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88995354445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03-09-01
책 소개
목차
Prologue
Part 1 파레콘과 세계화
Part 2 파레콘 및 비전을 제시하는 실제 사례들
1. 가치와 제도
1장 경제란 무엇인가?
Part 1 핵심적 경제 역학과 제도
Part 2 다양한 경제체제
Part 3 계급의 발생과 구분 기준
Part 4 그렇다면, 경제란 무엇인가?
2장 경제를 평가하는 가치
Part 1 공평성
Part 2 자율관리
Part 3 다양성
Part 4 연대
Part 5 효율성
3장 경제제도와 체제의 평가
Part 1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
Part 2 위계적 분업
Part 3 중앙집권적 계획
Part 4 시장
Part 5 자본주의
Part 6 시장사회주의
Part 7 중앙집권적 계획사회주의
Part 8 녹색 생태지역주의
Part 9 새로운 비전
2. 참여경제 비전
4장 생산수단의 공적 소유
5장 경제 주체로서의 평의회
Part 1 노동자 평의회
Part 2 소비자 평의회
Part 3 비례적 결정권을 통한 합의
6장 균형적 직군
7장 노력과 희생에 근거한 보상
Part 1 보상적 정의의 논리
8장 참여적 계획에 의한 할당체계
Part 1 참여적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Part 2 참여적 계획수립 과정과 주체
Part 3 전형적 계획수립 과정의 실체
Part 4 외부성 문제
Part 5 결론
9장 파레콘의 요약과 변호
Part 1 노동자 평의회와 균형적 직군
Part 2 솝자 평의회와 노고에 대한 보상
Part 3 참여계획
Part 4 결론
10장 파레콘에 대한 평가
Part 1 경제적 보상과 상황의 공평성
Part 2 상호 보완적 연대
Part 3 다양성의 증진
Part 4 참여적 자율관리
Part 5 무계급성
3. 참여경제의 일상생활
11장 노동
Part 1 자본주의 출판사
Part 2 참여경제 출판사: 노스스타트 프레스
Part 3 자본주의 기업의 정책결정
Part 4 노스스타트의 정책결정
Part 5 노스스타트의 효율성
Part 6 직장계획: 개인적 측면
12장 소비
Part 1 집단적 소비
Part 2 개인적 소비
Part 3 소비계획
13장 할당
Part 1 장기계획
Part 2 첫번째 라운드: 데이터의 준비
Part 3 후속 라운드들: 데이터의 수정
Part 4 계획 촉진위원회의 노동
Part 5 질적 정보
4. 파레콘에 대한 비판과 답변
14장 효율성
: 파레콘의 인센틴브들은 동기유발에 적절한가
15장 생산성
: 노동과 여가의 파괴적 교환
16장 창조성과 삶의 질
: 파레콘은 재능을 희생시키고 삶의 질을 공평성에 종속시키는가
17장 실력주의와 혁신
: 탁월한 실력과 진보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이루어지는가
Part 1 실력
Part 2 혁신
18장 사생활과 여가
: 파레콘의 시민들에게는 '나만의 방과 시간'이 존재하는가
19장 개인과 사회
: 파레콘은 개인을 우선시하는가, 공동체를 우선시하는가
: 탁월한 실력과 진보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이루어지는가
Part 1 개인을 우선시한다
Part 2 사회를 우선시한다
20장 참여계획
: 참여계획은 또 다른 이름의 시장인가, 중앙집권적 계획인가
Part 1 또 다른 이름의 시장할당
Part 2 또 다른 이름의 중앙집권적 계획
21장 신축성
: 파레콘은 부분적으로 시장을 수용해야만 하는가
22장 필요에 따른 보상
: 파레콘은 필요를 중시하는가, 경시하는가
23장 양립가능성
: 파레콘은 다른 제도들을 수용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제도들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가
24장 인간의 본성
: 편견을 가진 사람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25장 자산인가, 부담인가
: 새로운 비전은 또 다른 분파주의를 낳는가
26장 자극과 달성 가능성
: 파레콘은 실현될 수 없는 유토피아일 뿐인가
Part 1 자극
Part 2 달성 가능성
역자 후기
파레콘 용어 해설
간략한 참고문헌
책속에서
우리는 균형적 직군을 추구한다. 이 균형적 직군으로 말미암아 전문성이 종식되거나 전문가들에 대한 필요성이 부인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파레콘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개인들-전문가들을 포함하여-은 적당한 숫자의 작업들을 수행할 것이다. 그 작업들 가운데는 더 즐거운 것도 있고 덜 즐거운 것도 있으며, 권한을 더 많이 부여하는 것도 있고 더 적게 부여하는 것도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노동자들이 자신의 직무로부터 부여받는 권한의 정도가 전체적으로 평준화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