21. ‘저리다’와 ‘절이다’ 384
2.22. ‘조리다’와 ‘졸이다’ 385
2.23. ‘주리다’와 ‘줄이다’ 386
2.24. ‘하노라고’와 ‘하느라고’ 388
2.25. ‘-느니보다’와 ‘-는 이보다’ 389
2.26. ‘-(으)리만큼’과 ‘-(으)ㄹ 이만큼’ 390
2.27. ‘-(으)러’와 ‘-(으)려’ 391
2.28. ‘-(으)로서’와 ‘-(으)로써’ 392
2.29. ‘-(으)므로’와 ‘(-ㅁ, -음)으로(써)’ 393

부록
1. 문장 부호 397
2. 표준어 사정 원칙 414

저자소개

박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경남 고성 출생으로, 부산중학교와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남대학교, 인하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그동안 한국방언학회 부회장, 이화어문학회 편집위원장, 국어문화원연합회 회장, 국어심의회 위원장, 국어학회 총무‧부회장‧회장, 국어국문학회 이사 및 대표이사, 한국인문총연합회 공동회장,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이사 및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고대국어음운 1』(2002), 『중세국어자음연구』(1996), 『국어음운연구사 1』(2002),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2012)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말이고,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국인이 만들어 사용하는 글이다. 말의 사용은 입과 귀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지각 행위이고, 글의 사용은 손과 눈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지각 행위이다. 입의 조음 작용과 귀의 청각 작용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말’은 인류에게 천부적인 보편적인 현상이고, 손의 그림 작용과 눈의 시각 작용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글’은 후천적인 창조적인 산물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