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95130995
· 쪽수 : 619쪽
· 출판일 : 2009-04-01
목차
제1장 진단미생물학 서론 = 11
1. 진단미생물학의 영역 = 11
2. 미생물 검사에 따른 생물재해 = 12
3. 정도관리 = 17
제2장 감염증 진단을 위한 기초미생물학 = 26
1. 미생물의 분류 = 26
2. 세균의 유전, 물질대사 및 구조 = 28
제3장 병원성 세균과 비병원성세균 = 39
1. 신체 각 부위에서 관찰되는 미생물 = 39
2. 숙주와 미생물의 관계 = 41
제4장 미생물 검사의 진행 = 58
1. 검체의 채취와 처리 = 58
2. 검체의 직접검사 = 67
3. 미생물 배양 = 76
4. 임상검체별 미생물 검사 = 79
1) 혈액배양 = 80
2) 척수액의 미생물 검사 = 90
3) 상부기도 검체의 미생물 검사 = 92
4) 하부기도 검체의 미생물 검사 = 94
5) 위장관 검체의 미생물 검사 = 98
6) 요 검체의 미생물 검사 = 102
7) 생식기 검체의 미생물 검사 = 105
8) 상처, 농양, 피부와 연조직 검체의 미생물 검사 = 108
9) 체액과 골수의 미생물 검사 = 109
10) 두경부 검체의 미생물 검사 = 112
11) 저항성이 낮은 환자의 감염 = 113
제5장 미생물의 동정 = 116
1. 표현형에 의한 균종동정 = 116
2. 감염 진단을 위한 면역학적 시험 = 121
3. 분자생물학적 미생물 검사 = 132
제6장 Staphylococcus, Micrococcus 및 그 밖의 catalase 양성 알균 = 150
1. 분류 = 150
2. 감염 = 152
3. 세균검사 = 153
4. 역학조사를 위한 시험 = 157
5. 주요 균증 = 157
6. 항균제 감수성 = 158
제7장 Streptococcus, Enterococcus 및 그 밖의 catalase 음성 그람양성 알균 = 161
1. 분류 = 161
2. 감염 = 162
3. 세균검사 = 165
4. A군 사슬알균 혈청항체 시험 = 178
5. 항균제 감수성 = 179
제8장 Bacillus와 유관세균 = 181
1. 산소성 그람양성 막대균의 균속 추정 = 181
2. 분류 = 181
3. 감염 = 183
4. 세균 검사 = 184
5. 항균제 감수성 = 188
제9장 산소성 무아포 그람양성 막대균 = 189
1. Listeria = 189
2. Erysipelothrix = 193
3. Corynebacterium과 유사 세균 = 195
제10장 Nocardia와 유사 세균 = 207
1. 분류 = 207
2. 감염 = 208
3. 세균 검사 = 210
4. 항균제 감수성 = 214
제11장 Mycobacterium = 216
1. 분류와 성상 = 216
2. 감염 = 216
3. 실험실 안전 = 220
4. 결핵균 검사 = 221
5. 투베르쿨린 반응 = 235
6. 나균 검사 = 236
제12장 Enterobacteriaceae = 239
1. 분류 = 239
2. 감염 = 241
3. 배양 = 245
4. 생화학적 시험 = 251
5. 균종 동정 = 256
6. 주요 균종과 항균제 감수성 = 259
제13장 Vibrio 및 유관 세균 = 268
1. 분류와 성상 = 268
2. 감염 = 269
3. 검체 채취와 수송 = 272
4. 직접 검사 = 272
5. 배양 = 272
6. 균종 동정 = 273
7. 항균제 감수성 = 278
제14장 Aeromonas = 280
1. 분류와 성상 = 280
2. 감염 = 280
3. 세균 검사 = 282
4. 항균제 감수성 = 284
제15장 포도당 비발효 그람음성 막대균 = 285
1. 분류 = 285
2. 감염 = 287
3. 동정 = 288
4. 주요 균종 = 296
제16장 Neisseria = 307
1. 분류 = 307
2. Neisseria gonorrhoeae = 307
3. Neisseria meningitidis = 315
4. 그 밖의 Neisseria 균종 = 317
제17장 Haemophilus = 319
1. 분류 = 319
2. 감염 = 319
3. 세균 검사 = 321
4. 항균제 감수성 = 328
제18장 Legionella = 330
1. 분류 = 330
2. 감염 = 330
3. 세균 검사 = 332
4. 혈청학적 진단 = 334
5. 항균제 감수성 = 334
제19장 그 밖의 그람음성 막대균 및 짧은막대균 = 335
1. 분류 = 335
2. Bordetella = 336
3. Brucella = 340
4. Francisella tularensis = 342
5. 그 밖의 균속 = 344
제20장 Campylobacter와 Helicobacter = 355
1. 분류 = 355
2. Campylobacter spp. = 355
3. Helicobacter spp. = 360
제21장 나선균 = 365
1. Leptospira = 365
2. Treponema = 368
3. Borrelia = 371
4. "Spirillum minus" = 372
제22장 무산소성 세균의 분리와 동정 = 374
1. 산소와 세균증식과의 관계 = 374
2. 무산소성 정상균 무리 = 374
3. 무산소성 세균 감염 = 375
4. 무산소성 세균 검사용 검체 = 377
5. 검체의 직접 검사 = 378
6. 무산소성 배양 = 378
7. 무산소성 세균의 동정 = 382
제23장 임상검체에서 분리되는 무산소성 세균 = 387
1. 그람양성 알균 = 387
2. 그람음성 알균 = 388
3. 그람음성 막대균 = 390
4. Clostridium = 398
5. 아포비형성 무산소성 그람양성 막대균 = 407
제24장 Rickettsia, Chlamydia 및 Mycoplasma = 413
1. 분류 = 413
2. Rickettsia = 413
3. Coxiella burnetii = 418
4. Chlamydia = 419
5. Mycoplasma = 422
6. Ureaplasma = 424
제25장 진균 검사 = 427
1. 분류와 형태 = 427
2. 진균감염증의 진단 = 429
3. 감염부위별 진균 감염증 = 439
4. 효모형 진균 = 440
5. 사상형 진균 = 449
6. 폐포자충 = 472
제26장 바리러스 감염증의 진단과 전염성 해면뇌병증 = 475
1. 바이러스의 특징 = 475
2. 바이러스 감염증 = 475
3. 미생물학적 진단 = 486
4. 전염성 해면뇌병증 = 492
제27장 항균제 감수성 시험 = 498
1. 환자 치료에 흔히 쓰이는 주요 항세균제 = 498
2. 항균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 기전 = 505
3. 항균제 감수성 시험의 원칙 = 511
4. 산소성 세균의 감수성시험 = 523
5. 무산소성 세균의 감수성 시험 = 542
6. Mycobocterium의 감수성 시험 = 545
7. 진균의 감수성 시험 = 550
8. 내성 유전자의 검출 = 553
9. 항균제 투여량을 조절하기 위한 시험 = 556
제28장 부록 = 558
1. 배지 = 558
2. 염색액 = 573
3. 시약 = 578
4. 혼동되기 쉬운 세균명과 진균명 = 580
5. 용어해설 = 588
국문 찾아보기 = 604
영문 찾아보기 =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