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95717646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08-06-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왜 영성이 오늘날 부각되는가?
2. 역사상 그리스도교가 추구한 대표적인 영성 패러다임
1) 청빈의 영성
2) 십자가의 영성
3) 켈트 영성
4) 부흥운동의 영성
3. 이중표 목사의 별세 영성
1) 그리스도교가 추구해야 할 영성은 그리스도의 영성
2) 별세의 개념
3) 예수 그리스도의 별세적 삶
4) 별세의 신앙
5) 별세의 신앙을 통한 구원
6) 별세신앙인의 공동체로서 교회
7) 별세 영성의 특징
8) 별세 지도자의 영성
4. 별세 영성의 목회
1) 별세 영성의 비전
2) 별세 영성 목회의 6대 사역
3) 별세 영성 목회가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
5. 별세 영성 가정의 이해
1) 가정의 의미
2) 부부의 관계
3) 부모와 자녀의 관계
6. 가정의 현실적인 문제와 별세 영성적인 분석
1) 부모와 자녀
2) 가족간의 의사소통
3) 부부간의 관계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별세의 목회’는 별세한 목회자가 양들을 위해 하늘의 생명, 즉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받아 양들을 낳고 기르는 ‘살림의 목회’이다. 이것은 양들이 건강하게 푸른 초장에서 즐겁게 뛰어노는 것을 보고 기뻐하는 목자처럼 별세의 목회는 불행한 인간을 복음 능력과 생명력으로 행복하게 하고 숨을 쉬게 하고 기쁘게 만드는 목회이다. 그것‘은 날마다의 삶을 축제로 만드는 목회이다. 이중표 목사는 이런 목회를 ‘놀이 목회’라고 했다. - p. 114(제4부)
최근 한국 교회는 영성의 시대라고 불릴 정도로 영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영성 운동’을 통한 ‘영성 훈련’이 여기저기서 논의되거나, 새로운 영성법이 계발되어 교회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교회에서 올바른 영성이 추구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자신의 본질을 실현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교회가 교회이기를 포기하는 것과 같다. - p. 15(제1부)
그들이 수도자들과 동정녀들의 생활방식을 매우 중시한 것은 그것이 예수를 본받는 진정한 삶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삶은 예수의 가르침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겉으로 드러난 형식이나 개념에 매여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 있었다. - p. 24(제2부)