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95482292
· 쪽수 : 365쪽
· 출판일 : 2013-01-15
목차
제1장 한말 동아시아의 정세
1. 중국
2. 일본
3. 조선
제2장 초기 개신교 전래와 형성
1. 개화파의 개신교 수용론
2. 의주 청년들의 기독교 입교
3. 일본에서 이수정의 활동
4. 미국에서 선교사 파송 운동
제3장 1920년대 전후의 한국교회
1. 105인 사건
2. 3.1 운동
3. 사회주의 도전
4. 소종파등장
5. 해외선교
6. 사회계몽운동
제4장 고려파 교회 태동의 신학적 배경
1. 고려파 교회 태동의 근거
2. 장로교의 신학 논쟁
3. 사회주의 도전
4. 소종파 등장
5. 해외선교
6. 사회계몽운동
제4장 고려파 교회 태동의 신학적 배경
1. 고려파 교회 태동의 근거
2. 장로교의 신학 논쟁
3. 자유주의 신학의 유입
4. 신사참배 논쟁
제5장 일제 말기의 한국교회
1. 한국교회의 변절
2. 조선신학원 설립과 채필근의 평양신학교
3. 한국교단의 통합과 선교사 철수
제6장 해방 이후의 한국교회
1. 북한교회의 재건운동
2. 남부대회와 남부총회
3. 경남노회의 재건운동
제7장 고려신학교(高麗神學校) 태동과 설립
1. 고려신학교의 옥중 태동
2. 고려신학교 개교
3. 교권주의자들과의 대립
제8장 경남법통노회와 총회의 대립
1. 제35회(1949년)총회:경남 법통노회를 압박한 총회
2. 제36회(1950년)총회:경남법통노회를 파괴한 총회
3. 6.25전쟁과 제36회(1951년)총회 속회:경남법통노회를 축출한 총회
4. 제37회(1952년)총회:경남 법통노회를 총회에서 결별시킨 총회
제9장 고려파 교회의 출발과 발전
1. 초기 고려신학교의 모습
2. 총노회 조직과 고려파 총회 탄생
3. 기관들의 설립과 발전
제10장 고려파 교회의 시련과 위기
1. 박윤선의 고려신학교 결별
2. 승동과 연동의 분리(1959년)
3. 합동(1960년)과 환원(1963년)
4. 법정 소송 문제
5. 고려파 교회 형성의 의의
제11장 반고소 고려파 교회의 태동
1. 석원태 목사:[고려파가 서 있는 역사적 입장과 소송건]
2. 제23회 총회:소송 불가 결정
3. 제24회 총회:제23회 총회 결의 반복
4. 경기노회의 내분
5. 석원태와 반고소
6. 반고소 목사들의 제명
7. 반고소 경기노회 조직
8. 반고소 운동의 합법성
제12장 고려신학교 복교와 총회의 출범
1. 복교선언문
2. 고려신학교 현판식 사건
3. 마산 측 반고소와 불편한 연합
4. 반고소 총회의 출범
5. 마산 측의 이탈과 반고소의 정착
제13장 반고소 고려파의 성장과 발전
1. 교단의 각종 행사
2. 내부적 변화와 쇄신
3. 고려신학교와 아카데미 캠퍼스 시대
4. 교계 활동
제14장 반고소 고려파 교회의 미래와 전망
1. 개혁주의 신학의 중요성
2. 개혁주의 신학의 역사와 신학자
3. 개혁주의 신학의 주요 사상
4. 개혁주의 신학의 미래적 사명
제1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대표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